음성 괴산 백마산, 보광산
1. 산행지: 백마산(462m), 보광산(539m)
2. 위치: 충북 괴산군 사리면, 음성군 원남면
3. 일자: 2016년 2월 10일(수)
4. 날씨: 맑고 따스함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 시간: 5시간 10분
7. 난이도: 상급
8. 들머리/ 날머리: 소매리(원점회귀)
9. 산행 코스: 소매리(백마저수지)->송오리 ㄱㄹ림길->마송리 갈림길->백마산 정상->백운사 갈림길->삼각점->한남금북정맥(백마산, 보광산, 보천고개 갈림길)->굴티미재->임도 갈림길->삼각점->둔터골, 소암 갈림길->한남금북정맥(고리티재, 굴티미재, 보광산 갈림길) 봉학사지 5층석탑->보광산 정상->헬기장->임도->임도 갈림길->굴티미재->보광산관광농원->둔기마을->백마저수지 둘레길->소매리
10. 특징
백마산
충북 음성군
원남면과
괴산군사리면
과 경계를 이룬다. 백마산을 경계로 물길이 구분되어 북쪽은
남한강
수계가 되고 남쪽은 금강 수계가 된다. 산 중턱의 굴에서 백마가 나왔다고 해서 백마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사계절 경치가 아름다워 소금강이라고도 칭한다."광여도","해동지도","1872년지방지도"등의 고지도에는 백마산이 고을의 경계에 묘사되어 있다. 또한, '1872년지방지도"에는 백마산의 서쪽에 원남면 보천리를 거쳐 청안현(지금의 괴산군
청안면
)으로 가는 길도 표시되어 있다."해동지도"의 백마산에는 산을 넘어 괴산으로 가는 길에 도살지치(道
只峙)라는 고개 표시가 있는데, 다른 고지도와 대조해볼 때 보천고개(지금의 원남면 주봉리에 있는 고개)를 나타낸 것이 아닌가 한다. "조선지지도"에는 한글 지명 '마산'과 '백마산령(白馬山嶺, 백마산고)'이 기록되어 있다.(출처: 네이버지식백과)
보광산(봉학산)
보광산은 산세가 빼어나거나 경치가 좋고 기이한 바위가 있는 그런 산은 아니다. 그저 나즈막한 육산에 불과하다. 그러나 정상의 봉학사지에 얽힌 전설이 현실에서의 인간 욕심이 무상하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곳이기도 하다. 또한 접근이 용이하고 험하지 않아 가족단위로 등산할 수 있는 좋은 산이다. 원래 이름은 봉학산이었다가, 조선 중기부터 보광산이라고 부른다. 정상에는 봉학사 터가 있다. 사찰 건물은 남아 있지 않으나, 괴산봉학사지오층석탑(충북유형문화재 29)이 전해진다. 고려 때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일제강점기 때 무너졌던 것을 1967년 복원하였다. 산 아래에는 봉학사의 후신인 보광사가 자리잡고 있다. 보광사는 없어진 봉학사의 후신으로 그 명성을 간직하여 오고 있으며 봉학사지 석조여래상을 대웅전에 주존불로 모시고 있다. 대웅전 처마끝에서 보면 끝없이 펼쳐지는 낮은 산들이 손에 잡힐 듯 친근해 보이고 마음까지도 시원해 지는 곳이다. 대웅전 오른쪽 바위 밑에선 석간수가 샘솟는데 아무리 가물어도 넘쳐 나는 샘물이 맛 또한 그만이다. 흔적도 없이 사라진 절터에 홀로 남은 봉학사지 5층석탑은 고려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지방유형 문화재로 (출처: 산림청)
산줄기이야기
한남금북정맥:
백두대간의 속리산(俗離山) 청황봉에서 갈라져 나와 충청북도 북부를 동서로 가르며 안성의 칠장산(七長山, 492m)까지 이어져 한강과 금강의 분수산맥을 이루며,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까지의 한남정맥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의 금북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며, 현대 지도에서 산 이름으로 찾아보면 속리산·말티재·구치(九峙)·시루산·구봉산(九峰山)·국사봉(國師峰)·선두산(先頭山)·선도산(先到山)·상봉재·상당산성(上黨山城)·좌구산·칠보산(七寶山)·보광산·행태고개·보현산·소속리산·마이산(馬耳山)·차현(車峴)·황색골산·걸미고개·칠장산 등이다.(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부용지맥(芙蓉枝脈):
한남금북정맥 보현산(487m) 북쪽 600m 지점인 충북 음성의 477m봉에서 동쪽으로 가지를 쳐부용산(645m),수레의산(678.8m), 덕고개,매방채산(375m),자주봉산(439m),솔고개,평붕산(396m)을 지나남한강과 달천의 두불머리인 충주 탄금교앞에서 남한강을 사이에 두고 계명지맥과 마주하며 달천의 우측 분수령이 되는 도상거리 43km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이산줄기는 분기봉에서 동북진하여 4.6km 가선 동남쪽으로 도상거리 34km의 가섭지맥을 떨구고 북진하여 9.4km를 가선 다시 북쪽으로 도상거리30km의 오갑지맥을 분기시키고,북진하는 오갑지맥은 7.1km 지점에서 다시 동쪽으로 국망산(770m)을 거쳐 무쇠봉으로가는 제법 실한 산줄기 하나를 분기합니다.


'충청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리산(俗離山 1,057.7m) (0) | 2016.03.23 |
---|---|
옥천 해맞이산, 철봉산, 서발산 (0) | 2016.03.18 |
제천 비봉산 (0) | 2016.02.11 |
괴산 산막이 옛길, 등잔봉, 천장봉, 삼성봉 (0) | 2016.02.11 |
대청호를 조망하며 걷는 양성산, 작두산 (0) | 2016.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