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섬큰산줄기종주 (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남해(1996년 4월 인쇄)
사천(1996년 4월 인쇄)
돌산(2004년 4월 인쇄)
두미(2011년 인쇄)
남해대교(0)-山城산(170, 0.9)-19번국도삼거리 노량공원고개(50, 0.3/1.2)-임도(190)-임도(250)-구들뫼(390)-龜頭산(△371.3, 1.8/3)-임도(290)-2번군도 용강고개(210, 1.1/4.1)-남재(290, 1.3/5.4)-金音산(△481.5, 0.7/6.1)-藥治谷산(450, 0.6/6.7)-약치곡고개도로(290, 0.5/7.2)-대국산성(350)-大局산(370, 0.6/7.8)-정태고개도로(50, 1.6/9.4)-19, 77번국도 가청고개(30, 0.8/10.2)- 광명이도로(90, 1.1/11.3)-三峰산(△422.5)어깨(370, 1.7/13)-4번군도 현촌(대곡)고개 사거리 도로(150, 0.7/13.7)로 내려선다
남해군 서면, 고현면, 남해읍의 삼면지점(630, 1.9/15.6)에서 서면과 남해읍의 경계를 따라 노구주차장 임도(630, 0.1/15.7)-철쭉군락지-望雲산(790, 0.7/16.4)-망운산중계소(△785.9) 갈림봉(770, 0.6/17)에서 수리봉(709)으로 가는 작은산줄기를 떨구고 동남진하여 冠帶봉(594.7, 1.2/18.2)-남산(△468.6)-수치산(270, 2.5/20.7)-연죽산(△240, 0.7/21.4)-6번군도 평현고개사거리(70, 0.8/22.2)-떡고개(130)-큰재도로(110, 1.2/23.4)-임도종점(330)-槐陰산(△610, 2/25.4)부터 호구산군립공원내로 들어가 남해읍, 동면, 남면의 삼경봉(570, 1.2/26.6)에서 서쪽으로 귀비산(490)으로 가는 작은산줄기를 떨구고 서남진하여 松登산(△617.2, 0.6/27.2)에서 서남쪽으로 남해설흘산줄기을 떨구고 동진하여 등고선상470M 안부(1.2/28.4)-호구산(납猿산610, 1/29.4)-돗틀바위봉(430)-안골고개 임도(210, 1.8/31.2)-△261.4봉-1024번지방도로 영흥현도로(90, 2.2/33.4)-19,77번국도 앵강고개(90, 0.4/33.8)로 내려선다
시루봉-△582.1봉(3.3/37.1)에서 북쪽으로 삼동작은산줄기를 떨구고 복곡고개임도삼거리(290, 1.5/38.6)를 지나 이동면 삼동면 상주면의 삼면봉(△665.6, 3/41.6)에서 서쪽으로 금산(681)으로 가는 작은산줄기를 떨구고 동남진하여 415봉-임도-가마봉(454)어깨(△413.9, 3.5/45.1)-노구후산 대기봉(△500.9, 1.8/46.9)-임도(290, 1.5/48.4)-임도 대지포고개(190, 1.3/49.7)-무등산(430, 1.3/51)-사자산(350, 1.3/52.3)-물건고개(110, 1.7/54)-3,77번국도 동천현사거리(70, 0.8/54.8)-△174.5봉(0.7/55.5)-아래고개삼거리도로(110, 0.2/55.7)-도면상235봉(1.1/56.8)-노루목(30, 1.2/58)을 지나 남해군 삼동면 동천리 뿔나무보호지를 지나 노루목 도로에서 북쪽으로 돌출하여 바다로 스며드는 곳(0, 0.3/58.3)에서 끝나는 약58.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섬산줄기는 섬고유의 특성인 폐쇄곡선 안에서만 이어지는 산줄기로 어디서부터 시작하든지간에 해발 0M부터 시작하여 어디서 끝나든간에 해발0M에서 끝나게 되며 특별한 사유가 없는한 연륙교나 연도교부터 시작하여 제일 긴산줄기로 끌고 가는 것이 원안이다 남해 산줄기도 예외는 아니어서 연륙교인 남해대교에서 시작하여 삼동면 동천리 노루목 뿔나무자생단지 바위벼랑까지 끌고간 산줄기가 남해섬큰산줄기가 되는 것이다
남해섬은 우리나라 섬중 김포도를 포함하여 면적기준 5위의 섬이며 주민 약51000명이 거주하고 있다
다도해한려해상국립공원내에 속하며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결전지인 노량해전이 있었던 곳이며 그 유적들이 산재해 있는 호국의 섬이자 보물섬이다
남해대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건설된 현수교로 그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곳이다
여름 휴가철이면 너무 많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곳으로 땅이 가라앉을 정도로 많이 찾는다고 한다
전체적으로 ㄴ 자 모양으로 해안선이 다른섬보다 월등히 길며 아름다운 해변이 산재해 있다
대표적인 해수욕장으로는 상주해수욕장이 있다
가장 높은 산은 망운산으로 790M이며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는 산은 우리나라 삼대해수관음도량이 있는 금산과
다랭이논으로 유명한 설흘산이 있다
남해섬큰산줄기종주제2-2구간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남해(1996년 4월 인쇄)
언제 : 2015. 9. 21(달의날) 맑음
누가 : 신경수
어디를 : 경남 남해군 남해읍 평현리 평현고개 6번군도 사거리에서 거대한 암봉인 호구산(납산)을 넘어 남해군 이동면 무림리에서 신전리를 넘는 19, 77번 앵강고개까지
괴음산((610): 남해군 남해읍
송등산(△617.2) : 남해군 이동면, 남면
호구산(납猿산610) : 남해군 이동면
돗틀바위봉(430) : 남해군 이동면
구간거리 : 11.6km 큰산줄기거리 : 11.6km
구간시간 10:50 큰산줄기시간 7:20 휴식시간 3:30
사진을 클릭하시면 좀 더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사진이 안보이시거나
더 많은 우리산줄기이야기를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http://blog.daum.net/shinks32/4584
남해섬큰산줄기종주 제1구간 지도
남해섬큰산줄기종주 제1구간 자투리구간 지도
남해섬큰산줄기종주제2-1구간 지도
남해섬큰산줄기종주제2-2구간 지도
신경수님의 글(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지맥이라면 어느 다른 산줄기에서 즉 母산줄기에서 갈라져서 별도의 산줄기를 이룬다는 말로 해석이 되는데
그러면 섬산줄기는 과연 어디서 갈라지는(분기하는)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즉 갈라지는 모산줄기가 있어야 지맥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가 있는데
섬산줄기는 그 갈라지는 모산줄기가 없는 단독산줄기라는 것입니다
즉 바다로 둘러쌓인 폐쇄곡선인 그 섬안에서만 흐르는 산줄기로
어느 곳에서 시작하든 바닷가 해발0부터 시작하여 어느 곳으로 가든 다른 바닷가 해발0에서 끝난다는 것입니다
고로 육지에서 처럼 지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올바른 표현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섬 산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산줄기에 지맥(枝脈)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가? (0) | 2016.07.27 |
---|---|
강화섬산줄기종주 가이드 (0) | 2016.07.26 |
[부안 위도] 망월봉 등산지도 (출처: 위대한 여정) (0) | 2016.04.21 |
섬산줄기(서해) - 교동도...강화도....안면도...진도 (0) | 2016.04.21 |
섬산줄기(남해 동해) - 어룡도...완도...남해도....거제도.....영도....울릉도, 제주도 우도 (0) | 2016.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