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서천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희리산과 문수산

꼴통 도요새 2016. 3. 7. 16:26

 서천팔경 중 하나로 꼽히는 희리산과 문수산


 

 

 

 

1. 산행지: 문수산(311.2m), 희리산(希夷山329m)

2. 위치: 서천군 판교면, 종천면

3. 일시: 2016년 3월 5일(토)

4. 날씨:은 안개 후 비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3시간 10분

7. 난이도: 중급

8. 들머리/ 날머리: 명품김(주)앞 주차장(원점회귀)

9. 산행코스: 명품김(주)앞 주차장->우측 들머리->희리산 갈림길->굴다리->철조망 대문->태현건설(주)->지방도->에메네티 복지마을->서천노인요양병원->종천아파트->희리산 갈림길(물탱크)->종천저수지->사방댐->한티재->한티봉->문수산정상->한티봉->한티재->3호 쉼터->휴양림 갈림길->4호 쉼터->희리산 정상(헬기장)->5호 쉼터->바다로21 이정표->도만리, 지석리 갈림길->주차장

10. 특징:

희리산: 산 전체가 해송으로 뒤덮혀 삼림욕의 명소로 꼽히고 있는 산이다. 서천팔경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서천 사람들이 아끼고 자랑하는 산이다. 이 산의 숲 속에 들어가면 해송에서 나오는 피톤치드와 테르핀이라는 방향성 물질이 자연방사 되고 있는데, 향기 좋은 방향성, 살균성의 성분으로 스트레스를 없애고 심신을 순화하는 등 인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삼림욕에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희리산 자연휴양림은 1999년도에 개장하여 운영 중인데, 전국 유일의 해송휴양림으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최고봉으로 문수봉이 있고 전설로도 유명하다. 문수봉 밑에 장사 4인이 놀던 자리에 고누판이 그려져 있다 하여 4인대라고 부르는 곳이 있고, 그 밑으로 140m 떨어진 절벽에서 장사들이 턱걸이를 한 장소가 있는데 이곳을 ‘턱걸이장’이라 하며, 턱걸이장 밑으로 문수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주위가 절벽이 험하고 빈곳이 많아 사람들이 모여살 수 없어 절을 헐어버렸다고 한다. 또한 문수봉 남쪽 500m 전방에는 장사들이 능선을 따라 말을 타고 무예를 익히던 장소가 있으며, 동쪽 550m 전방쯤에 ‘말똥바위’가 있고, 그 밑에는 졸병들이 거처하던 1백여 개의 작은 바위가 있는데, 이를 ‘졸병바위’라고 전한다. 희리산은 명창 이동백이 득음하던 곳으로도 유명하며 지금도 동굴이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희리산 최고봉 문수봉 정상부는 헬기장이 조성되어 있다. 그런 만큼 주변 조망이 거침없다. 금강이 서해바다와 만나는 금강하구언과 장항, 군산시가 손에 잡힐 듯 조망되며 산 너머까지 조망되는 서천 서남부 해안의 서해바다는 아득하여 신비롭기까지 하다. 특히 문수봉에서 서천군청 소재지인 군사리 쪽을 바라보면 매우 경치가 아름답다.

서산8경:

1경: 마량동백나무숲과 해돋이. 2경: 금강하구철새도래지. 3경: 한산모시마을. 4경: 신성리갈대밭. 5경: 춘장대해수욕장. 6경: 문헌서원. 7경: 희리산자연휴양림. 8경: 천방산 풍광 중 제7경에 속한다문수산:

서천군 판교면과 종천면에 위치한 산이며 두 산이 서로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중간에  ‘희리산 자연휴양림이 자리하고 있다. 참고: 어메니티 복지마을의 ‘어메네티’는 환경성. 쾌적성의 뜻이다. (출처: 배창랑과 그일행)

 

산줄기이야기

금북기맥: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보령 청양 서천

백두대간 속리산에서 분기한 한남금북정맥이 경기도 안성땅 칠장산에서 한줄기를 더내어 경기도를 서북으로 가르며 한강의 온전한 남쪽의 울타리를 치면서 김포 문수산을 지나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곳에서 끝이 나는 한남정맥을 떨구고 한줄기는 남쪽으로 머리를 틀어 충청남도 내부를 아우르며 금강의 북쪽 울타리를 치면서 남으로 남으로 달리다 충남 보령시 청라면 청양군 화성면 남양면의 삼개면 경계를 이루고 있는 백월산에서 금강하고는 전혀 무관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 충청남도 서부 해안가를 구분 지으며 북으로 머리를 틀어 수려한 덕숭산 가야산 석문봉을 거쳐 올라가다 은봉산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유행가 가사에도 나오는 연포해수욕장 옆으로 해서 안흥진 바닷가에서 그 맥을 다하는 금북정맥이 산경표에 기록되어 있다

금북기맥희리단맥

금북기맥이 장항으로 가면서 월명산 천덕산 옥녀봉어깨를 지나 금북기맥희리단맥은 보령시 미산면 풍산리와 부여군 옥산면을 잇는 찬샘골 도로에서 잠시 올라간 보령시 미산면, 서천군 판교면, 부여군 옥산면의 삼면봉인 등고선상230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617번지방도로 갈로고개(170, 1.9)에서 올라간 등고선상330봉(1.5/3.4)에서 서쪽으로 금북기맥희리장태단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617번지방도로 장항선 철로 온동굴(3/6.4)-아굴산(122)-양지뜸도로(1.3/7.7)-꽃뜸산(170)-문수산(270, 1.4/9.1)-한티재-희리산(329.3) 전위봉(250, 1/10.1)-서해안고속도로 종천터널(3.2/13.3)-21번국도 수레넘어재(50, 1/14.3)-연수암-영종암-왕심산(101)어깨-서천읍 신송리 5번군도 장마루(1.2/15.5) 지나 논두렁으로 진행한 후 서천시 종천면 장구리 원장구마을 지난 판교천이 황해바다 장구만으로 흘러들어가는 곳(0, 1.7/17.2)에서 끝나는 약17.2km의 산줄기를 말합니다. (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