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룡산, 방갓산, 천황산
방갓산의 유래는 칠곡면(七谷面)은 방갓산이 막아섰기 때문에 길지(吉地)요, 그렇기 때문에 막을 방(防)자를 썼다는 것이다. 칠곡면(七谷面)은 경남 의령군의 남서부에 있는 면이다. 동쪽·남쪽·북쪽은 가례면, 화정면, 대의면과 각각 접하고, 서쪽은 진주시와 마주한다. 동북부에 자굴산(897m)을 비롯하여 망룡산(442m), 천황산(345m), 방갓산(381m) 등에 둘러싸여 있다. 북부와 서부의 산지에서 발원한 하천들이 면의 중부를 가로질러 흐르고 이 일대에 침식분지가 펼쳐진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산줄기이야기
진양기맥
백두대간 남덕유산에서 동쪽으로 분기해 월봉산(1280m), 금원산(1353m), 기백산(1331m), 매봉산(750m), 소룡산(780m), 황매산(1108m), 철마산(378m), 한우산(746m), 자굴산(897m), 광제봉(347m)을 지나 진양호를 빠져드는 도상거리 약 159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이 산줄기는 하동을 제외한 서부경남의 전지역인 함양, 거창, 합천, 산청, 의령, 진주등 6개 시군을 지나며 서쪽의 남강과 동쪽의 낙동강 사이를 가른다. 경상도 지역의 유일한 기맥인 진양기맥은 원래 한우산에서 응봉산(597m), 우봉산(372m), 옥녀봉(342m)을 거쳐 낙동강-남강 합수점으로 향하는 것이 정석이라 할 것이다. 하지만 산줄기가 진양호 쪽으로 도상 거리 약 20km 더 이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맥꾼들은 종주방향을 아예 남쪽으로 잡고 있는 실정 이다.
진양벽화단맥
백두대간 초점산에서 진양기맥이 분기하여 흐르다가 의령의 진산 자굴산을 지나 진양호로 잠기기전 의령군 대의면, 칠곡면, 진주시 대곡면의 삼면봉인 天皇산(364)에서 진양기맥은 서쪽으로 흘러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흐르다가 의령군 칠곡면, 화정면, 진주시 대곡면의 삼면봉인 방갓산(390, 1.5)에서 동남방향으로 진양벽화대방단맥을 흘리고 북동방향으로 뻗어 의령군 칠곡면과 화정면의 경계를 따라 △342.6지점(0.5/2)-1013번지방도로 불티재(190, 1.5/3.5)-의령군 칠곡면, 가례면, 화정면의 삼면봉(430, 2/5.5)-의령군 가례면, 의령읍, 화정면의 삼경지점(350, 1/6.5)에서 의령읍과 화정면의 경계를 따라 碧華산(521, 2.3/8.8)-임도(410, 0.6/9.4)-510봉(1.2/10)-남현(390, 0.5/10.5)-임도(270, 1.2/11.7)-박대산(330, 0.3/12)-1037번지방도로 구부령(110, 1.8/13.8)-230봉(2.2/16)에서 경계를 떠나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222.9봉(1.6/17.6)-301봉-만새곡안부(170, 2.2/18.8)-南산(△320.8, 0.6/19.4)-235봉(1.1/20.5)-11번군도 구룡고개(90, 0.8/21.3)-△109.7봉(1.5/22.8)-79번국도(30/0.4/23.2)를 지나 의령읍 정암리 구도로 의령개문 정암루(30, 0.2/23.4)을 지나 논두렁으로 진행해 의령천이 남강을 만나는 곳(30, 1.3/24.7)에서 끝나는 약24.7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
누가 : 신경수
어디를 : 진주시 대곡면 용암리 절골 버스종점에서 천황산으로 올라 진양벽화단맥을 따라 1037번지방도로 구부령까지
천황산(364) : 의령군 대의면, 칠곡면, 진주시 대곡면
벽화산(521) : 의령군 의령읍, 화정면
박대산(330) : 의령군 의령읍, 화정면
구간거리 : 15.1km 접근거리 : 1.3km 단맥거리 : 13.8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