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옥천의 마성산, 이슬봉, 참나무골산

꼴통 도요새 2016. 4. 18. 09:28

옥천 마성산, 이슬봉, 참나무골산 

1. 산행지: 마성산(馬城山 409m), 이슬봉(454.3m), 참나무골산(419.2m)

2. 위치: 충북 옥천군 옥천읍, 동의면, 군북면

3. 일시: 2016년 4월 17일(일)

4. 날씨: 흐리고 강한 바람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4시간

7. 난이도: 중급

8. 들머리/ 날머리: 육영수여사 생가/ 장계리 버스정류장

9. 산행코스: 육영수여사 생가앞 주차장->육영수여사 생가->마성산 들머리->섯바탱이 고개->마성산 정상->늘티산성->며느리재->이슬봉 정상->참나무골산 정상->장계리 버스 정류장

10. 특징:

마성산

충북 옥천군의 옥천읍 교동리와 수북리 경계에 있는 산이다.신증동국여지승람"마성산(馬城山)은 고을 북쪽 2리에 있다. 진산이다. 세상에 전하기를, 지방 사람들이 말의 조상에 제사 지냈으므로 이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마성산이 옥천군의 진산이며, 그 지명 유래가 말[]과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지도서"마성산은 군 북쪽 2리에 있는 진산이다. (중략) 본래 지륵산으로부터 맥이 온다."라는 기록이 있어 마성산의 맥을 밝히고 있다. 이 밖에 해동지도1872년지방지도에도 당시 옥천군의 읍내면에 마성산이 표기되어 있다. 한국지명총람에는 마성산의 다른 명칭으로 '일자봉(一字峯)'이 기록되어 있는데, 산 모양()을 표현한 지명으로 보인다. 실제 옥천 구읍(舊邑) 뒤의 산 능선은 북동-남서 방향의 '()'자 형태를 보이고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옥천에는 3개의 마성산(馬城山)이 있다. 옥천읍 소정리와 군서면 금산리 경계에 용암사를 품고 있는 서마성산, 지형도에는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죽향리에 위치한 동마성산, 그리고 이번에 소개하고자 하는 교동리에 위치한 마성산이다.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산은 단연 교동의 마성산. 전국을 통틀어 이곳만큼 가장 다양하게 테마 산행지를 기획할 수 있는 곳은 없다. 시인 정지용 생가와 문학관, 육영수 여사의 생가, 그리고 아름다운 3개 봉우리가 연이어진 등산로, 사양길에 접어들었다지만 그 명성이 남아 있는 장계국민관광지를 차례대로 연결해서 돌아볼 수 있다

이슬봉, 참나무골산

이슬봉과 참나무골산은 옥천군 안내면 장계리 소재 장계교 서북쪽지역이며, 37번 국도가 통과하는 장계교는 장계국민관광지 남서쪽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곳에 장계리 버스정류소가 있다. 장계교 우측으로는 건설중인 교량이 보이는데, 이 방향으로 가면 세계불교법륜종 영덕사 안내문이 보이고, 바로 앞 우측에는 등산이정표가 있지만 등산로가 폐쇄되어 돌아가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건설 중인 교량 아래에 우측으로 등산로가 있는 큰 간판이 있어 쉽게 길을 찾을 수 있으며, 등산로가 잘 만들어져 있다.

산행코스:

이 산들의 일반적인 산행코스로는 옥천 육영수여사 생가의 돌담을 끼고 돌면 마성산 들머리 이정표가 나오는데, 이곳에서 마성산->며느리재->이슬봉->참나무골산으로 통과하여 장계국민관광자로 하산을 한다. 장계국민관광지에서는 옥천으로 들어오는 버스가 약 30분에 한 대씩 있어, 차를 육영수여사 생가 앞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통과 산행을 하여도 별 어려움이 없으며, 대부분의 등산로 또한 잘 조성되어 있고, 산행 중간에 수시로 나오는 전망대에서 금강과 어우러진 주변 산군들의 조망이 멋진 곳이다.

 

산줄기이야기

 

(같은 산줄기 이지만, 줄기명과 거리가 각각 다르다)

장령지맥

금남정맥에서 분기한 식장지맥의 하위 지맥으로 금성산(438.2m) 서쪽 약 200m지점 분기점에서 방화봉(放火峰.555.1m), 국사봉(國師峰.669.9m), 대성산(大聖山.704.8m), 매봉(600m), 장령산(長靈山.655m), 도덕봉(406.9m), 함박산(250.2m), 퇴미산(249m), 돌남삼(258.1m), 마성산(馬城山.409.3m), 이슬봉(451.8m), 참나무골산(419.2m) 등을 지나쳐 장계관광지앞 금강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로 도상거리는 48.8km에 이른다.(출처: 다음)

금남서대지맥

금남정맥이 북진을 하며 보룡고개 지나 무명 690봉에서 서남방향으로 원등단맥을 떨구고 운장산 서봉에서 운장단맥을 분기하고 북진하여 싸리재에서 올라친 무명 750봉에서 서북으로 금남기맥을 분기하고 잠시 북진하여 무명 750봉에서 동쪽으로 성치지맥을 분기한후 잠시 북진하여 713.5봉에서 서북으로 천등단맥을 분기한후 서북진한다 635번지방도로 배티재를 내려섰다 인대산으로 가면서 무명 610봉에서 정맥은 서북진하고 동북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금산군 진산면과 남이면의 경계를 따라 열두봉재(410, 2.5)에서 올라친 등고선상 470봉에서 동남방향으로 금산의 진산인 진악단맥을 떨구고 동북진한다 진산면과 금산읍의 경계를 따라 월봉산(543, 1/3.5)에서 진산면과 금성면의 경계를 따라 월봉재(350, 1.8/5.3) 순목도로(250, 1/6.3) 325봉 지나 690번지방도로 소리니재(250, 3.5/9.8)를 건너간다 ◬310.5봉 385봉 성밑도로(290, 2.5/12.3) 금성산(◬438.6, 1.4/13.7)에서 서북으로 식장분맥을 떨구고 지맥은 추부면과 금성면의 경계를 따라 동북진하여 37번국도 미륵재(230, 1.5/15.2) 대진고속도로 삽재(290, 1.6/16.8) 성재(◬429.1, 0.6/17.4)에서 떨어져 내린 십자안부(350, 0.5/17.9) 지난 무명 450봉에서 동남방향으로 닭이여맥을 떨구고 추부면과 군북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수암재(350, 1.2/19.1) ◬411.4봉 601번지방도로 민재(230, 2.8/21.9) 450봉 넘어 서대산 오름길에 정상 1.5km 전 등고선상 570m(1.8/23.7) 지점에서 북쪽으로 서대산 정상을 외면하고 동남진하여 군북면을 동서로 나누며 ◬430봉 방화봉(550, 2.5/27.2) 비들목재도로(370, 0.5/27.7) 국사봉(◬667.5, 1.2/28.4)에서 남쪽으로 발군여맥을 떨구고 군북면과 제원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590봉에서 남쪽으로 천앙여맥을 떨구고 525봉 신안고개(410, 2.8/31.2) 716봉(1.4/32.6)에서 남쪽으로 천태여맥을 떨구고 금산군 군북면과 영동군 양산면의 경계를 따라 북진을 한다 670봉(0.8/33.4)에서 동쪽으로 마니단맥을 떨구고 충남 금산군 군북면과 충북 옥천군 이원면의 경계를 따라 북진을 한다 709봉(1.3/34.7) 꼬부랑재 대성산(◬704.8, 2.1/36.9)-매봉(570, 1.7/38.6)- 지내재(530)-금산고개(470, 0.8/39.4)-◬546.7봉(1.5/40.9)까지 가면 서대산을 넘어선 770고지에서 시작한 산줄기가 원형으로 한바퀴 돌아 펀치볼을 만들어 놓은 특이한 지형을 형성한다  즉 그 원안에 있는 마을은 군북면 보광리 산안리 상곡리가 있으며 개울 이름도 상곡천이다 그 상곡천은 서대산 북쪽 내림능선상 770고지에서 동진으로 도경계를 따라 내려가 상곡천을 건너 ◬546.7봉까지 연결하는 산줄기에 쌓여 오직 한곳 협곡을 통하여 북쪽으로 빠져나가면서 금천천이 되며 서화천이 되어 금강으로 흘러든다 그 산줄기의 생긴 형상이 마치 양구군 해안면과 흡사하나 단지 그 규모가 작으며 그 펀치볼 안으로 작은 산줄기들이 산재해 있는 것이 다를 뿐이며 그 안에 있는 물이 단 한곳으로 빠져나가 서화천이 되는 것도 같다 하여간 이 546.7봉에서 북진하여 옥천군 군서면과 이원면의 경계를 따라 장령산(659, 1/41.9) 지난 590봉에서 북쪽으로 마성여맥을 떨구고 옥천읍과 이원면의 경계를 따라 동진하여 경부선 솔치굴(190, 3.6/45.5) 도덕봉(◬407.3, 0.8/46.3)에서 옥천읍과 동이면의 경계를 따라 북진하여 4번국도(130, 1.2/47.5) 185봉 귀죽마을 귀화마을 농로(130, 3.1/50.6) ◬258.6봉 경부고속도로 자고치(130, 1.7/52.3) 개미재 구덕재 나무티재(130, 3.6/55.9)에서 옥천읍의 북단을 자르며 북진하여 마성산(◬409봉, 1.5/57.4) 할애비산(310, 1.4/58.7)에서 옥천군 군북면과 안내면의 경계를 따라 동북진하며 오른쪽으로는 절벽에 가까운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금강변을 따라 장계교까지 가는 길이 된다 며느리재(230, 0.5/59.3)-이슬봉(△454.3)-참나무골산(430, 2.2/61.5) 37번국도 금강을 건너는 장계교 위 도로(110, 3/64.5)를 건너 장계국민단지로 들어가 금강변(70, 1/65.5)까지  도상거리 약65.5km정도의 산줄기를  마땅히 부를 이름이 없어 서대산 정상은 지나지 않지만 서대산은 지나므로 충남에서 제일 높은산으로 명성을 얻고 있는 서대산의 이름을 빌어 금남정맥에서 분기하였으므로 금남서대지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