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경남 창녕 신선봉, 영취산, 병봉, 종암산, 함박산

꼴통 도요새 2016. 6. 26. 17:32

경남 창녕 신선봉, 영취산, 병봉, 종암산, 함박산

 

1. 산행지: 신선봉(628m), 영취산(681.5m), 병봉(673m), 종암산(546m), 함박산(501m)

2. 위치: 경남 창녕군 계성면, 영산면

3. 일시: 2016625()

4. 날씨: 맑고 덥고 약간의 바람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7시간 20분

7. 난이도: 상급

8. 들머리/ 날머리: 보덕암 아래 도로가 주차(원점회귀)

9. 산행코스: 보덕암 아래~보덕암~신선봉~영축산성~영취산 삼거리~영취산 왕복~구봉사 갈림길~능선 삼거리~추모비석~병봉~임도~화왕산 갈림길~종암산 갈림길~종암산~삼거리봉(뾰족봉)~함박산~약수암~영산 석빙고~보덕암 아래

10. 특징:

영취산(靈鷲山)

경남 창녕군의 계성면 사리와 영산면 구계리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 골짜기를 마주보고 나란히 솟은 함박산과 함께 영산면 소재지를 품고 있는 형상이다. 옛 이름은 수리뫼, 취산(鷲山)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영산)"현의 동북쪽 7리에 있는 진산."이라고 하였으며, 또한 "서역의 중 지공(指空)이 여기 와서 '이 산이 천축(天竺)의 영취산과 모양이 같아 이렇게 부른다.'고 했다."라고 기록하여 지명의 유래에 대해 전하고 있다. 옛 지명인 '취산'이 불교가 전파되면서 부처가 설법한 천축에 있는 '영축산'과 같은 이름으로 부른 것으로 보인다. 이곳에서는 표기는 '영취산(靈鷲山)'이라 쓰고, 속음은 '영축산'으로 읽어 천축의 축산으로 여긴다고 한다. 북악기우단(北嶽祈雨壇)이 정상에 있어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냈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를 비롯한 지리지와 고지도에서는 모두 '영취산(靈鷲山)'으로 기재하고 있다. 지도에서 현읍 북쪽에 진산인 영취산이 우뚝 솟아 있는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다. 산 아래 향교를 둘러싸고 있는 서쪽 능선 끝에 태자산이 기재되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신라 태자의 묘가 있다고 해서 유래된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함박산(函朴山)

함박산은 한국에는 너무 흔한 산 이름이다. 용인, 평택, 양산, 경주, 음성, 창녕, 부산 기장면, 밀양 등 여러 곳에 함박산이라는 같은 이름으로 존재하는 산이고 내려오는 전설도 대부분 비슷비슷하다.

종암산

부곡온천 뒤에 있는 산이며, 정상에는 나무데크가 있다

함박산 약수터

작약교에서 함박산 정상을 향해 400m 가량 올라가면 약수터가 있다. 약수터 200m 아래 영산 석빙고(사적 제169)가 있다. 이 약수는 함박산의 중턱에 있는 약물의 샘으로 근처의 경치도 좋거니와 약수가 위장병에 효력이 있다하여 원근의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데, 지금은 출입을 막아 놓았으며, 약수암 아래는 산책로 공사 중이다.

 

산줄기이야기


  이 산줄기도 인터넷 검색 결과 두 가지로 되어 있다 

열왕지맥 (烈旺枝脈) 

낙동정맥 사룡산에서 서쪽으로 분기한 비슬지맥이 비슬산을 솟구치고 남으로 방향을 바꾸어 비티재를 넘고 화왕산으로 향한다. 비티재에서 7km되는 거리에 천왕산(619m)이 있다. 천왕산에서 비슬지맥에서 따로 분기하여 남으로 내려가면서, 동으로 청도천을 가두어 낙동강으로 흘려보낸다. 주요봉우리: 천왕산(619.2) 열왕산(662.5) 영취산(738.7) 종암산(546) 덕암산(543.9) 처녀봉(446.2) 비룡산(352)  

비슬화왕영취단맥

비슬화왕지맥이 비슬기맥 비슬산에서 화악산으로 가면서 경북 청도군 풍각면, 각남면, 경남 밀양시 청도면, 창녕군 성산면의 사면봉인 천왕산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한 비슬화왕지맥이 흐르다 열왕산을 지나 올라간 창녕군 고암면, 창녕읍, 밀양시 청도면의 삼면봉인 도면상 669.8봉에서 화왕지맥은 서쪽 화왕산으로 가고 동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흐른다 510.9지점-590.2-1080번지방도로 심명골임도(510, 3.6)-靈鷲(736, 2.1/5.7)-648-638봉을 지나 창녕군 영산면, 계성면, 밀양시 무안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590m 지점(570, 3.3/9)에서 서북방향으로 비슬화왕영취영축단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보름고개(390, 1/10)-415.9-宗岩(546, 1.5/11.5)에서 서남방향으로 비슬화왕영취도덕단맥을 떨구고 동남진 하여 큰고개(296, 1.5/13)-德岩(544.5, 1/14)-삼방고개(330, 1.2/15.2)를 지나 79번국도 팔도고개(90, 2.2/17.4)로 내려선다. 292-393-비공고개(210, 3.1/20.5)-처녀봉(450, 0.9/21.4)-비룡산(410, 0.7/22.1)-352봉을 지나 형식적인 산줄기는 끝나고(30, 2/24.1) 이후 논두렁으로 이어지며 창녕군 부곡면 학포리 마전마을 천왕산이 발원지인 청도천이 낙동강을 만나는 곳(10, 2.1/26.2)에서 끝나는 약26.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靈鷲(736) : 창녕읍, 밀양시 무안면

宗岩(546) : 창녕군 영산면, 부곡면, 밀양시 무안면

德岩(544.5) : 창녕군 부곡면, 밀양시 무안면















































































































'경상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청 바랑산 소룡산  (0) 2017.02.20
월봉산(月峰山)  (0) 2016.09.22
한가한 시기 쫓비산, 갈미봉을 찾아서  (0) 2016.06.08
남해의 진산 망운산  (0) 2016.06.08
하동 금오산 우중산행  (0) 2016.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