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도

배부른산, 감박산, 봉화산, 포복산

꼴통 도요새 2016. 8. 11. 14:57

배부른산, 감박산, 봉화산, 포복산

 

강원 원주시 흥업면 사제리 산 32-1

산행코스 : LPG 충전소 - 능선길 - 봉화산 - 철탑삼거리 - 감박산 - 가마바우(왕복) - 배부른산(포복산) - 안부 사거리 - 도로공사현장 - 충정교회 - 이마트 (도상거리 : 7.4km)

10. 특징:

배부른산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과 흥업면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고도437m). 포복산 · 배부릉산이라고 부른다. 예전에는 식악산(食岳山)이라고 불렀다. 산 지명이 옛날 원주에 홍수가 나면 문막 쪽의 배를 이 산에서 불렀던 데서 연유했다는 설과 산의 모양이 만삭의 임산부 배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식악산이 "주의 서쪽 15리에 있다."고 쓰고 있다. 여지도서강원도원주군읍지에도 같은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1872년지방지도에는 '식악산'으로 표시되어 있다. 조선지지자료에는 '포복산''배부른산'이 모두 표기되어 있고 판제면(板梯面) 3리에 있는 것으로 나온다. [네이버 지식백과]

 

포복산[ 胞服山]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과 흥업면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산이다(고도419m). 조선 시대에는 '식악산(食岳山)'이라 불렸으며, 멀리서 바라보면 아기를 밴 임산부의 상이어서 '배부른산'이라는 별칭도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주의 서쪽 15리에 있다."는 기록이 있다. 원주시의 서남쪽에 있는 산이다. 북쪽으로 봉화산과 연결되고, 서쪽에는 백운천이 흐른다. 산 동쪽으로 중앙고속도로와 19번국도가 지나가며, 남쪽 기슭에는 화봉암이라는 사찰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산줄기이야기


 

치악천등배부른(포복)분맥

치악기맥이 치악산을 훌쩍 넘어 남대봉에서 가리파고개로 분기하여 치악천등지맥이 흐르며 벼락바위봉을 지나 양백운산 중간 지점인 군부대 군사도로가 있는 곳(930)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824.8-715.7-어깨봉(708.2(3.2)-545.5-白雲(535.7, 2.2/5.4)-흥업~관설간 고속도로(450, 1.5/6.9)-10번군도(350, 0.4/7.3)-중앙고속도로(1.4/8.7)-214.5(1/9.7)-구곡교회삼거리-구곡배수지-등고선상250-청구아파트 서원주초교입구-230(1.5/11.2)-현지에버빌-동보노빌리타-중앙고속도로(190, 1.5/12.7)-진억이도로(150)-19번국도(150, 1.8/14.5)로 내려선다. 남원주요금소-대성중고교-胞腹(배부른산, 417.6, 1.5/16)-331.9-312.7-중앙고속도로 만종터널위(250, 2.2/18.2)-鳳華(330, 1/19.2)-42번국도 삼거리(150, 1.5/20.7)-중앙선 철로 만종터널(190, 1.2/21.9)-우무개고개 도로(150)-영동고속도로(170, 1/22.9)-262.6(0.5/23.4)-원주시 지정면, 원주시, 호저면의 삼면봉인 장구봉(350, 1.2/24.6)-253.2(1.3/25.9)-중앙고속도로(130)-409번지방도로 쉬고개(130, 0.8/26.7)-324(1.3/28)-원주지식기반형기업도시 5번군도(130, 1.5/29.5)-226.6(1.5/31)-7번군도 당고개(130, 2/33)-220-평장동 도로(150)를 지나 등고선상210(1.5/34.5)에서 우측 북서방향으로 흐름을 잡고 월림산(209.2, 2.2/36.7)을 지나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섬강변(70, 1.1/37.8)에서 끝나는 약37.8km의 산줄기를 말하거나 서남방향으로 흐름을 잡고 군부대철책을 따라 중앙선철로 간현터널 위를 지나 88국지도 삼거리 곤충마을이 있는 노루고개(간현고개)(90, 1.7/36.2)-간현공동묘지인 140.2-130봉을 지나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신중앙선철로 서원역 매지천이 섬강을 만나는 곳(170, 1/37.2)에서 끝나는 약37.2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