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천남성

꼴통 도요새 2016. 10. 24. 11:22

천남성

동의어 삼봉자(三棒子), 남성(南星) 다른 표기 언어 天南星



학명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지의 그늘지고 습한 곳
번식 분근·씨
약효 부위 덩이뿌리
생약명 천남성(天南星)
15~30cm
천남성과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가을~겨울
취급요령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따뜻하며, 맵고 쓰다.
독성여부 있다.
1회 사용량 뿌리 1~3g
주의사항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두루미천남성·점박이천남성


새발 모양의 잎이 줄기에 1개 달리는데 5~11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은 잎은 길이 10~20cm인 달걀 모양의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5~7월에 보라색 또는 녹색 꽃이 줄기 끝에서 육수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턱잎의 통 부분은 녹색이며 길이는 8cm 정도이다. 꽃차례의 연장 부분은 위에서 모자를 쓴 것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끝이 뾰족하다. 꽃밥은 자줏빛이고 씨방은 녹색이다.


열매

9~10월에 장과가 옥수수알처럼 모여 달려 빨갛게 익는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남성(南星)·남생·두여머조자기·창사두초라고도 한다. 덩이뿌리는 지름 2~4cm의 편평한 구형이며 주위에 2~3개의 작은 덩이뿌리가 달리고 위쪽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검은 녹색이고 간혹 자줏빛 반점이 있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신경계 질환을 다스리며, 구토증에 특효가 있다.

관련질병: 간경변증, 간질, 거담(혈담), 건위, 경련, 관절염(화농성관절염), 구토, 늑막염, 담, 류머티즘, 마비, 배뇨통, 상한, 습담, 신경통, 요통(어깨결림증, 항강증), 중풍, 창종, 척추질환, 취한, 파상풍, 해수, 혈담
소아질환: 경풍


주의사항

이 약재는 독성이 강하므로 주의 하여야 한다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국  (0) 2016.10.24
꽃향유  (0) 2016.10.24
노루궁뎅이버섯  (0) 2016.10.24
청미래덩굴  (0) 2016.10.18
구절초  (0) 2016.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