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지도

천년고찰 태안사를 품은 곡성 봉두산

꼴통 도요새 2016. 11. 30. 14:12

천년고찰 태안사를 품은 곡성 봉두산

 

1. 산행지: 봉두산(동리산, 753m)

2. 위치: 순천시 황전면.월등면, 곡성군 죽곡면

 

8. 들머리/ 날머리: 태안사(원점회귀)

9. 산행코스:

가) 태안사~성기암~외사리재~봉두산~북봉~절재~태안사

나) 원달재 - 강청봉 : 1.3km ~강청봉 - 송소리볼 : 0.8km ~송소리봉 - 외사리재 : 1.3km ~외사리재 - 태안사갈림길 : 0.5km ~태안사갈림길 - 외동골 : 1.9km ~외동골 - 봉두산 : 0.4km ~봉두산 - 북봉 : 0.8km ~북봉 - 상한봉 : 2.8km ~장척입구(857번지방도) - 월룡저수지위갈림길 : 1.9km ~월룡저수지위갈림길 - 외사리재 : 1.5km ~농곡 - 감시대봉 : 1.8km ~감시대봉 - 팔자봉 : 1.3km `팔자봉 - 502m봉 : 1.5km ~502m봉 - 외동골 : 0.8km ~봉성입구 _ 미합산성 : 0.3km ~미합산성 - 상재산 : 2.3km ~상재산 - 북봉 : 2.1km ~태안사 - 태안사갈림길 : 0.8km ~태안사 - 절재 : 1.3km ~절재 - 봉두산 : 1.1km ~절재 - 상한 : 1.0km

10. 특징:

봉두산에 자리잡은 태안사 현판에는 이 산의 이름이 `동리산'으로 써 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유래가 전해온다. 봉황이 서식하는 나무가 오동나무인데 태안사를 둘러싼 주변 형세가 그 오동나무 속처럼 아늑하다해서 동리산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름이 언제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두 이름에 연관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봉황이 서식하는 나무가 오동나무이고 태안사가 자리잡은 곳을 둘러싼 주변 산세가 오동나무 줄기 속처럼 아늑해서 동리산이라 불렀으며 둘러싼 주변산세의 최고점을 봉황의 머리 즉 봉두산 이라 부른다. 태안사는 신라 경덕왕 때 창건되었으며, 대안사 광자대사비(보물 275)·대안사 광자대사탑(보물 274) 등이 있다. 봉두산 주변에는 곡성 특유의 내륙산지를 이루고 있어 정상에 올라서면 순천쪽 황학리의 작은 들판을 제외하고 주변 조망이 온통 산 뿐이다. 남서쪽으로 삼산과 희아산 능선 넘어로 모후산이 오똑하고 북서쪽으로는 통명산 넘어 무등산까지 시야가 트인다. 동쪽으로는 둥주리봉과 자라봉, 그리고 지리산이 장막을 치고 있다. 이러한 내륙산지 조망이 산행의 맛으로는 제일이지만 봉두산은 태안사 여행에 초점을 맞추어도 좋은 산이다.

 

봉두산에 자리 잡은 태안사 현판에는 이 산의 이름이 `동리산'으로 적혀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유래가 전해온다.

봉황이 서식하는 나무가 오동나무인데 태안사를 둘러싼 주변 형세가 그 오동나무 속처럼 아늑하다해서 동리산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러나 그 이름이 언제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두 이름에 연관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봉황이 서식하는 나무가 오동나무이고 태안사가 자리잡은 곳을 둘러싼 주변 산세가 오동나무 줄기 속처럼 아늑해서 동리산이라 불렀으며 둘러싼 주변산세의 최고점을 봉황의 머리 즉 봉두산 이라 부른다. 태안사는 신라 경덕왕 때 창건되었으며, 대안사 광자대사비(보물 275)·대안사 광자대사탑(보물 274) 등이 있다. 봉두산 주변에는 곡성 특유의 내륙산지를 이루고 있어 정상에 올라서면 순천쪽 황학리의 작은 들판을 제외하고 주변 조망이 온통 산 뿐이다. 남서쪽으로 삼산과 희아산 능선 넘어로 모후산이 오똑하고 북서쪽으로는 통명산 넘어 무등산까지 시야가 트인다. 동쪽으로는 둥주리봉과 자라봉, 그리고 지리산이 장막을 치고 있다. 이러한 내륙산지 조망이 산행의 맛으로는 제일이지만 봉두산은 태안사 여행에 초점을 맞추어도 좋은 산이다.

산줄기이야기

단맥이란?

산줄기의 길이가 10km 이상 ~ 30km미만의 산줄기를 말한다.

호남희야단맥

닭봉~봉두산으로 이어지는 17.5km의 산줄기이다(출처: 산경표따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