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지도

청송 주왕산, 태행산 대둔산

꼴통 도요새 2017. 2. 24. 14:19

청송 주왕산, 태행산, 대둔산

 

1. 산행지: 주왕산, 태행산(933m), 대둔산(900m)

2. 위치: 경북 청송군 진보면 괴정리

 

10. 특징:

경북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있는 주왕산(周王山)국립공원은 산은 그리 높지 않으나 거대한 암벽이 병풍처럼 둘러싼 산세가 기이하면서도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특히 대전사(大典寺)에서 제3폭포에 이르는 4km에 이르는 계곡은 주왕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보여준다. 대전사 뒤편에 솟은 흰 바위봉우리는 주왕산 산세의 특이함을 대표하는 기암이다. 회류응회암으로 된 봉우리들은 그 생김새가 매우 매끄러워 보이는데 화산재가 용암처럼 흘러내려가다가 멈춰서 굳은 것으로 석질의 성분으로 구성돼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으며 이 기암처럼 주왕산의 봉우리들은 회류응회암으로 이뤄졌다. 예부터 석병산, 대둔산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으며 지난 1976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점 등을 고려하여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으로 선정됐다. 방천 계류와 폭포, , , 그리고 죽순처럼 솟아오른 암봉 및 기암괴석, 여기에 울창한 송림이 한데 어우러져 한 폭의 산수화 같은 절경을 빚어낸다. 주왕산에는 대전사와 광암사 등 유서깊은 사찰을 비롯해서 주왕암과 백련암 등이 있다. 대전사에는 사명대사의 진영과 당나라 장군 이여송이 사명대사에게 보낸 친필 목판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주왕산의 11경은 기암, 자하성, 백련암, 주왕굴, 시루봉, 급수대, 학소대, 연화굴, 향로봉, 복암 폭포, 좌암 등이다. 주왕산은 태행산, 관음봉, 촛대봉 등 여러 산봉들 외에도 주왕굴, 무장굴 등의 굴과 월외폭포, 주산폭포, 내원계곡, 월외계곡, 봉산못, 구룡소, 아침 햇살이 바위에 비치면 마치 거울처럼 빛을 반사하는 병풍바위, 등도 명소이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낙동태행단맥

낙동정맥이 백두대간 태백 매봉산 천의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며 주왕산 국립공원내로 들어와 남진하면서 오른 청송군 청송읍, 진보면, 영덕군 지품면의 삼면봉인 大遯(903)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진보면과 청송읍의 경계를 따라 도토매기고개(590, 1.8)-太行(933.1, 1.6/3.4)-청송군 진보면, 파천면, 청송읍의 삼면지점(850, 0.8/4.2)에서 서쪽으로 낙동태행청송단맥을 떨구고 파천면과 진보면의 경계를 따라 북진한다. 장자구미안부(470, 1.8/6)-622.5(3/9)-소티맥이안부(430, 2/11)-656.5(1.3/12.3)-飛鳳(671, 3.7/16)-31번국도 구리곡재(230, 4/20)-374.5봉어깨(370, 1.3/21.3)에서 경계능선을 떠나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진보면내로 들어가 한실임도(210, 2.5/23.8)를 지나 진보면 합강리 반변천변(170, 2.5/26.3)에서 끝나는 약26.3km의 산줄기를 말하거나 경계능선을 계속 따라가 387-살구미도로(210)-243.7봉을 지나 진보면 어천리 덥버들 마을 반변천변(170, 5/26.3)에서 끝나는 약26.3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