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지도

대구 두루봉, 동학산, 대청봉, 상원산, 척령산

꼴통 도요새 2017. 7. 4. 13:15

대구 두루봉, 동학산, 대청봉, 상원산, 척령산

   

1. 산행지: 두루봉(599.3m), 동학산(603m), 대청봉(687.5m), 상원산(673m), 척령산(413m)

2. 위치: 대구시 가창면 상원리, 경산시 남천면

  

6. 산행소요시간; 5시간40(산행거리; 15.3km)

  

9. 산행코스: 상원리마을회관~가재골입구~솔뫼주차장~산길진입~능선(송전탑)~묵은 묘(상원분맥 합류)~능선~두루봉 삼거리~두루봉(삼각점)~포장임도(동학산1.2km이정표)~폐헬기장(2)~동학산~대청봉~남성현 갈림길(비슬지맥 합류.상원분맥 분기점)~임도(군부대울타리)~임도삼거리(비슬기맥이탈)~부대정문앞 샛길~군부대울타리~상원산(삼각점 점심12)~678.2~능선(독도주의 급경사)~안부~전망바위~615.8암봉~암릉길~능선 갈림길(우측)~묘지~임도~441~달성서씨 묘~척령산(삼각점)~능선길이탈(우측)~탱자나무울타리(농원)~상원리마을회관 도착

10. 특징:

동학산

동학산은 대구시 가창면과 경산시 남천면 경계에 있는 산으로 북으로 병풍산, 남으로 상원산과 이어져 있고 마치 학이 날아가는 형국이라 하여 동학산이라는 이름이 붙혀졌다. 동학산 정상 ()이 우아한 몸놀림을 연상시키는 산 이름이다. 정상은 나무로 싸여있으나 조망은 가능하다. 상원산으로 이어지는 길은 정상석에서 직진방향 내려서면 길이 급하게 뚝 떨어진다. 15분 정도 내려서서 15분 정도 올라서면 전망이 확 트이는 670m봉이다. 이 봉우리에서 정면으로군사시설이 보이는 봉우리가 상원산이다. 상원산 정상에는통신기지가철조망으로 둘러싸여 출입이 불가능하며 조망도 할 수가 없다. 정상의 통신탑이 있는 넓은 초원에는 억세풀로 장관을 이룬다.

  

산줄기이야기

비슬대덕단맥

낙동정맥 사룡산에서 분기한 비슬기맥 상원산 북동측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경산시 남천면, 청도군 이서면의 삼면 지점인 등고선상630 지점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달성군 가창면과 경산시 남천면의 경계를 따라 대청봉(670, 0.7)-動鶴(603, 1/1.7)-임도(510)-두루봉(599.3, 2/3.7)-임도(510)-477-비내고개 임도(430, 1.7/5.4)-屛風(571, 0.8/6.2)을 지나 대구시 수성구, 가창읍, 경산시 남천면의 삼면지점인 광산고개(530, 0.3/6.3)에서 서북방향으로 비슬대덕성암단맥을 분기하고 서북진 한다. 감태봉(581, 0.7/7)에서 서북방향으로 龍池(629)으로 가는 여맥을 떨구고 진밭골고개(450, 0.6/7.6)-521(0.7/8.3)-553.9(0.7/9)-586-大德(599.5, 1.5/10.5)-461-동부순환도로 당고개(170, 2.3/12.8)-217.4-무학봉(216.9, 2/14.8)-무학산(203, 1.8/16.6)-대구시 수성구 황금동 골든파크캐슬아파트(70, 0.6/17.2)-범어공원 139(1.5/18.7)-25번국도 수성경찰서(50, 1.1/19.8)-장촌시민공원(116.3, 0.8/20.6)-동대구역(70, 1.5/22.1)-경부선철로-덕성초교-신암공원-대동초교-연암공원(128.2, 3.7/25.8)을 지나 대구시 북구 산격동 대구 시내를 북쪽으로 흐르며 관통해온 신천이 금호강을 만나는 곳(30, 0.8/26.6)에서 끝나는 약26.8km의 산줄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