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영월 노적봉, 푯대봉, 도덕산

꼴통 도요새 2017. 9. 18. 05:26

영월 노적봉, 푯대봉, 도덕산

 

1. 산행지: 노적봉(565.1m), 푯대봉(561.6m), 도덕산(527.6m) 

2. 위치: 강원도 영월군 북면 덕상리(배일치 마을)

3. 일시: 2017년 9월 16일(토)

4. 날씨: 맑고 쾌청하고 시원한 바람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5시간 30분[약 14km]

7. 들머리/ 날머리: 덕상2리(배일치 장터) 원점회귀

8. 산행코스: 덕상2리 표지석앞(배일치 장터)~덕상2리 마을회관~덕전1교~덕전2교~아스팔트 끝(임도)~청용안~우측 노정봉 들머리~노적봉 정상~갈림길 표지판~하늘원두막 표지판~두치재~푯대봉 정상~배일치재~옛고갯길~403.9봉~도덕산, 배일치마을 갈림길~도덕산 정상(급 우측 90도)~수수밭~나모하우징~덕상2리 표지석앞(배일치 장터)

9. 특징: 

노적봉, 푯대봉, 도덕산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에 있는 산들이며 일반등산객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이지만, 낡은 두치재 등산안내판과 산행 중간중간에 나무판으로 만들어진 표지판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예전에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한 듯하다. 산행 중 가끔 펼쳐지는 조망과 두치재에 대한 유래, 배일치재의 단종에 대한 유래와 함께하면 한층 더 멋진 산행지라 생각된다.

배일치재

강원도 영월군 서면 광전리

이곳은 단종이 숙부 수양대군에게 보위를 양도하고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귀양지인 영월 청령포로 향하던 여정 중 한곳이다.주천면 신일리에서 잠깐 목을 축이고 잠시 쉰(쉼터) 다음, 임금이 올라갔다는데서 유래된 군등치 고개를 지나 우래실 마을에 들어서자 임금의 귀양 소식을 듣고 달려 나온 백성들이 땅을 치고 울며 왕을 맞았다고 하여 이곳을 명라곡이라 한다. 단종 일행은 백성들의 통곡을 뒤로하고 서면의 광전리 고개로 향한다.때는 1457년 시월 스물 며칠 (1457년, 6월, 22일 이포나루를 떠나 청령포에 28일 도착한 것으로 단종실록에 기록됨) 해가 저물어 석양에 배일치에 도착한 어린왕은 수행이 쉬는 틈을 타 한양을 향해 절을 올렸다고 한다. 다시는 볼 수 없을 모후와 어린 부인에게 향한 예을 올렸을 것이다. 배일치 정상에는 쉼터와 절을 올리는 단종의 상이 흰 대리석으로 조성되어 있고 전망대까지 설치되어 있다.(출처: 산림청)


산행 후기

오랜만에 신경수선배님과 함께 영월 한반도면 주변에 있는 산들을 탐방하기로 하였다. 처음 계획은 회봉산이나 갈까란 생각을 하였는데, 신경수선배님께서 푯대봉, 도덕산, 오로산을 함께 원점회귀로 그려보라 하신다. 먼저 선배님을 오로단맥 분기점 들머리 모셔다 드리고, 나는 오전에 노적봉, 푯대봉, 도덕산 3 산을 원점회귀로 그리고, 오후에 오로산을 그려보기로 하며 출발하였는데, 내가 생각하였던 것보다 산행로 상태가 좋았고, 대부분의 산들이 고도차가 크지 않아  편안한 산행이 되었다. 처음 출발지점의 배일치장터의 옛 모습과 가끔 산행 중간 신원하게 터지는 조망 그리고 산행 중 두치재에 대한 유래, 배일치재의 단종에 대한 유래 ...등등이 있어 한층 더 산행을 묘미를 더 한 것 같다.

 

우리산줄기이야기


한강영월삼방단맥

백두대간 오대산 두로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한 한강정맥(기맥)이 흐르다 계방산 가기전 홍천군 둔내면과 평창군 진부면 용평면의 삼면지점에서 동남방향으로 분기한 영월지맥이 남하하다 구영동고속도로 속사리재 지난 평창군 용평면, 진부면, 대화면의 삼면봉인 白積산(△1141.2)에서 서남방향으로 한강영월남당단맥을 분기하고 동남방향으로 평창군 대화면과 진부면의 경계를 따라 동남방향으로 흐르다 평창군 대화면 진부면 정선읍의 삼면봉인 住王산(중왕산, 佳王산, △1376.1)에서 동쪽으로 가리왕단맥을 떨구고 영월지맥은 서남방향으로 흘러 멧둔재 지난 평창군 평창읍 미탄면 영월군 북면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930봉에서 북서방향으로 평창읍과 영월군 북면의 경계를 따라 삼방단맥이 분기하여 흐른다 이로써 한강영월지맥에서 다시 분기한 5개의 산줄기가 끝난다  三芳산(△979.7, 2)-△922.5봉-도마치임도(550, 3.1)-莭介산(△876.1, 1.2/4.3)-756봉어깨-

말구리재(490, 1.7/6)-다래산(690)-등고선상650봉에서 서쪽으로 배거리산(△852.5, 여맥), 玉女봉(△589.7)을 떨구고 남진하여 △622.9봉을 지나 31번국도 원동재(460, 3.3/9.3)로 내려선다 등고선상 570봉에서 서쪽으로 鍾芝봉(570, 여맥)과 동북으로 露積봉(410, 여맥)을 떨구고 남진하여 임도-청용안임도삼거리(470, 2.7/12)-큰노적봉(570)-두치재(450, 3.1/15.1)-푯대봉(△561.6)-등고선상 550봉에서 서남쪽으로 흐르며 31번국도 신배일치(370, 2.6/17.7)-배일치(350, 0.3/18)-道德산(△508.6, 2.1/20.1)-옹정리도로(330)-신도로(330, 1.7/21.8)-선암마을 대한민국전도 전망대 -조야마을(170, 2/23.8) 인근을 지나 평창강변(150, 1.2/25)에서 끝나는 약25km의 산줄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