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사삼봉, 가칠봉, 매봉령(응복산)
1. 산행지: 사삼봉(1106.8m), 가칠봉(1204.4m), 응복산(매봉령, 1176.4m)
2. 위치: 강원도 홍천군 내면 명개리
3. 일시: 2017년 10월 7일
4. 날씨: 짙은 안개및 비
5. 누구랑: 강일님과
6. 소요시간: 8시간 20분(도상 거리: 약 12km)
7. 들머리/ 날머리: 삼봉휴양림 입구 돌탑(명개교)/ 삼봉휴양림 제2야영장 오수처리장
8. 산행코스: 삼봉휴양림입구 - 폐)안테나 - 사삼봉 정상 - 주능선 삼거리 - 가칠봉 정상 - 응복산 갈림길 - 방태산 갈림길- 응복산 정상 - 954봉 - 제2야영장 오수처리장
9. 특징:
가칠봉
가칠봉은 설악산과 오대산을 연결하는 중간쯤 위치에 있으며 응복산, 구룡덕봉, 방태산이 가까이 있다. 등산코스 보다는 삼봉약수가 더 유명하며 삼봉약수에서 2km 지점에 있다. 삼봉약수에서 시작되는 북릉 2km를 쉽게 올라 정상에 이르는 등산로 보다 노련한 등산인들은 구룡령에서부터 시작하는 등산코스를 일반적으로 이용한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삼봉양수 입구 샘골에서 시작한다. 삼봉약수 입구에서 삼봉약수 까지는 약 4km가 된다. 승용차로는 삼봉약수터 입구까지 바로 갈 수 있다. 삼봉약수터 입구에는 자연휴향림이 조성되어 있다. 휴양림에는 산막 6동, 산장 19실, 단체숙소등이 있다. 구룡령에서 오르면 산행시간은 더 걸리지만 단조롭지 않고 능선일대가 완만하여 산행하기가 쉽다. 능선으로 이어진 7개의 봉우리를 지나면 정상이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백두방태단맥
백두대간이 설악산 점봉산을 지나 구룡령으로 가면서 인제군 기린면, 양양군 서면, 홍천군 내면의 삼면봉인 葛田谷봉(1204)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1119봉-柯七봉(△1241.1, 3)-매봉령(1177)어깨(1090)-1108봉-鷹伏山(△1155.5, 3.2/6.2)-942봉-명지거리 임도(870, 1.4/7.6)-九龍德봉(△1389, 2.1/9.7)에서 남쪽으로 [開仁산(1342), 砧石산(1320), 숫돌봉(1107), 여맥]을 떨구고 서진한다. 실제상 구룡덕봉(1390, 0.5/10.2)-1346봉-芳台산 主億峰(△1442.1, 1.8/12)-배달은산(1410, 1.7/13.7)-대골재(1350)에서 오른 등고선상1450봉에서 기린면과 상남면의 경계를 벗어나 서북진한다. 깃대봉(△1436, 1.7/15.4)-1192봉(2.5/17.9)-水李봉(△945)어깨(970, 2/19.9)-937봉-△643.7봉(2.1/22)-의식동 도로(350, 2.1/24.1)를 지나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미기동 미기교 인군 내린천변(330, 1.5/25.6)에서 끝나는 약25.6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
산행후기
이 코스는 사삼봉과 응복산(매봉령)은 전문 산꾼들 외에는 잘 찾지 않는 곳이며, 산행로가 흐리고 잡목이 많아 산행하기가 매우 힘든 곳이므로 각별히 주의 하여야 한다. 가칠봉만은 삼봉약수(삼봉휴양림)에서 편히 오르내릴 수 있도록 등산안내도와 이정표가 잘되어 있으며, 정상에서의 조망은 없다.
이 코스 산행 시 주의 하여야 할 곳
[1]사삼봉 정상에서 방태단맥 길로 가는 방향 조심, [2]가칠봉 정상을 거쳐 응복산으로 가는 갈림길, [3]방태단맥 길에서 응복산 정상 가는 갈림길, [4]948.3봉을 지나 삼봉휴양림 제2 야영장으로 가는 갈림길(내리막 길)등 4곳을 조심하여야 한다.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제 한석산 (0) | 2017.10.15 |
---|---|
홍천 매봉산, 삿갓봉, 남산봉, 두리봉 (0) | 2017.10.09 |
원주 송운봉, 소군산, 문바위봉, 칠봉 (0) | 2017.09.30 |
영월 회봉산 (0) | 2017.09.25 |
평창 물때기산, 삼정산, 세솥바리산, 배거리산 (0) | 2017.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