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고향산줄기이야기
紫霞 申京秀
□. 내고향산줄기를 검토하게 된 변 “우리산줄기이름찾기”에 여념이 없으신 부산의 산선배님이신 산벗님께서 연전에 우리산줄기 이름을 찾는 작업의 일환으로 내고향을 지나는 산줄기는 과연 어떠한 산줄기가 지나가는지 알게 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더욱 더 관심을 가지고 우리산줄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란 말씀을 듣고 오랜 시간 동안 틈틈이 시간을 내어 이제사 초벌작업이 마무리되었다
너무 방대한 검토가 되어 미진한 곳도 많으며 제가 그동안 발표하였던 “우리산줄기이야기”나 “우리산줄기수체계도” “산경표읽기” “우리산줄기로본산이야기” 등에서 언급한 산줄기 이름들과 다소 상이한 부분이 있을 것으로 사료가 되는바
내 나름대로의 변을 말씀드린다면 그동안 대간 정간 정맥의 이름과 그 흐름은 산경표와 일치를 시켰으며 그 외 우리 후손들이 명명하며 사용하던 기맥 지맥 분맥 단맥의 명칭은 처음 작업시에는 단지 지형도에 의거해 이름을 짓고 후에 답사를 하던 중 현저히 대표성이 없는 산줄기 이름은 지금 현재도 수정에 수정을 거듭하고 있으며
미답이거나 발견하지 못한 산줄기들이 이 작업을 하면서 답사를 완료했거나 새로 발견한 산줄기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우리산줄기수체계도”와 다른 이름과 흐름을 갖게 되어 약간의 혼란이 예상되어 “우리산줄기수체계도” 등을 다시 재검토하여 발표할 것을 약속드리면서 내고향산줄기이야기를 시작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모든 사항들은 다시 수정하여 업그래이드를 계속해 나갈 것을 밝혀두며 앞으로 내고향산줄기이야기에 고칠점과 추가하고 싶은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시면 재검토하여 고쳐나갈 것입니다
전화: 011-9045-3232 e-mail: shinks32@hanmail.net
□. 읽는 방법
육지에 있는 산줄기는 00맥으로 나타냈으나 섬에 있는 산줄기는 육지와는 바다로 단절되어 있어 그 섬이름을 차용하여 00산줄기라고 표현을 하기로 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전체를 말로 설명하기는 심히 어려워 몇가지 분류 원칙을 정하고 그 틀에 맞추어 간단하게 요약식으로 기술을 하였으며 그 순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미분류로 분류하였다
육안으로 보아서 구분이 될 수 있도록 대분류는 20포인트로 작성했으며 중분류는 15포인트 소분류 이하 및 대표산줄기 그리고 대표산은 10포인트로 작정을 하였다
대분류는 01. 서울특별시 02. 광주광역시 03. 대구광역시 04. 대전광역시 05. 부산광역시 06. 울산광역시 07. 인천광역시 08. 제주특별자치도 09. 경상남도 10. 경상북도 11. 전라남도 12. 전라북도 13. 충청남도 14. 충청북도 15. 강원도 16. 경기도 순으로 작성했으며
중분류 이하는 가나다 순서로 작성하였고 “시, 군, 구”를 먼저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읍, 면”단위를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 지방을 크릭하시면 산벗선배님께서 링크해 놓으신 홈페이지에 자동 접속되어 그 지방을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우선 제일 복잡하게 분류된 예를 들어 설명하면
16-19-03-01. 포곡읍[蒲谷面] 대표산줄기 : 한남정맥 대표산 : 석성산
제일 먼저 나오는 “16”이란 숫자는 대분류로 경기도를 뜻하며 “19”란 숫자는 중분류로 경기도 중 19번째 나오는 용인시를 말하며 “03”이란 숫자는 소분류로 용인시중 세 번째 나오는 처인구를 말하며 맨 마지막 “01”이란 숫자는 유일무이하게 용인시 처인구에만 있는 미분류로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을 말하며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분류다
다음으로 대표산줄기와 대표산은 우선 제일 복잡하게 만들어진 산줄기 하나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기로 한다
04-02. 동구 대표산줄기 : 금남서대식장보문단맥 대표산 : 만인산
예를 든 위 산줄기의 숫자부분을 설명해보면 “04” 는 내고향산줄기이야기 중 4번째 나오는 광역자치단체인 대전광역시를 나타내며 그 다음 나오는 “02” 는 4번째 나오는 지방자치단체 안에 많은 소 자치단체들이 있는바 그중 두 번째 나오는 소자치단체인 동구를 나타낸다
그 다음 “대표산줄기” 는 그 동구를 거쳐가는 여러개의 산줄기 중 동구를 대표할만한 산줄기를 말한다
그 다음 산줄기 이름이 나오는데 간단한 것으로는 대간 정간 정맥 기맥은 간단히 그 이름을 부르면 되지만 분기에 분기를 거듭할 경우 그 모산줄기를 표시한 것이다
즉 “금남서대식장보문단맥”이란 이름은 대전광역시 동구의 대표산줄기는 우선 금남정맥에서 분기하여 흐르는 서대지맥에서 다시 분기하여 식장분맥으로 흐르다가 어느 시점에서 다시 보문산으로 분기한 산줄기를 표시하다보니 이렇게 길게 표시가 되었지만 이 이름에 익숙하게 되면 단지 간단하게 “보문단맥”이라고 불러도 관계는 없지만 그 산줄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 전체를 알고 난 후의 일일 것이다
그 다음 나오는 대표산은 그 산줄기 중 그 지방권역내에 위치한 산으로 내 나름대로 대표산을 추정해 낸 이름이며 대표산줄기를 지정해 놓고 보니 그 곁가지로 아니면 약간 걸쳐가는 작은 산줄기지만 그 모산줄기 아니면 다른 산줄기에 있는 산이 대표성이 있다면 반듯이 그 산줄기에 없어도 대표산으로 기록을 했다
그리고 그 지방을 구분하는 방법을 어디까지 해야할 것인가 하는 것도 문제라 언급을 해보면 일단 도시화가 된 지방에서 사용하는 동단위는 그 지역이 아주 조그만 지역에 국한되기 때문에 어느 산줄기나 대표산을 지정한다는 것이 별 의미가 없으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도 하다
그래서 도시화가 된 특별시 광역시 그리고 일부 대단위 시중 구단위가 있는 시는 구단위로 작성을 했으며 도농복합시와 군단위는 구와 읍, 면단위로 작성을 하였다
앞으로 여러개의 산줄기중 하나를 선택한 대표산줄기나 여러개의 산들중 한개를 대표산으로 선택을 했지만 독자들께서 판단하시어 다른 산줄기나 다른 산을 대표산줄기 대표산으로 변경을 해야할 사안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시기를 간절히 기다리는 마음입니다
이 모든 사항은 제가 답사하거나 답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산줄기는 전자에 이야기한대로 지형도나 다른 문헌에 의해 추정했을 뿐임을 다시 한번 상기하시어 올바로 수정이 되었으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겠습니다
□. 이야기 순서
○. 지방자치단체별로 설명을 하며 그 순서는 아래와 같으며 목차에 가름한다
01. 서울특별시[特別市] 25區 516洞---------------------------------08 02.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 5區 83洞-------------------------------10 03.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7區 1郡 3邑 6面 129洞--------------------11
04.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5 區 76 洞-----------------------------11
05.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15區 1郡 2邑 3面 218洞-------------------12 06.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4區 1郡 4邑 8面 46洞---------------------13 07.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 8區 2郡 1邑 19面 123洞-------------------14
08.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2市 7邑 5面 31洞-----------------16
09. 경상남도[慶尙南道] 10市10郡2區20邑174面119洞 -------------------17
09-01. 거제시[巨濟市] 1邑 9面 6洞------------------------------------17 09-02. 김해시[金海市] 1邑 7面 9洞-------------------------------------18 09-03. 마산시[馬山市]1邑 4面 27洞-------------------------------------18 09-04. 밀양시[密陽市] 2邑 9面 5洞------------------------------------19 09-05. 사천시[泗川市] 1邑 7面 6洞------------------------------------19 09-06. 양산시[梁山市] 1邑 4面 7洞------------------------------------20 09-07. 진주시[晉州市] 1邑15面21洞-------------------------------------20 09-08. 진해시[鎭海市] 15洞------------------------------------------21 09-09. 창원시[昌原市] 1邑 2面 12洞 -----------------------------------21 09-10. 통영시[統營市] 1邑 6面 11洞------------------------------------22
09-11. 거창군[居昌郡] 1邑 11面---------------------------------------22 09-12. 고성군[固城郡] 1邑 13面--------------------------------------23 09-13. 남해군[南海郡] 1邑 9面----------------------------------------24 09-14. 산청군[山淸郡] 1邑 10面---------------------------------------24 09-15. 의령군[宜寧郡]1邑 12面----------------------------------------25 09-16. 창녕군[昌寧郡] 2邑 12面---------------------------------------26 09-17. 하동군[河東郡] 1邑 12面---------------------------------------27 09-18. 함안군[咸安郡] 1邑 9面----------------------------------------27 09-19. 함양군[咸陽郡] 1邑 10面---------------------------------------28 09-20. 합천군[陜川郡] 1邑 16面---------------------------------------29
10. 경상북도[慶尙北道] 10市 13郡 32邑 194面 99洞--------------------30
10-01. 경산시[慶山市] 2邑 6面 6洞------------------------------------30 10-02. 경주시[慶州市]4邑 8面 13洞------------------------------------30 10-03. 구미시[龜尾市] 2邑 6面 19洞-----------------------------------31 10-04. 김천시[金泉市] 1邑 14面 7洞-----------------------------------32 10-05. 문경시[聞慶市] 2邑 7面 5洞------------------------------------33 10-06. 상주시[尙州市]1邑 17面 6洞------------------------------------33 10-07. 안동시[安東市] 1邑 13面 10洞---------------------------------34 10-08. 영주시[榮州市] 1邑 9面 9洞------------------------------------35 10-09. 영천시[永川市] 1邑 10面 5洞----------------------------------36 10-10. 포항시[浦項市] 2區 4邑 10面 19洞-------------------------------36
10-11. 고령군[高靈郡]1邑 7面----------------------------------------37 10-12. 군위군[軍威郡] 1邑 7面---------------------------------------38 10-13. 봉화군[奉化郡] 1邑 9面---------------------------------------38 10-14. 상주군[尙州郡] 시로 승격 10-15. 영덕군[盈德郡]1邑 8面----------------------------------------39 10-16. 영양군[英陽郡]1邑 5面----------------------------------------40 10-17. 예천군[醴泉郡] 1邑 11面--------------------------------------40 10-18. 울릉군[鬱陵郡] 1邑 2面---------------------------------------41 10-19. 울진군[蔚珍郡] 2邑 8面---------------------------------------41 10-20. 의성군[義城郡] 1邑 17面--------------------------------------42 10-21. 청도군[淸道郡]2邑 7面----------------------------------------43 10-22. 청송군[靑松郡]1邑 7面----------------------------------------43 10-23. 칠곡군[漆谷郡]2邑 6面----------------------------------------44
11. 전라남도[全羅南道] 5市 17郡 31邑 198面 67洞----------------44
11-01. 광양시[光陽市] 1邑 6面 5洞------------------------------------44 11-02. 나주시[羅州市]1邑 12面 6洞------------------------------------45 11-03. 목포시[木浦市] 24洞-----------------------------------------46 11-04. 순천시[順天市]1邑 10面 12洞-----------------------------------46 11-05. 여수시[麗水市] 1邑 6面 20洞-----------------------------------46
11-06. 강진군[康津郡] 1邑 10面---------------------------------------47 11-07. 고흥군[高興郡] 2邑 14面---------------------------------------48 11-08. 곡성군[谷城郡]1邑 10面----------------------------------------49 11-09. 구례군[求禮郡] 1邑 7面----------------------------------------49 11-10. 담양군[潭陽郡]1邑 11面----------------------------------------50 11-11. 무안군[務安郡] 2邑 7面----------------------------------------51 11-12. 보성군[寶城郡] 2邑 10面---------------------------------------51 11-13. 신안군[新安郡] 1邑 13面---------------------------------------52 11-14. 영광군[靈光郡] 3邑 8面----------------------------------------53 11-15. 영암군[靈巖郡] 2邑 9面----------------------------------------53 11-16. 완도군[莞島郡] 3邑 9面----------------------------------------54 11-17. 장성군[長城郡] 1邑 10面--------------------------------------55 11-18. 장흥군[長興郡] 3邑 7面---------------------------------------56 11-19. 진도군[珍島郡] 1邑 6面----------------------------------------56 11-20. 함평군[咸平郡] 1邑 8面----------------------------------------57 11-21. 해남군[海南郡] 1邑 13面--------------------------------------57 11-22. 화순군[和順郡] 1邑 12面---------------------------------------58
12. 전라북도[全羅北道] 6市2區8郡14邑145面 81洞----------------------59
12-01. 김제시[金堤市]1邑 14面 4洞------------------------------------59 12-02. 군산시[群山市]1邑 10面 16洞-----------------------------------60 12-03. 남원시[南原市]1邑 15面 7洞------------------------------------61 12-04. 익산시[益山市]1邑 14面 13洞-----------------------------------62 12-05. 전주시[全州市] 2區 33洞--------------------------------------62 12-06. 정읍시[井邑市]1邑 14面 8洞------------------------------------63
12-07. 고창군[高敞郡]1邑 13面---------------------------------------64 12-08. 무주군[茂朱郡] 1邑 5面---------------------------------------64 12-09. 부안군[扶安郡]1邑 12面---------------------------------------65 12-10. 순창군[淳昌郡]1邑 10面---------------------------------------66 12-11. 완주군[完州郡]2邑 11面---------------------------------------66 12-12. 임실군[任實郡]1邑 11面---------------------------------------67 12-13. 장수군[長水郡]1邑 6面----------------------------------------68 12-14. 진안군[鎭安郡] 1邑 10面--------------------------------------68
13. 충청남도[忠淸南道] 7市 9郡 20邑 153面 41洞 --------------------69
13-01. 계룡시[鷄龍市]3面 1洞----------------------------------------69 13-02. 공주시[公州市]1邑 10面 6洞 -----------------------------------69 13-03. 논산시[論山市]2邑 11面 2洞 -----------------------------------70 13-04. 보령시[保寧市]1邑 10面 5洞 -----------------------------------71 13-05. 서산시[瑞山市] 1邑 9面 5洞------------------------------------72 13-06. 아산시[牙山市]1邑 10面 6洞------------------------------------72 13-07. 천안시[天安市]2區 4邑 8面 16洞---------------------------------73
13-08. 금산군[錦山郡]1邑 9面-----------------------------------------74 13-09. 당진군[唐津郡]2邑 10面 ---------------------------------------74 13-10. 부여군[扶餘郡]1邑 15面----------------------------------------75 13-11. 서천군[舒川郡]2邑 11面----------------------------------------76 13-12. 연기군[燕岐郡]1邑 7面-----------------------------------------77 13-13. 예산군[禮山郡]2邑 10面----------------------------------------77 13-14. 청양군[靑陽郡]1邑 9面-----------------------------------------78 13-15. 태안군[泰安郡] 2邑 6面----------------------------------------79 13-16. 홍성군[洪城郡]2邑 9面-----------------------------------------79
14. 충청북도[忠淸北道] 3市 8郡 2區 13邑 88面 55洞 ---------------80
14-01. 제천시[堤川市] 1邑 7面 15洞-----------------------------------80 14-02. 청주시[淸州市]2區 28洞---------------------------------------81 14-03. 충주시[忠州市] 1邑 12面 12洞----------------------------------81
14-04. 괴산군[槐山郡]1邑 10面---------------------------------------82 14-05. 단양군[丹陽郡] 2邑 6面---------------------------------------82 14-06. 보은군[報恩郡]1邑 10面---------------------------------------83 14-07. 영동군[永同郡]1邑 10面---------------------------------------83 14-08. 옥천군[沃川郡]1邑 8面----------------------------------------84 14-09. 음성군[陰城郡]2邑 7面----------------------------------------85 14-10. 진천군[鎭川郡]1邑 6面----------------------------------------85 14-11. 청원군[淸原郡]2邑 12面---------------------------------------86
15. 강원도 [江原道] 7市 11郡 24邑 90面 74洞------------------------87
15-01. 강릉시[江陵市] 1邑 7面 13洞-----------------------------------87 15-02. 동해시[東海市] 10洞------------------------------------------87 15-03. 삼척시[三陟市] 2邑 6面 4洞------------------------------------87 15-04. 속초시[束草市] 8洞-------------------------------------------88 15-05. 원주시[原州市] 1邑 8面 16洞-----------------------------------88 15-06. 춘천시[春川市] 1邑 9面 15洞-----------------------------------88 15-07. 태백시[太白市] 8洞-------------------------------------------89 15-08. 고성군[高城郡] 2邑 3面----------------------------------------89 15-09. 양구군[楊口郡] 1邑 4面----------------------------------------90 15-10. 양양군[襄陽郡] 1邑 5面----------------------------------------90 15-11. 영월군[寧越郡] 2邑 7面----------------------------------------90 15-12. 인제군[麟蹄郡] 1邑 5面----------------------------------------91 15-13. 정선군[旌善郡] 4邑 5面----------------------------------------91 15-14. 철원군[鐵原郡] 4邑 3面----------------------------------------92 15-15. 평창군[平昌郡] 1邑 7面 1출장소---------------------------------91 15-16. 홍천군[洪川郡] 1邑 9面----------------------------------------93 15-17. 화천군[華川郡] 1邑 4面----------------------------------------94 15-18. 횡성군[橫城郡] 1邑 8面----------------------------------------94
16. 경기도 [京畿道] 27市 4郡 20區 29邑 114面 391洞-------------------95
16-01. 고양시[高陽市] 3區 38洞---------------------------------------95 16-02. 과천시[果川市]10洞-------------------------------------------95 16-03. 광명시[光明市]18洞-------------------------------------------95 16-04. 광주시[廣州市]3邑 4面 3洞-------------------------------------95 16-05. 구리시[九里市] 8洞-------------------------------------------95 16-06. 군포시[軍浦市] 11洞------------------------------------------95 16-07. 김포시[金浦市]1邑 5面 4洞-------------------------------------96 16-08. 남양주시[南楊州市]5邑 4面 6洞----------------------------------96 16-09. 동두천시[東豆川市]8洞-----------------------------------------97 16-10. 부천시[富川市] 3區 35洞---------------------------------------97 16-11. 성남시[城南市]3區 46洞----------------------------------------97 16-12. 수원시[水原市]4區 37洞----------------------------------------97 16-13. 시흥시[始興市]14洞-------------------------------------------97 16-14. 안산시[安山市]2區 25洞----------------------------------------97 16-15. 안성시[安城市] 1邑 11面 3洞------------------------------------98 16-16. 안양시[安養市]2區 31洞----------------------------------------98 16-17. 양주시[楊州市]1邑 4面 6洞 -------------------------------------99 16-18. 오산시[烏山市]6洞--------------------------------------------99 16-19. 용인시[龍仁市]3 區 7面 22洞------------------------------------99 16-20. 의왕시[義王市]6 洞-------------------------------------------100 16-21. 의정부시[議政府市]15洞----------------------------------------100 16-22. 이천시[利川市] 2邑 8面 3洞-------------------------------------100 16-23. 파주시[坡州市] 5邑 9面 2洞-------------------------------------100 16-24. 평택시[平澤市] 2邑 7面 13洞------------------------------------101 16-25. 포천시[抱川市]1邑 11面 2洞-------------------------------------102 16-26. 하남시[河南市] 10洞-------------------------------------------103 16-27. 화성시[華城市]3邑 10面 9洞-------------------------------------103 16-28. 가평군[加平郡] 1邑 5面----------------------------------------103 16-29. 양평군[楊平郡]1邑 11面----------------------------------------104 16-30. 여주군[驪州郡] 1邑 9面----------------------------------------105 16-31. 연천군[漣川郡] 2邑 8面----------------------------------------105
□. 내고향 산줄기 이야기 간단하게 개조식으로 작성한다 방향 선택 그리고 지명도에 이견이 있으시면 하시라도 연락 주시면 재검토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01. 서울특별시 대표산줄기 : 한북정맥 대표산 : 삼각산(북한산)
01-01. 강남구 대표산줄기 : 한남관악청계단맥 대표산 : 대모산
01-02. 강동구 대표산줄기 : 없음 대표산 : 없음
01-03. 강북구 대표산줄기 : 한북정맥 대표산 : 삼각산(북한산)
01-04. 강서구 대표산줄기 : 한남개화단맥 대표산 : 개화산
01-05. 관악구 대표산줄기 : 한남관악지맥 대표산 : 관악산
| ||||||||||||||||||||||||||||||||||||||||||||||||||||||||||||||||||||||||||||||||||||||||||||||||||||||||||||||||||||||||||||||||||||||||||||||||||||||||||||||||||||||||||||||||||||||||||||||||||||||||||||||||||||||||||||||||||||||||||||||||||||||||||||||||||||||||||||||||||||||||||||||||||||||||||||||||||||||||||||||||||||||||||||||||||||||||||||
02. 광주광역시 | ||||||||||||||||||||||||||||||||||||||||||||||||||||||||||||||||||||||||||||||||||||||||||||||||||||||||||||||||||||||||||||||||||||||||||||||||||||||||||||||||||||||||||||||||||||||||||||||||||||||||||||||||||||||||||||||||||||||||||||||||||||||||||||||||||||||||||||||||||||||||||||||||||||||||||||||||||||||||||||||||||||||||||||||||||||||||||||
| ||||||||||||||||||||||||||||||||||||||||||||||||||||||||||||||||||||||||||||||||||||||||||||||||||||||||||||||||||||||||||||||||||||||||||||||||||||||||||||||||||||||||||||||||||||||||||||||||||||||||||||||||||||||||||||||||||||||||||||||||||||||||||||||||||||||||||||||||||||||||||||||||||||||||||||||||||||||||||||||||||||||||||||||||||||||||||||
| ||||||||||||||||||||||||||||||||||||||||||||||||||||||||||||||||||||||||||||||||||||||||||||||||||||||||||||||||||||||||||||||||||||||||||||||||||||||||||||||||||||||||||||||||||||||||||||||||||||||||||||||||||||||||||||||||||||||||||||||||||||||||||||||||||||||||||||||||||||||||||||||||||||||||||||||||||||||||||||||||||||||||||||||||||||||||||||
03. 대구광역시 대표산줄기 : 팔공기맥 대표산 : 팔공산
| ||||||||||||||||||||||||||||||||||||||||||||||||||||||||||||||||||||||||||||||||||||||||||||||||||||||||||||||||||||||||||||||||||||||||||||||||||||||||||||||||||||||||||||||||||||||||||||||||||||||||||||||||||||||||||||||||||||||||||||||||||||||||||||||||||||||||||||||||||||||||||||||||||||||||||||||||||||||||||||||||||||||||||||||||||||||||||||
05.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대표산줄기 : 낙남불모단맥 대표산 : 보배산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엄광산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금정산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구덕산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구덕산
대표산줄기 : 낙동황령단맥 대표산 : 황련산
대표산줄기 : 영도산줄기 대표산 : 봉래산
대표산줄기 : 없음 대표산 : 없음
05-15. 해운대구[海雲臺區]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지맥 대표산 : 장산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지맥 대표산 : 달음산 | ||||||||||||||||||||||||||||||||||||||||||||||||||||||||||||||||||||||||||||||||||||||||||||||||||||||||||||||||||||||||||||||||||||||||||||||||||||||||||||||||||||||||||||||||||||||||||||||||||||||||||||||||||||||||||||||||||||||||||||||||||||||||||||||||||||||||||||||||||||||||||||||||||||||||||||||||||||||||||||||||||||||||||||||||||||||||||||
05-16-01. 기장읍[機張邑]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지맥 대표산 : 산성산
05-16-02. 장안읍[長安邑]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대운불광단맥 대표산 : 불광산
05-16-03. 정관면(鼎冠面)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지맥 대표산 : 백운산
05-16-04. 철마면(鐵馬面)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지맥 대표산 : 철마산
05-16-05. 일광면(日光面)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지맥 대표산 : 일광산
| ||||||||||||||||||||||||||||||||||||||||||||||||||||||||||||||||||||||||||||||||||||||||||||||||||||||||||||||||||||||||||||||||||||||||||||||||||||||||||||||||||||||||||||||||||||||||||||||||||||||||||||||||||||||||||||||||||||||||||||||||||||||||||||||||||||||||||||||||||||||||||||||||||||||||||||||||||||||||||||||||||||||||||||||||||||||||||||
06. 울산광역시[蔚山廣域市] 대표산줄기 : 형남기맥 대표산 : 치술령
06-01. 남구 대표산줄기 : 낙동문수지맥 대표산 : 함월산
06-02. 동구 대표산줄기 : 형남만리성지맥 대표산 : 염포산
06-03. 북구 대표산줄기 : 형남관문성단맥 대표산 : 천마산
06-04. 중구 대표산줄기 : 형남관문성단맥 대표산 : 입화산
06-05. 울주군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가지산
06-05-01. 범서읍 대표산줄기 : 형남국수단맥 대표산 : 국수봉
06-05-02. 언양읍 대표산줄기 : 형남국수단맥 대표산 : 연화산
06-05-03. 온산읍 대표산줄기 : 낙동문수노방단맥 대표산 : 노방산
06-05-04. 온양읍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대운분맥 대표산 : 대운산
06-05-05. 두동면 대표산줄기 : 형남기맥 대표산 : 치술령
06-05-06. 두서면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고헌산
06-05-07. 삼남면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영축산
06-05-08. 삼동면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정족산
06-05-09. 상북면 대표산줄기 : 낙동정맥 대표산 : 신불산
06-05-10. 서생면 대표산줄기 : 낙동장산대운불광단맥 대표산 : 응곡산
06-05-11. 웅촌면 대표산줄기 : 낙동문수지맥 대표산 : 남암산
06-05-12. 청량면 대표산줄기 : 낙동문수지맥 대표산 : 문수산
| ||||||||||||||||||||||||||||||||||||||||||||||||||||||||||||||||||||||||||||||||||||||||||||||||||||||||||||||||||||||||||||||||||||||||||||||||||||||||||||||||||||||||||||||||||||||||||||||||||||||||||||||||||||||||||||||||||||||||||||||||||||||||||||||||||||||||||||||||||||||||||||||||||||||||||||||||||||||||||||||||||||||||||||||||||||||||||||
07. 인천광역시 8區 2郡 1邑 19面 대표산줄기 : 한남정맥 대표산 : 철마산
07-01. 계양구[桂陽區] 대표산줄기 : 한남정맥 대표산 : 계양산
07-02. 남구[南區] 대표산줄기 : 한남문학단맥 대표산 : 문학산
07-03. 남동구[南洞區] 대표산줄기 : 한남정맥 대표산 : 소래산
07-04. 동구[東區] 대표산줄기 : 없음 대표산 : 없음
07-05. 부평구[富平區] 대표산줄기 : 한남정맥 대표산 : 철마산
07-06. 서구[西區] 대표산줄기 : 한남정맥 대표산 : 계양산
07-07. 연수구[延壽區] 대표산줄기 : 한남문학단맥 대표산 : 문학산
07-08. 중구[中區] 대표산줄기 : 영종산줄기 대표산 : 백운산
07-09. 강화군[江華郡]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마니산
07-09-01. 강화읍[江華邑]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고려산
07-09-02. 교동면[喬桐面] 대표산줄기 : 교동산줄기 대표산 : 화개산
07-09-03. 길상면[吉祥面]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정족산
07-09-04. 내가면[內可面]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고려산
07-09-05. 불은면[佛恩面]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혈구산
07-09-06. 삼산면[三山面] 대표산줄기 : 석모산줄기 대표산 : 해명산
07-09-08. 선원면[仙源面] 대표산줄기 : 상화산줄기 대표산 : 혈구산
07-09-09. 송해면[松海面]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고려산
07-09-11. 양사면[兩寺面]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봉천산
07-09-12. 하점면[河岾面]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별립산
07-09-13. 화도면[華道面] 대표산줄기 : 강화산줄기 대표산 : 마니산
07-10. 옹진군[甕津郡] 대표산줄기 : 덕적산줄기 대표산 : 국수봉
07-10-01. 대청면[大靑面] 대표산줄기 : 대청산줄기 대표산 : 삼각산
07-10-02. 덕적면[德積面] 대표산줄기 : 덕적산줄기 대표산 : 국수봉
07-10-03. 백령면[白翎面] 대표산줄기 : 백령산줄기 대표산 :
07-10-04. 북도면[北島面] 대표산줄기 : 신도산줄기 대표산 : 구봉산
07-10-05. 연평면[延坪面] 대표산줄기 : 대연평산줄기 대표산 :
07-10-06. 영흥면[靈興面] 대표산줄기 : 영흥산줄기 대표산 : 양로봉
07-10-07. 자월면[紫月面] 대표산줄기 : 자월산줄기 대표산 : 국사봉
| ||||||||||||||||||||||||||||||||||||||||||||||||||||||||||||||||||||||||||||||||||||||||||||||||||||||||||||||||||||||||||||||||||||||||||||||||||||||||||||||||||||||||||||||||||||||||||||||||||||||||||||||||||||||||||||||||||||||||||||||||||||||||||||||||||||||||||||||||||||||||||||||||||||||||||||||||||||||||||||||||||||||||||||||||||||||||||||
08.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08-01. 제주시[濟州市] 대표산줄기 : 제주산줄기 대표산 : 한라산
| ||||||||||||||||||||||||||||||||||||||||||||||||||||||||||||||||||||||||||||||||||||||||||||||||||||||||||||||||||||||||||||||||||||||||||||||||||||||||||||||||||||||||||||||||||||||||||||||||||||||||||||||||||||||||||||||||||||||||||||||||||||||||||||||||||||||||||||||||||||||||||||||||||||||||||||||||||||||||||||||||||||||||||||||||||||||||||||
| ||||||||||||||||||||||||||||||||||||||||||||||||||||||||||||||||||||||||||||||||||||||||||||||||||||||||||||||||||||||||||||||||||||||||||||||||||||||||||||||||||||||||||||||||||||||||||||||||||||||||||||||||||||||||||||||||||||||||||||||||||||||||||||||||||||||||||||||||||||||||||||||||||||||||||||||||||||||||||||||||||||||||||||||||||||||||||||
|
[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