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도

동해 초록봉, 예천봉, 형제봉, 매봉산

꼴통 도요새 2018. 5. 17. 07:26

동해 초록산, 예천봉, 형제봉, 매봉산


1. 산행지: 초록봉(528.7m), 예천봉(346m), 형제봉(482m), 매봉산(604.8m)

2. 위치: 강원도 동해시 비천동


7. 들머리/ 날머리: 소비천 달방수변원[원점회귀]

8. 산행코스: 소비천 달방수변원→461.2봉→419봉→413.5봉→임도→매봉산→임도→형제봉→380.1봉→예천봉→임도→무릅재→초록봉→442.3봉→소비천 달방수변원

9. 특징:

초록봉(528m)은 강원도 동해시 천곡동 · 비로동 · 이로동 · 승지동의 4개 동에 걸쳐 있는 산입니다. 초록 당산(草綠堂山)이라고도 한다. 정상에는 발자국이 선명한 장수바위가 있는데, 세상이 어지러울 때 하느님이 장수를 내려 보내 세상을 바로 잡은 후 이 바위를 밟고 힘차게 올라갔다고 한다.  산 아랫마을은 초록치(草綠峙) 또는 초록동(草綠洞)이라 불렀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산의 혈(血)을 끊기 위해 산정에 쇠말뚝을 박아놓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지명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조선지형도』에 처음 보이며 초록산으로 적혀 있다.정상에 서면 푸른 동해바다가 시원스럽게 가슴에 와 닿으며 묵호항, 천곡 시가지, 북평항이 한 눈에 들어 온다. 서쪽으로는 백두대간의  두타산, 청옥산, 고적대 등 준봉들이 마치 병풍 같이 파노라마를 펼쳐지며, 동해 8경 중 8경에 해당한다.

초록봉은백두대간의연봉청옥산의한봉우리로수 목이 울창하고 계곡과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등산로 이며 정상에서동해시전체가바로보여동해8경중 제8경으로 선정되었다. 최근들어 시민들의 휴식공 간 및소원을 빌기위한 장소로도많은 사람들이찾 고있다. 초록봉에는‘칠성바위’라고불리는바위가 있다. 이바위에는전설이전해져오는데, 옛날인간 세상이너무어지러워하느님이세상을바로잡기위 해한장수를보냈다. 이장수는세상을바로잡고자 기일을다한후승천하기위해힘차게바위를밟고지나갔는데 그장수의오른쪽발자국은초록봉벼락 바위에, 왼쪽발자국은초록봉아래바위에길이15미터, 높이3미터의큰흔적으로남았다. 후세사람들 은그바위에소원을빌면소원성취있다해칠성바위라불다. 옛적에는초로의산, 비나리의산으로명성이있었으나 대형산불로잿더미가되는바람에 현재는오히 려조망 좋은일출, 일몰산행지로각광받고있다. 초록봉은산세가부드럽고키큰나무가적어산행내 내바다를볼수있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백두초록단맥

백두대간 백복령(백봉령, 白茯嶺, 茯苓, 770) 동남측 1.3km 등고선상 해발810m 지점인 정선군 임계면, 강릉시 옥계면, 동해시의 삼경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강릉시 옥계면과 동해시의 경계를 따라 42번국도(610, 1)-683봉(0.4/1.4)-42번국도(470, 1.4/2.8)-나팔재산(△539.4, 0.2/3)-42번국도(450, 0.6/3.6)-42번국도(370, 0.2/3.8)-42번국도 남면치 삼거리(350, 0.2/4)-530봉(1.3/5.3)-470안부(0.7/6)-매봉산(604, 0.6/6.6)-임도 삼거리(510, 0.5/7.1)를 만나 임도따라가다 등고선상530봉(형제봉?, 1.7/8.8)에서 경계능선은 북쪽으로 진행해 형제봉(482, 1/9.8)-△277.9지점(1.8/11.6)-옷재(170, 1.8/13.4)-망운산(300, 1.3/14.7)-밥봉(△333.5, 1.2/15.9)-동해고속도로(70, 2.8/18.7)-영동선철로 옥계역 인근(30, 0.1/18.8)-7번국도(30, 0.1/18.9)를 지나 새터마을 도로들을 지나 조산마을도 지나 옥계항 북측 주수천이 바다를 만나는 곳(0, 0.8/19.7)에서 바다가 되는 약19.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 산줄기다운 곳까지인 동해고속도로까지가 답사의 의미가 있으므로 18.7km의 산줄기가 답사 가능구간이다 만약 이리로 가는 산줄기를 선택했다면 초록봉을 지나지 않으므로 산줄기 이름은 백두매봉단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또는 등고선상530봉(1.7/8.8)에서 경계능선은 북쪽 형제봉으로 가고 산줄기는 우측 남동방향으로 경계능선을 떠나 동해시내로 들어가 임도(470, 0.3/9.1)를 만나 임도따라 작은빈내 임도삼거리(370, 1.3/10.4)-무릅재 임도삼거리(330, 0.5/10.9)-초록봉(△528.4, 2.1/13)-동해금강병원(70. 4.5/17.5)-7번국도(30, 0.7/18.2)-북평중교(30, 0.5/18.7)-동해역(10, 0.7/19.4)송정초교 담안마을 사거리(10, 0.5/19.9)-쌍룡양회입구(10, 0.7/20.6)를 지나 쌍룡양회를 통과해 동해시 송정동 동해항 전천이 동해바다가 되는 곳(0, 1.1/21.7)에서 끝나는 약21.7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 산줄기다운 곳까지인 7번국도까지가 답사의 의미가 있으므로 18.2km의 산줄기가 답사 가능구간이다. 위 두산줄기중 과연 어느 산줄기를 주산줄기로 하느냐를 가지고 고민을 하다가 그래도 옛날부터 망상8경으로 불리워졌고 현재는 동해9경중 하나로 동해시에서 의욕적으로 등산로와 각종 편의시설 등을 설치하여 국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볼거리도 많은 그 산줄기 중 인지도가 가장 높은 초록봉으로 가는 것이 가장 타당성이 있을 것 같아 후자로 산줄기를 선택하였고 이름도 가장 유명한 초록봉의 이름을 빌어 백두대간에서 분기하였으므로 백두초록단맥이라는 예쁜 이름을 얻게 되었다. 그러면 전자의 산줄기중  등고선상530봉(1.7/8.8) 이후 산줄기인 형제봉으로 가는 산줄기 10.8km의 산줄기가 남게 되는데 10km이상 30km미만의 산줄기를 단맥이라고 정의를 하였으니 이 또한 2차단맥산줄기가 되기 때문에 백두초록형제단맥(2차단맥)이라고 이름을 짓고 답사를 해야할 것이다.  이 산줄기는 처음 우리산줄기수체계도를 발표할 때는 분기한후 제일 높은 매봉산의 이름을 차용해 백두매봉단맥이라고 이름을 지었으나 지금 초록봉이라는 매봉산보다는 엄청나게 인지도가 높은 산이름이 있어 산줄기 이름을 백두초록단맥이라고 수정을 한 산줄기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