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도

동해 봉화대산, 오학산, 예천봉, 형제봉, 망운산

꼴통 도요새 2018. 5. 25. 13:43

동해 봉화대산, 오학산, 예천봉, 형제봉, 망운산


1. 산행지: 봉화대산(어달산, 185.8m), 오학산(215.7m), 예천봉(346m), 형제봉(482m), 망운산(301m)

2. 위치: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


8. 산행코스: 망상역→산림조합중앙회→1638.봉→어달산(봉화대산)→임도→오학산→임도→느릅재→예천봉→무릅재→임도→옷재→망운산밥봉→망상4교→망상역

9. 특징:

망상
옛날에는
馬上이라 했다고 전하는데, 연대는 알 수 없으나 한 선비가 馬上이라기 보다는, 마상을 바라본다는 뜻에서 望祥이라 하였다고 한다.

망상 - 고부석 (姑婦石)
옛날 망상에서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빨래를 하고있었는데, 날씨가 하도 더워 시어머니가 목욕을 하려고 물에 들어갔다가 그만 물살에 휘말려 떠내려가게 되었다. 이를 본 며느리가 시어머니를 구하려고 물에 뛰어들었다가 그만 둘 다 목숨을 잃게되었다. 그후 냇가 양쪽 돌들이 벌겋게 얼룩이 지더니 밤에 비만 오면 그 부근에서 괴이한 울음소리가 들린다고 전해진다.

봉화대
동해시 어달동 3/5. 고려 의종(1149)때 세움. 낮에는 연기, 밤에는 불로 위급을 알렸음. 평화 1, 적발견 2, 적이 국경 가까이 오면 3, 적이 국경 침입 4, 접전 5회로 신호 함. 현재 붕괴된 잡석의 흔적만 있다.

형제봉
옛날 괴란리에 우애도 좋고 효성도 지극한 형제가 살고 있었는데,나라에 난리가 나자 자진해서 전쟁터로 나갔다가 모두 죽었다. 그들이 용감하게 싸우다 죽었다는 소식이 마을에 전해 진 다음에 마을 뒷산에 두 봉우리가 불룩 솟아 올랐다. 이를 두고 마을 사람들은 형제의 넋이 부모를 걱정 하여 봉우리로 생겨난것이라 하고 형제봉이라 불렀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백두대간 백복령(백봉령, 白茯嶺, 茯苓, 770) 동남측 1.3km 등고선상 해발810m 지점인 정선군 임계면, 강릉시 옥계면, 동해시의 삼경지점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강릉시 옥계면과 동해시의 경계를 따라 42번국도(610, 1)-683봉(0.4/1.4)-42번국도(470, 1.4/2.8)-나팔재산(△539.4, 0.2/3)-42번국도(450, 0.6/3.6)-42번국도(370, 0.2/3.8)-42번국도 남면치 삼거리(350, 0.2/4)-매봉산(604, 2.6/6.6)-임도 삼거리(510, 0.5/7.1)를 만나 임도따라가다 등고선상530봉(형제봉?, 1.7/8.8)에서 경계능선은 북쪽으로 진행해 형제봉(482, 1/9.8)-△277.9지점(1.8/11.6)-옷재(170, 1.8/13.4)-망운산(300, 1.3/14.7)-밥봉(△333.5, 1.2/15.9)-동해고속도로(70, 2.8/18.7)-영동선철로 옥계역 인근(30, 0.1/18.8)-7번국도(30, 0.1/18.9)를 지나 새터마을 도로들을 지나 조산마을도 지나 옥계항 북측 주수천이 바다를 만나는 곳(0, 0.8/19.7)에서 바다가 되는 약19.7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