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낙엽버섯
밀버섯, 밀애기버섯
분류: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 진정담자균강(Eubasidiomycetes) > 주름살버섯목(Agaricales) >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 Collybia속
서식지: 활엽수
학명: Collybia confluens (Pers.ex Fr.)Quel.
국내분포: 북한:시중, 영광, 백두산, 금강산, 경기도
해외분포: 아시아(중국, 소련 극동, 일본), 유럽, 북미주, 아프리카.
발생시기: 여름-가을
이용: 식용-약용
생활사; 부생생활
군락형태: 군생,속생
버섯갓은 둥근산모양이거나 편평하게 되며 가운데는 두드러지고 직경은 1~5㎝이다. 겉면은 흡수성이고 습할 때에는 붉은밤색, 연한붉은색이고 가운데부분은 진한색이며 마를 때에는 재빛고기색 또는 흰색을 띤다. 변두리는 대단히 얇으며 안으로 말리며 습할 때에는 작은줄이 있다. 생생한 개체는 평탄하고 늙은 때는 가끔 뒤집힌다. 살은 대단히 얇고 갓면과 거의 같은색이며 맛과 냄새는 거의 없다. 버섯주름은 대에 끝붙은주름 혹은 떨어진 주름으로 붙으며 흰색을 띠고 빽빽하며 폭은 대단히 좁다. 버섯대는 길이 4~12㎝, 직경 0.15~0.4㎝이고 아래 우의 굵기는 같거나 혹은 밑부분이 약간 실하며 보통 눌려서 납작하고 연골질이며 질기고 갓면과 같은색 혹은 연한 밤색이다. 끝부분을 제외하고는 흰색 보드라운 털이 빽빽이 덮인다. 밑부분에서 여러개체가 서로 융착되여 솜모양의 균실에 의하여 낙엽에 붙는 것이 많으며 속은 빈다. 포자는 타원형이고 겉면은 매끈하며 크기는 6~7×3~4㎛이고 포자무늬는 흰색이다. 여름부터 가을기간에 넓은잎나무숲안의 낙엽에 뭉쳐나거나 무리로 나며 분해성이 강하다
균모의 지름은 1-3.5cm로 둥근산 모양에서 거의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매끄러우며 살갗색 또는 살색이나 가운데는 진하고 퇴색하며 전체가 희게 된다. 주름살은 균모와 같은 색깔이며 폭이 좁고 밀생하며 바른 또는 올린 주름살 또는 끝 붙은 주름살이다. 자루의 길이는 2.5-9cm이고 굵기는 1.5-4mm로 상하 같은 굵기이며 살색 또는 갈색이며 전면이 가는 털로 덮여 있고 때로는 눌려서 납작하고 속은 비어 있다. 포자의 크기는 6.5-8×3-3.5㎛이고 타원형 또는 종자 모양이다.
발생은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활엽수림의 땅 또는 낙엽 사이에 군생 또는 속생하는 낙엽 분해균으로 낙엽 분해에 큰 역할을 한다. 식용한다. 분포는 한국의 오대산, 방태산, 가야산, 발왕산, 어래산, 지리산, 가야산, 소백산, 두륜산,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 등 전국에 자생하며 일본, 유라시아, 아프리카,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출처: 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