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비봉산, 봉실산, 옥녀봉
1. 산행지: 비봉산(291.3m) 봉실산(373.6m) 옥녀봉(324.4m)
2. 위치: 전북 완주 비봉면 봉산
6. 소요시간: 11km 5시간
7. 들머리/ 날머리: 비봉면 봉산리 광산교[원점회귀]
8. 산행코스: 봉산리 광산교→뱀재→322.9봉→비봉산→완주힐즈타운→봉실산→옥녀봉→걸쇠→광산교
9. 특징:
완주군 봉실산[鳳實山]
봉황봉, 열매실, 뫼산, 봉황이 열매를 맺은 산!! 봉실산은 전라북도 완주군의 봉동읍과 비봉면에 걸쳐 있는 374m높이의 산이다. 즉, 봉동읍과 비봉면의 경계이다. 봉동읍 서북쪽인 평야부에 우뚝솟아있고, 추동마을에는 영사재, 학림사가 있고, 산의 9부 능선에는 백제의 산성인 봉실산성이있어요. (네이버 지식백과 발췌)
봉(鳳) 자 들어 ‘비봉면’ 이름이 좋고, ‘봉산’ 지명 장하다. 봉황은 좋은 새. ‘천리를 날아도 오동나무 아니면 앉지를 않고’, ‘굶어 죽을지언정 썩은 고기 절대 먹지를 않으며 대나무 열매만을 먹는다.’는 길조(吉鳥)이다. 그래서 청와대 정문이나 대통령 집무실에 봉황 문양(紋樣)을 해 놓았다. 그런데 봉황을 잊은 대통령마다 좋은 꼴을 보지 못했다. 어느 대통령은 ‘최순실(崔順實)’이라는 나쁜 열매(여인)를 잘 못 다루다 본인은 물론 나라를 요동시켰다. 비봉면 봉산리는 교통이 좋아 전에 새뺑이(새빤이)재를 넘으면 봉상(鳳翔) 전주 땅이요, 고산 읍내가 먼지 않으며, 북행하면 여산(礪山) 익산(益山)과 통한다. 죽산(竹山) 뒷산이 봉실산(鳳室山·鳳實山). 봉동(鳳東) 사람들이 더 존엄하게 여긴다. 학림사(鶴林寺)도 있지만 풍수지리 상 “배‘산’임수(背‘山’臨水)”라 할 때 바로 이 ‘산’으로 본다. 이서구 전설이나 아홉 바위[고인돌] 등 모두를 진기하게 여기며 명산 대접을 한다. 봉산리는 ①원봉산 ②죽산 ③월암 ④사치 ⑤용동으로 너른 지역이다. 월암(월촌) 뒷산을 비봉산(飛鳳山)이라 하는데 묘 쓰는 이마다 ‘봉황의 알 명당’을 염두에 두었고, 저마다 자기네가 ‘명당 쓴 집안이라’ 자부한다. 어쨌든 이 산에 구영(具瑩:1584∼1663) 선생 묘가 있다. 묘도 묘지만 묘비가 유명하다. 송시열(1607∼1684)이 글을 짓고, 송준길(1606∼1672)이 글씨를 썼는데 자손과 유림 측에서 애지중지한다. 구영 사당은 고산면 백현(栢峴)에 있으며, 고산 6개면 유생들은 향현(鄕賢)이라며 사모한다. 소금바위[鹽岩:염암]의 다른 얘기는 제쳐두고 수도관을 묻어 서해 물을 퍼 올려 이 지역에 염전(鹽田)을 만들어야 한다. ‘염거감(鹽車感:준마가 하찮은 소금이나 실어 나르는 안타까운 처지)’을 벗게 하자는 말이다.
우리산줄기이야기
금남기맥봉실단맥
금남기맥 천호산 지나 익산시 여산면, 왕궁면, 완주군 비봉면의 삼면봉인 갈매봉(370)에서 남동쪽으로 분기하여 왕궁면과 비봉면의 경게를 따라 741번지방도로 문드러미재(250, 0.3)-△235.7봉(2.5/2.8)-익신시 왕궁면 완주군 비봉면 봉동읍의 삼경봉(190, 0.7/3.5)에서 비봉면과 봉동읍의 경계를 따라 뱀재(190, 0.4/3.9)-16번군도 송치(솔티재, 130, 1.2/5.1)-노적산(△201.2, 0.4/5.5)-장군바위봉(210, 1.2/6.7)-玉女봉(310, 1.8/8.5)-鳳實산(△372, 1/9.5)-학림사안부(170, 0.7/10.2)-비봉면 고산면 봉동읍 삼경지점 치동고개(서낭댕이, 새뱅이도로, 50, 2.2/12.4)-△96.5지점(0.9/13.1)을 지나 완주군 봉동읍 율소리 율소교 사거리(30, 0.5/13.6)에서 끝나는 약13.6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전라북도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실 원통산, 지초봉, 시루봉 (0) | 2019.04.03 |
---|---|
임실 백이산, 두만산, 무제봉 (0) | 2019.04.03 |
완주 고성산 (0) | 2019.02.13 |
김제 상목산, 삿갓봉, 구성산, 제비산 (0) | 2019.02.08 |
무주 안면산, 매방재산, 봉림산, 봉화산, 어답산 (0) | 2018.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