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지도

사천 봉명산, 봉암산, 이명산, 계봉

꼴통 도요새 2019. 2. 27. 14:41

사천 봉명산, 봉암산, 이명산, 계봉

 

1. 산행지: 사천 봉명산(鳳鳴山, 407m), 봉암산(374m), 이명산(理明山, 570m), 계봉(달구봉548m)

2. 위치: 경남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

 

7. 들머리/ 날머리: 계명저수지[원점회귀]

8. 산행코스: 계명저수지계명산시루떡마위불당고개계봉 왕복이명산임도대바위마산 갈림길마산(봉명산)왕복서봉암계명저수지

9. 특징:

이명산

이맹산이라고도 한다. ‘맹인을 다스린다또는 밝음을 다스린다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으로, 이와 관련하여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는 이맹산은 동경(東京)[지금의 경주]의 비보산인데, 산 정상의 용못[龍池]에 용이 살고 있으며, 이 용못 때문에 동경에서 맹인이 많이 태어난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에 동경 사람들이 불에 달군 쇠와 모래와 돌들을 용못에 집어넣자 이를 견디지 못한 용이 진교(辰橋) 아래 깊은 호수로 도망갔고, 이후 동경에서 맹인이 사라졌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도 산 정상 부근에는 구운 돌과 용못의 흔적이 있다. 이 밖에 동경산(東京山), 전야산, 해양전산, 화전산, 윤산이라고도 하였다. 하동군 동쪽에 있는 이명산은 지리산의 한 줄기로 북천면과 양보면의 경계에 우뚝 솟아 있으며 진교면과도 연결되어 이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말해 주는 숱한 유적을 품고 있다. 이명산 서쪽 산기슭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28호인 이명산 석불사지, 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136호인 이명산 마애석조여래좌상이 있다. 이명산 마애석조여래좌상 아래쪽에 있는 화강암질 암석으로 이루어진 시루떡바위는 화강암에 발달하는 수평 절리를 따라 균열이 발달함으로써 암석이 층층이 쌓인 모습처럼 보인다.[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봉명산

천극(川劇). 출기산(出祁山)이라고도 한다. 이 극은 제갈량이 노장 조운을 선봉장으로 삼고 북벌을 감행하여 봉명산(鳳鳴山)에서 위군과 맞닥뜨린다. 조운은 노익장을 과시하며 위군의 선봉장 한덕과 그의 네 아들을 차례로 죽이고 위군을 대파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 극의 줄거리는 삼국지연의92회에서 나온 것이다. ‘역참오장(力斬五將)’ 항목 참조.

우리산줄기이야기

낙남금오이명단맥

금오지맥 계봉(시루봉)에서 동쪽으로 뻗어나가 이명산(570.1m, 1.7km)에서 동쪽으로 봉명산(여맥) 군립공원을 떨구고 원동도로(150m, 4/5.7km)-진교터널(110m, 1.7/7.4km)-밤치재(50m, 1.5/8.9km)-1003번지방도로따라 서포중학교(6.7/15.7km)를 지나 서포면 자혜리 혜촌마을(5.6/21.3km)에서 바다가 되는 약21.3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