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지도

파주 우암산, 박달산, 명봉산

꼴통 도요새 2019. 3. 15. 13:17

파주 우암산, 박달산, 명봉산

우암산(비호봉328m), 박달산(369m), 명봉산(245.m)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광탄면사무소정자봉박달산유격장우암산아멘충성교회

박달산(朴達山)

발산, 당현봉이라고도 하며 개명산 남북맥으로 뻗친 이 산은 능선을 형성 만장산에 연하였는데 산기슭에 있는 마당 바위에서 완원군 9대손 이건섭(李建燮)이 산 아래 연못에 내려가 목욕하는 한편 오지기 벼슬을 마다하고 공부에만 전념하였는데 이곳을 처사바위 처사탕이라 전해지고 있으며, 중국어 학습서인 박통사 언해를 숙종 때 권대련 변매가 이 산에서 통달하였다 하여 호칭된 것이다. 파주시 광탄면에 자리한 박달산(369m)은 박달나무가 많아서 박달산이라고 부르게 됐으나, 이웃 다른 마을에서는 이 산이 예전에는 독수리가 많아서 수리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박달산은 파주시 광탄면에 소재하고 있는 높이 369m의 산으로 정상은 헬기장이며, 119표시판(1-5구역 박달봉 헬기장)과 이정표(신호약수터 0.6km, 전망대 2.6km), 경고판이 있는데, 경고판 뒷면은 낙서판이 되었고, 이정표 위쪽은 박달봉의 글씨 중 일부가 떨어져 나가 "비닐"이라고 보이나 자세히 보면 박달봉이란 흔적이 보이며, 누군가가 돌로 310m라고 써놓았다.

장지산(長芝山)

개명산 남서맥으로 내려온 지맥 형상은 연꽃과 난초가 길 게 피어있는 모양이라하여 유래되었으며 이 산중턱에 미륵불이 있다. 장지산은 파주시 광탄면에 소재하고 있는 높이 130m의 야산으로서 정상에는 삼각점(서울 413 1990재설)이 있으며, 남서쪽 방향에 철조망과 폐건물이 각각 자리잡고 있다. 산의 북동쪽에는 채석장이, 서쪽에는 보물 93호인 용미리석불입상과 용암사가 위치하고 있다.

명봉산

계명산, 장산이라고도 하며, 고령산 서맥 끝머리 벌판을 바라보는 이산은 옛날 봉이 깃들여 울었다하며 또한 수탉이 길게 목을 내밀어 우는 형상이라 하여 호칭되었으며 많은 노루가 있었다하여 노루뫼라 한다. 명봉산은 고양시와 파주시 경계에 위치한 높이 245m의 야산으로 용미리 공원묘지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정상에는 삼각점(서울302 1998재설)과 폐 초소, 화생방 시설(타종,안내판,깃대),구덩이등이 있으며, 서쪽 일산지역을 조망할 수 있다. 정상입구에 신행리본(서울 양천 심용보,프리챌등산동호회 산내들)이 메달려 있으며, 폐건물들과 텃밭이 정상 주위를 지키고 있다.

옥녀봉

옥녀봉은 고양시와 파주시 경계, 용미리 공원묘지 동쪽 끝에 위치한 봉우리로 정상 공터에는 정상표시물은 없으나 나뭇가지에 산행리본<2792개산등정,2008.7.18 옥녀봉 이종훈(서울)>과 글씨가 없는 빨간 리본이 매달려 있고, 북쪽 50m거리에 헬기장이 위치하고 있다.[출처/ 인터넷]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북기맥비호단맥 = 한북오두우암단맥

한북정맥에서 분기된 한북기맥이 장흥 기산 넘는 말죽고개를 거쳐 앵무봉어깨 개명산 대고령마을과 고양동을 넘는 됫박고개를 지나 첫 번째 무명봉에서 기맥은 북으로 흘러 367봉 월롱산 지나 파주벌 비산비야를 누비다가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그 끝을 바다에 담근다. 여기서 됫박고개 지나 첫 번째 무명봉에서 그대로 좋은 길 따라 우암산(비호봉) 용미리와 고양동을 이어주는 혜음령 용미리공동묘지 명봉산 수용말고개 공릉 하니랜드 110봉 미군부대 속말고개 등원2리 통일로변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를 이름 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