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지도

경주 구미산, 용림산, 인내산, 어림산

꼴통 도요새 2019. 3. 21. 05:27

경주 구미산, 용림산, 인내산, 어림산

1. 산행지: 구미산(594.3m), 용림산(526m), 인내산(535m), 어림산(510.2m)

2. 위치: 경주시 건천읍 용명리,  현곡면 가정리

 

7. 들머리/ 날머리: 가정리(마룡골) 원점회귀

8. 산행코스: 가정리(마룡골)마룡지구미산, 용림산 갈림길용림산 왕복→△515.7인내산 왕복마치재어림산, 425.5봉 갈림길어림산 왕복골대(남사저수지)가정리(마룡골)

9. 특징:

구미산

상구리(上邱里)마을 뒷산이 거북이 형상이라 구미산이라 하였고, 마을이 이 산 위쪽에 위치한다 하여 상구미라 했다. 하구미는 구미산의 아래쪽이라 하여 하구미라 한다. 용명리(龍明里)는 구미산으로 용이 날아갔다는 전설이 있는 용암(龍岩)이 있었던 고로, 용암의 용()자와 명장(明莊) 마을의 명()자를 따서 '용명(龍明)'이라고 불렀다 한다. 건천읍 동북부에는 구미산(594m)이 솟아 있으며, 서남부에는 단석산(827m)·벽도산(436m) 등이 솟아 있는데, 이들 두 산지 사이에 평야가 펼쳐져 있다.[출처/ 건천읍, 현곡면 유래]

인내산

경주 인내산(534.6m)은 외롭다. 백두대간에서 분기한 낙동정맥이 관산을 지나며 잔뜩 허리를 낮춰 지척에 있지만 정작 그 속에는 들지 못했다. 포항 형산강의 발원지가 있긴 하지만 높지도 않은 이 산에 산꾼들의 발길이 제법 잦다. 산을 찾는 사람 대부분은 인내산만 오르는 것이 아니라 낙동정맥 남사봉이나 멀게는 천도교 성지 용담정이 있는 구미산까지 걷는다. 인내산을 참고 견딘다는 뜻의 '인내산(忍耐山)'으로 표기하는 사람이 종종 있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지명유래를 찾아보니 인내산의 어원은 '인출산'이었다. 아주 먼 옛날 큰 해일이 밀려왔을 때 꼭대기가 도장만큼 남았다는 전설이다. 지금 사람들은 인내산이나 이내산으로 부른다. 정작 '인내'와는 상관없다고 생각했는데 산에 오르면서 '인내심'을 발휘했다. 초반에 무척 팍팍했기 때문이다. 인내산 원점회귀 산행은 경주시 서면 도리2리회관에서 출발하고 마무리 짓는다.[출처/&]

참고

상구2리 당산나무 앞에서 산행 종료하면 30번 버스가 있다.

기다리는 동안 용담정 부근에 있는 수운 최제우 선생 생가를 구경 할 수 있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낙동구미단맥

낙동정맥 영천시 고경면과 경주시 서면. 현곡면의 삼면봉이자 약수탕 남측 도면상469봉인 南沙봉에서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경주시 서면. 현곡면의 경계를 따라 513봉을 지나 경주시 서면과 현곡면, 건천읍의 삼면지점인 등고선상490m 지점(1)에서 경주시 건천읍과 현곡면의 경계를 따라 박달재(570, 3.7/4.7)를 지나 경주국립공원 구미산지구내 龜尾(594.1, 0.5/5.2)-형제바위(530)-용림산(522.6, 2.2/7.4)-20번국도 경주터널 위(390, 0.8/8.2)-426(2.1/10.3)-4번국도 충효고개(110, 2.7/13)-외외고개도로(130, 0.5/13.5)를 지나 다시 경주국립공원 서악지구로 들어가 선도산성 仙桃(380.9, 0.8/14.3)-210-갯보산(210, 2.2/16.5)-소티고개 도로(70, 0.5/17)에서 경주국립공원 밖으로 나와 중앙선철로 효현터널위를 지나 장산(110, 0.3/17.3)-장매도로(30, 0.5/17.8)로 내려섰다가 경주시 효현동 정천마을 논 제방도로를 따라 대천이 형산강을 만나는 곳(30, 0.4/18.2)에서 끝나는 약18.2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