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지도

장수 팔공산

꼴통 도요새 2019. 3. 29. 11:07

장수 팔공산

1. 산행지: 팔공산(1,151m)
2. 위치 : 장수군 장수읍, 진안군 백운면

 

8. 산행코스:

9. 특징:

팔공산

'전라북도의 지붕'이라고 불리는 동북쪽의 무주군, 진안군, 장수군을 이 고장 사람들은 지명의 첫 글자를 따서 '무진장'이라고 부른다. 이 무진장 지역은 백두대간 줄기에 싸인 고원지대로 장수군이 평균 해발 430m로 가장 높다. 행정 중심지인 장수군을 사방에서 1,000m 이상 되는 산들이 둘러싸고 있다. 즉 서쪽으로 팔공산을 비롯 동쪽에 장안산(1,237m), 남쪽 서두봉(1,015m), 북쪽 성수산(1,059m)들이 우뚝 솟아 있는 것이다. 이 팔공산은 흔히 거의 같은 높이의 대구 팔공산(1,193m)과 비교하게 된다. 암벽과 암봉의 연속, 산세의 웅장함, 유명한 동화사를 포옹하고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는 대구의 팔공산에 비하면 평범한 편이다. 장수읍으로부터 약 6km 지점에 위치한 이 팔공산은 장수군이 고원지대인 탓으로 1,000m가 넘는 산답지 않게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 이 산의 동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팔성암은 잘 다듬어진 사찰로 이 곳에서 정상까지 올라가는 코스는 울창한 숲과 이름모를 신비의 굴, 빽빽히 들어선 갈대숲으로 이루어져 변화있는 흥겨운 산행이 될 수 있고, 헬기장을 지나 정상(송신탑)에 서면 서남쪽으로 끝없이 펼쳐지는 산과 산의 파도, 높푸른 하늘 공간과 조화를 이루어 가슴이 활짝 열리는 광활함 느끼게 한다. 정상에는 통신시설이 있어 경비원들이 상주하고 있으나 주변 철조망 밖으로 통로가 나 있어 등산하기에 불편하지는 않다.

■명소·고적

●필덕 저수지(必德)

팔공산 남쪽 기슭을 막은 계곡형 저수지로 면적 105,600㎡다. 1983년에 55cm짜리 초대형 월척이 낚인 전북 동부지방의 손꼽히는 낚시터이다.

●춘란(春蘭)
팔공산은 난 군락지로 야생란 중에 황화, 중투, 서반 등 희귀종이 적지않게 서식하고 있다.

■산행 가이드

산행은 장수읍에서 팔성암으로 오르거나 대성리에서 시작하면 된다.

▶제1코스 : (9.4km, 4시간 40분)
안양마을 → 팔성암 → 북능선 → 굴 → 헬기장 → 정상(송신탑) → 남능선 → 1,013고지 → 대성초등학교 → 금평마을 → 버스정류장

▶제2코스 : (10.5km, 5시간 10분)
안양마을 → 팔성암 → 헬기장 → 정상 → 서부 능선 → 대성목장 → 필덕마을 → 필덕저수지 → 대성리[출처/ 데일리전북]

우리산줄기이야기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줄기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산맥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북쪽 사면에서 장수의 천천(天川)이 시작되어 401㎞의 금강을 이루고 남쪽 사면에서는 임실의 오원천(烏院川)이 시작되어 225㎞의 섬진강을 이룬다. 연결된 주요산은 수분현(水分峴, 530m)·팔공산(八公山, 1,151m)·성수산(聖壽山, 1,059m)·마이산(馬耳山, 667m)·부귀산(富貴山, 806m) 등이며, 그 길이가 약 65㎞로 13개 정맥 중 가장 짧다.금남정맥과 더불어 금강유역의 경계를 이루고, 호남정맥과 더불어 금강과 섬진강유역의 경계를 이룬다. [출처/ 다음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