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지도

함안 작대산, 천주산, 보등산

꼴통 도요새 2019. 7. 21. 09:38

함안 작대산, 천주산, 보등산

1. 산행지: 작대산(爵大山-爵隊山 647m), 천주산(641m), 호연봉(앞산, 514m), 보등산(393m)

2. 위치: 경남 함안군 칠원읍 무기리

 

7. 들머리/ 날머리: 무기리[원점회귀]

8. 산행코스: 무기리⟶서봉⟶청룡산(작대산)⟶양미재⟶농바위(상봉)⟶천주산(용지봉)⟶천주봉⟶빽→마산재(호연봉=앞산)→보등산→329.8봉→함안제2터널→무기교→무기리

9. 특징:

작대산

상남도 창원시 북면 감계리·외감리와 함안군 칠원면 무기리에 걸쳐 있는 산이며, 작대산은 옛 칠원현의 동쪽에 있는 산이다. 이 산의 명칭에 대한 많은 혼란이 있다. 그것은 작대산이 근세의 자료로는 조선시대 후기의 『칠원지도』에만 나올 뿐 다른 지지에서는 이름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지지에는 칠원현의 동쪽에 청룡산(靑龍山)이 있으며, 바로 칠원의 진산이라 전한다. 그런데 청룡산이라고 하는 같은 이름의 산이 칠원과 창원에 동시에 보이기 때문에 혼란이 빚어진 것으로 보인다.
처음 청룡산이 나타나는 기록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 창원도호부에 창원의 진산으로 등재된 것이다. 이후에 기록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서는 창원도호부와 칠원현에 각각 청룡산이 등재되어 있다. 창원도호부 산천에는 청룡산이 부의 서쪽 1리에 있고, 진산인 첨산(檐山)이 청룡산과 얽혔다고 전한다. 이 기록은 청룡산의 위치가 마치 지금의 천주산에 두어진 듯 묘사하고 있다. 달리 칠원현 산천에는 청룡산은 현의 동쪽 2리에 있으며, 진산이라고 했다.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89) 칠원현지지도(漆原縣之地圖)에는 무릉산의 남쪽이자 칠원현의 동쪽에 청룡산을 표기하였다. 그 위치는 지금의 작대산이며, 바로 『칠원지도』에 작대산으로 묘사된 지점이다. 『칠원읍지』에도 청룡산은 현의 동쪽 7리에 있고, 창원의 두척산에서 내려온 산맥으로 현의 진산이라고 했다. 이렇듯 청룡산은 한결같이 칠원현의 동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전통 지리에서 좌청룡(左靑龍)이 오방(五方) 중 동쪽의 청색을 상징하는 것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청룡산은 칠원현을 기준으로 동쪽에 있는 산이어야 하는 것이다. 이로써 청룡산과 작대산은 같은 산에 대한 다른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청룡산이 어느 시점에 작대산으로 불리기 시작했는지, 왜 그렇게 바뀌었는지는 상고하기 어렵다. 작대산의 명칭 유래와 관련하여 성 뒷산을 뜻하는 ‘잣뒷산’에서 변이된 것으로 볼 때, 그 ‘잣[城]’은 북면의 화천리 산성을 가리킨다. 다른 한편으로는 홍수 설화에 기대어 ‘작대기산’에서 유래를 구하는 설이 있다. 한편 ‘잣뒷산’의 ‘잣’이 창원도호부성을 의미한다고 보고, 작대산과 천주산(天柱山)을 동일시하는 설의 입장에서는 ‘천주(天柱)’가 작대산에서 유추한 작대기의 한자 표현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설은 조선시대 사람들의 지리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고지도에서 천주산과 작대산을 별개로 표기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재론의 여지가 있다 할 것이다. 작대산의 기반은 경상계 진동층의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쪽의 천주산과 북쪽의 무릉산 사이에는 마산암이라 명명된 화강암이 끼어들어 낮은 고개가 만들어졌다. 산의 줄기는 낙남정간을 잇는 두척산과 검산(첨산) 구간의 천주산에서 북쪽으로 뻗은 갈래이다. 산의 길이는 북서-남동으로 뻗어 있다.[출처/향토문화전자대전]
천주산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시, 함안군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 640m이다. 천주산은 『하늘을 받치고 있다는』뜻을 가진 산이다. 주봉우리는 용지봉(龍池峰)으로 주변 일대에 진달래가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동남쪽과 동북쪽은 창원시, 남서쪽은 마산시, 북서쪽은 함안군에 속하며 정상에서 3개 시군이 만난다. 작대산과 상봉을 가운데 두고 북릉과 이어지고, 주능선은 남북으로 마산시까지 길게 벋는다. 주변에 무학산·정병산, 장복산·용지봉 등이 솟아 있다. 조선시대 성리학자인 허목(許穆)의 글씨를 음각한 달천동(達川洞)이라는 글자가 달천계곡 암벽에 새겨져 있고, 매년 봄이면 북면 주민들이 주최하는 진달래축제가 열린다.산행은 천주사에서 산등성이를 타고 오르다가 달천계곡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나는 고개에서 왼쪽 산등성이를 타고 주능선 끝에 있는 천주봉(484m)에 올랐다가 왔던 길로 안부까지 내려와 주봉인 용지봉에 오른다. 하산은 북쪽 안부로 내려서서 계곡을 따라 임도를 타고 1시간 가량 걸으면 달천계곡이 나오고 등산로는 외감 마을에서 끝난다.


우리산줄기이야기


낙남청룡(작대)단맥
낙남정맥 天柱산 용지봉(△638.8)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함안군과 창원시의 경계를 따라 달천고개 임도(490, 0.4)-상봉(농바위, 659, 0.8/1.2)-양미재(310, 2.4)-473봉-양목이고개(390, 1/3.4)-청룡산(爵隊산, △647.8) 전위봉(570, 0.8/4.2)-소목고개(230, 0.9/5.1)-조롱산(342, 0.6/5.7)-무동고개(170, 1.1/6.8)-246봉-9번군도무산고개(170, 1.2/8)-武陵산(568, 1.2/9.2)-한재(210, 1.2/10.4)-421봉(1.1/11.5)-60번국지도 아산고개(130, 0.8/12.3)-함박산(280, 0.5/12.8)-354봉(1.6/14.4)에서 경계선은 북동방향으로 가고 단맥은 남동진하여 옥녀봉(310, 3.2/17.6)-신리고개(170, 0.6/18.2)-馬金산(280, 0.5/18.7)-10번군도 사거정고개(90, 0.4/19.1)-天馬산(370, 1.5/20.6)-창원시 북면 하천리 바깥신천마을(30, 1.2/21.8) 79번국도를 지나 북천천이 신촌천을 만나는 곳(0.9/22.7)에서 끝나는 약22.7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