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충주 갈미봉,옥녀봉,시루봉,오청산,엄정상,장병산

꼴통 도요새 2019. 10. 13. 15:34

충주 갈미봉, 옥녀봉, 시루봉, 오청산, 엄정상, 장병산

1. 지: 갈미봉(603m), 옥녀봉(778m), 시루봉(740m), 오청산(656.9m), 엄정산(505m), 장병산(408m)

2. 위치: 충북 충주시 엄정면 추평리

3. 일시: 2019년 10월 12일(토)

4. 날씨: 흐리고 강한 바람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9시간 7분[이동거리/ 24.67km]

7. 들머리/ 날머리: 추평리보건진료소[출발/ 도착]

8. 산행코스: 추평리보건진료소→탑평버스정류장→추평리삼층석탑→하일마을→소림마을버스정류장→녹재→갈미봉 왕복→옥녀봉(778m)정상석→옥녀봉(702m)정상석→시루봉(740m)정상석→시루봉(695.4m)정상판→밀양박씨묘(오청산 갈림길)→오청산 왕복→엄정산 1,500m. 옥녀봉, 시루봉 이정표→엄정산→장병산→장병산 100m. 전망대 100m 이정표→계곡→밤나무밭→직동마을회관→추평리보건진료소

9. 특징:

엄정면

북서부에 옥녀봉(玉女峰, 700m)•시루봉(732m), 서부에 빌미산약수봉(藥水峰, 352m), 동부에 오청산(五靑山, 655m)•장병산(長屛山, 409m)•태고산(太古山) 등이 솟아 있다. 그리고 그 사이 Y자 모양의 원곡천(院谷川)이 남류하여 빌미산 서부에서 논강천(論江川)에 합류하고, 이것이 영덕천(永德川)에 흘러들어 남한강에 합류하고 있다. 농산물은 주로 쌀·보리·콩을 생산하며, 참깨·들깨·잎담배 등의 특용작물도 산출한다. 남부의 용산리(龍山里) 일대는 취락이 발달하여 면의 중심부를 이룬다. 지방도가 원곡천과 영덕천을 따라 면의 주요 마을을 연결하고 있다. 문화유적은 괴동리의 억정사대국사비·경종대왕의 태실과 태실비·백운암의 철불좌상, 추평리의 삼층석탑 등이 있다. 미내리에는 반공지사의 추모 전적비가 있다.[인터넷 발췌]

우리산줄기이야기

치악천등지맥

치악기맥이 치악산 향로봉 지나 남진하다 남대봉에서 치악기맥은 동쪽으로 뻗어나가고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충주호에서 끝이 나는 산줄기가 있으니 그 흐름을 살펴보면 남대봉(1161.5m)에서 남쪽으로 원주시 판부면과 신림면의 경계를 따라 시명봉(1196.0, 1.8km)-5번국도 중앙고속도로 가리파 기차굴이 있는 가리파고개(450, 5.2/7)로 내려선다 올라선 벼락바위봉(939.8, 3/10)에서 남쪽으로 구학산(983.4, 단맥) 주론산을 거쳐 금봉이의 한이 서린 박달재로 넘어가고 지맥은 강원도와 충청북도의 경계를 따라 서쪽으로 간다 백운산(985, 3.8/13.8)-군부대가 있는 등고선상 930봉에서 북쪽으로 또 다른 白雲(△535.7, 단맥)을 떨구고 용수골 임도 고갯마루(상재 1/14.8)로 내려선다 백운산(1087.1, 1/15.8)-오두봉(966.6, 2.8/18.6)-오두치(710, 1.1/19.7)-970.8-십자봉(촉새봉 984.8, 3.2/22.9)지난 등고선상 970봉에서 동남방향으로 三峰(△909.6, 여맥))을 떨군다 뒷산(750)-배째고개(490,4/26.9)-633.1-옥녀봉(710, 1.7/28.6)에서 도경계선은 서쪽 갈미봉(590, 단맥)으로 달려가고 지맥은 도경계선을 떠나 충주시와 제천시의 경계를 따라간다 시루봉(730)-비지재-강승갱이재(590, 3/31.6)-686.7-608봉에서 남쪽으로 충주시 엄정면과 산척면의 경계를 따라 長屛(△408.8, 단맥)을 떨구고 동진을 한다 오청산(650, 3.5/35.1)-38번국도 다리재(390, 4.7/39.8)-천등산(807.1, 2/41.8)에서 경계를 떠나 충주시를 동서로 나누며 남진한다 느릅재(290, 3.2/45)-충북선 기차굴인 인동터널을 지나 인등산 전위봉에서 서쪽으로 龍天(△293.1, 단맥)을 떨구고 지맥은 오른쪽 동쪽으로 인등산(666.5, 2/47)으로 올라 임도(390)로 내려섰다가 손리도로(190, 3.5/50.5)를 지나간다. 관모봉 전위봉에서 서쪽으로 지등산(△535, 여맥)을 떨구고 남쪽으로 관모봉(650, 1.8/52.3)을 오른다. 598.4-주봉산(642.7, 3/55.3)-527-수리재(370)-고봉(450, 2/57.3)-351-375.9(1.7/59)-죽방치(190, 1.3/60.3)-199-167.5봉 지나 충주시 동량면 명오리 끝(130, 2/62.3)에서 충주호반이 되는 약 62km 정도의 산줄기이다.[출처/ 다음카페 우리산줄기이야기]

신행후기

오늘은 오래 전 지도를 그려 놓았던 충주 오청산을 찾는다. 코스가 조금 긴 것 같아서 빨리 진행하려고 나름대로 머리를 굴려서 녹재까지 도로를 이용하였다. 녹재부터는 산줄기하시는 분들이 말하는 일명 천등지맥이기에 길이 괜찮을 것이라 생각하였는데, 중간중간 가끔 길이 흐린 지점들이 있었다. 봉우리 갈미봉엔 정상석과 정상철판이 있었는데 같은 지점에 있는 것이 하나는 603m, 또 하나는 598m이었는데 내가 가진 지도에는 602.1m이었다. 그 다음 옥녀봉은 불과 30m 떨어진 지점에 정상석이 2개나 세워져 있었는데 하나는 778m로 표시되어 있었고, 또 하나는 702m로 표시도어 있었다. 그 다음 시루봉을 찾아 가는데 생각치도 않았던 지점에 시루봉(740m)이란 정상석이 세워져 있었고, 내가 가진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지점엔 백두사랑산악회에서 만든 정상판(695.4m)이 있었다. 내가 그린 코스를 따라 오청산을 거쳐 장병산으로 가는데 갑자기 엄정산 1,500m란 이정표 하나가 세워져 있었는데, 탐방 후 가만히 생각해보니 아마도 2~3km 이상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으며 엄정산은 내가 가진 지도에는 없는 봉우리 이었지만 정상엔 충주시에서 만들어 세워 놓은 정상석이 있었다. 이 코스를 탐방하면서 국가에서 만든 지도, 충주시에서 만든 정상석 ...등등 많은 것들이 일치되는 것이 없었다. 하루빨리 지자체와 국가가 일치하여 하나로 통일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정상 표시석을 만들어 세우기까지는 꽤나 많은 돈이 들었을텐데, 어떻게 같은 높이에 있는 것이 76m나 차이나게 만들어 세웠을까 안타깝기만하고 탐방후에도 내가 가진 지도에 있는 정상석과 정상표시 지점이 모두가 다르니 어떤 것이 맞는지 답답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