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천 저점산
1. 산행지: 저점산(猪岾山, 320m)
2. 위치: 충북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3. 일시: 2020년 2월 29일(토)
4. 날씨: 맑고 따스하고 옅은 박무
5. 누구랑: 강일형님과
6. 이동거리및 소요시간: 4.4km/ 1시간 45분
7. 들머리/ 날머리: 청성면사무소[출발/ 도착]
8. 산행코스: 청성면사무소→청성초등학교옆길→119소방서→공동묘지→저점산성→삼거리 갈림길→371.9봉 왕복→농로→청성면 파출소→청성면사무소
9. 특징:
옥천군[沃川郡]
동쪽은 경북 상주시, 서쪽은 대전광역시, 남쪽은 영동군과 충남 금산군, 북쪽은 보은군과 접하고 있다. 북부에 거멍산(494m)·덕대산(德大山, 573m)·금적산(金積山, 652m)·관모봉(冠帽峰, 569m)·삼승산(三升山, 574m), 남부에 망덕봉(望德峰, 420m)·장룡산(壯龍山, 656m)·마니산(摩尼山, 640m)·월이산(月伊山, 551m), 동부에 팔음산(八音山, 762m)·천관산(天冠山, 440m)·천금산(千金山, 464m)·철봉산(鐵峰山, 450m), 서부에 환산(環山, 581m) 등이 있다. 중동부에는 마성산(馬城山, 497m)과 남쪽의 도덕봉(道德峰, 407m), 서쪽의 용봉(龍峰, 437m) 등으로 둘러싸인 옥천분지를 이루고 있는데, 남동에서 북서 방향으로 흘러가는 옥천분지 내의 중심하천의 서쪽에는 용봉과 마성산을 배후산지로 하여 하부에 너비 5㎞, 길이 1.5㎞의 대규모 완사지가 발달하였고, 중앙에는 귀화봉·새보로봉 등의 소규모 구릉들이 있으며 하천변에는 평탄면이 발달해 있다. 충남 금산으로부터 북류하는 금강(錦江)이 이원천(伊院川)·건진천(乾榛川)·보청천(報靑川)을 합류하면서 감입곡류를 이루어 곳곳에 절벽을 이루면서 아름다운 경치를 나타내고 있다.안내면의 장계리 일대는 금강의 대표적인 감입곡류지역으로 지질구조를 따라 흐르는 필종하천(必從河川)이다. 금강의 분류는 이원면 백지리로 흘러들어 북류하다가 용방리에서 서류해 옥천읍에서 다시 북류해 산간계곡을 곡류하다가 안남면 둔주봉(屯駐峰) 부근에서 대청호로 흘러든다. 보청천은 문암천(文巖川)·항건천(恒乾川)·삼가천(三街川)·예곡천(禮谷川)·장연천(長連川) 등의 지류를 합류해 청성면 고당리에서 금강 본류에 흘러드는데 평야의 대부분이 옥천분지에 전개되고 있다.
저점산성
저점산성은 석축산 성지로 북동편을 경계·방어하도록 축성했으며 수구는 남서쪽 얕은 계곡에 위치해 있다. 규모는 1천5백m에 달하는 비교적 큰 성으로 성벽은 그의 붕괴되고 완전히 남아 있는 곳은 없으나 성벽의 높이는 대략 2∼3m정도였을 것으로 보이며 산의 능선을 따라 석축했다. 다만 수구쪽으로만 계곡으로 붙여 쌓아 50m의 길이에 5m정도의 높이만큼 성벽을 쌓고 수구를 낸 것으로 보인다. 성문은 남쪽의 얕은 산 정상에 있으며 동북편 최고봉의 망대는 천연적인 절벽 위에 석축하여 요새화 하였는데 이 망대에서 보면 청산면의 넓은 들을 비롯, 장위리보가 위용을 자랑하고 있고 청성면 산계.소서.궁촌리 일대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또한 산계리 보청천변 절벽위에 쌓여진 굴산성지의 안쪽이 부채살처럼 펄쳐 있어 이 두 성의 연관관계를 짐작케 해준다. 즉 굴산성과 저점산성은 축성방법이나 위치 등으로 보아 신라에서 축성한 것으로 추측되는 바 굴산성이 최일선의 전초성 역할을 했고 저점산성은 제2의 성으로 추측된다. 특히 성의 바로 아래로 지나는 19번 국도 호군(護軍)이 재는 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한 기록으로 여지도서 청산의 고적조(古蹟條)와 신증동국여지승람 청산현 고적조에 나와 있는 기록에 따르면 성의 길이가 2천57척으로 6백17m에 불과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 길이는 1천5백m나 되고 신라시대 기와편이 간혹 발견되고 있다.[출처/ 우리고장문화재]
산행후기
오전에 동굴산과 봉화산 탐방을 마친 후, 약간의 오후 시간이 남아서 양산면 수두리에서 차량으로 약 36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청성면에 위치한 저점산성을 찾았다. 이 곳은 청성면사무소에서 올라 저점산성을 돌아 청성면사무소로 돌아 오는 코스지만, 산행 거리가 짧고, 잘 알려지지 않은 산이라 그런지, 일부 청성면민들만이 간혹 오르내리는 코스로 판단되며, 대부분의 등산로는 선명하지만 낡은 밧줄과 정상엔 저점산성 표지석만 있을 뿐 그 외 산꾼들의 표시기는 하나도 없었다. 내 지도엔 저점산성과 저점산 정상이라는 아무런 표시가 없었으며, 저점산성표지석은 311.9봉에 있으나, 그리 멀지 않는 곳에 371.9봉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저점산 정상은 371.9봉으로 판단된다.
'충청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천 하마산, 여수울산, 큰달음산 (2) | 2020.03.10 |
---|---|
영동 무선봉, 굴봉 (0) | 2020.03.02 |
영동 동골산, 봉화산 (0) | 2020.03.01 |
음성 범벅산, 선산, 다홍산, 십자산, 마봉산, 북망산, 멸그바위산, 마날봉...등 (0) | 2020.02.03 |
괴산 병모산, 우족골산, 무등산, 대곡산, 갈미봉, 공수방산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