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방산[王方山] 737m: 경기도 포천시 포천읍, 신북면, 동두천시 탑동.
예로부터 포천의 진산으로 불려온 왕방산은 조선 태조가 왕위에서 물러난 후, 서울로 환궁하는 도중 왕자들의 골육상쟁 소식을 듣고, 그 아픈 마음을 달래기 위해 이 산에 있는 사찰(보덕사)을 방문, 수일간 체류했다 하여 산 이름을 왕방산, 절 이름을 왕방사라 지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왕방산은 초심자들도 큰 힘들이지 않고, 쉽게 오르내릴 수 있다.
왕방산[王方山] 737m: 경기도 포천시 포천읍, 신북면, 동두천시 탑동.
예로부터 포천의 진산으로 불려온 왕방산은 조선 태조가 왕위에서 물러난 후, 서울로 환궁하는 도중 왕자들의 골육상쟁 소식을 듣고, 그 아픈 마음을 달래기 위해 이 산에 있는 사찰(보덕사)을 방문, 수일간 체류했다 하여 산 이름을 왕방산, 절 이름을 왕방사라 지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왕방산은 초심자들도 큰 힘들이지 않고, 쉽게 오르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