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음성 수정산 무네미산 가막산

꼴통 도요새 2017. 1. 29. 17:46
반응형

음성 수정산, 무네미산(수리봉), 가막산(오성산)

 

1. 산행지: 수정산(할미산, 393.2m), 무네미산(수리봉, 354m), 가막산(오성산, 484.6m)

2. 위치: 충북 음성군 음성읍

3. 일씨: 2017년 1월 28일(일)

4. 날씨: 눈과 비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8시간

7. 난이도: 상급

8. 들머리/ 날머리: 음성읍사무소앞 공용주차장(원점회귀)

9. 산행코스 : 음성읍사무소앞 공용주차장 ~ 신동아아파트 ~ 육교 ~ 수정상 정상(수정산성) ~정상석, 산불감시초소(체육시설) ~좌측무레너미산 방향~무네미산~우측~295.1봉~풍산신씨 묘소~철길~충도리~음성고추가루공장~충도저수지~양화마을~능선 ~ 506봉 ~503봉~가막산 정상 ~ 우측 날머리~사방댐~한양농장~화엄사~하로2리 경로당 ~ 하로2리 버스정류장~능촌교~음성경찰서~음성읍사무소앞 공용주차장

10. 특징:

수정산

충북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와 평곡리에 있는 산

할미산이라고도 한다. 음성읍내에서 동쪽으로 2㎞ 떨어져 있다. 산 북쪽에는 청주∼충주간 국도가 뻗어 있고 남쪽에는 충북선이 뻗어 있어 마치 바다 속의 섬과 같은 모습이다. 음성 읍내에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사랑받는 산이다. 산에는 남매가 쌓았다는 전설이 얽힌 통일신라시대의 산성인 수정산성(충북기념물 111)이 있는데, 원남면 상노리와 하로리 경계에 있는 할미성과 함께 할애비와 할미가 축조했다는 설화에 연유하여 할애비성이라고도 불린다. 산 정상에는 옥수정이라는 우물이 있다. 산마루에는 장수가 무예를 닦던 곳이라고 전해지는 공기바우(장수바우)가 있는데, 지름이 2m나 되며 모양은 길고 둥글다. 이 산에 살던 장수가 원남면 주봉리 시루산(증산, 세루산 300m)의 장수에게 바위를 던지면 시루산의 장수가 받아서 이쪽으로 던졌다는 전설이 전해지며, 시루산에도 지름 3m의 큰 공기바우가 있다. 

가막산

가막산 정상부를 감싸고 축조된 석축산성 있으며, 가막산은 오성산이라고도 불리는데, 지금까지는 가막산 남쪽 37번 국도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치하고 있는 오대산성이 가막산성이라고 불려왔다. 그런데 2002년 지표조사에 의해 오대산성과 가막산성은 각각 별개의 산성이며, 오대산성은 할미성으로, 가막산성은 할애비성으로 불린 것이 확인되었다. 가막산성은 중요한 교통로인 음성-괴산 사이의 37번 국도에 가까이 있으며, 성 위에서 사방을 내려다보면 북쪽으로는 음성읍내가, 서쪽으로는 음성-청주 간 36번 국도가 보여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성의 위치와 축조 방식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 내지는 고려시대에 축조된 산성으로 추정된다(참고: 네이버)

무네미산

수정산 정상에서 약 1.3km지점에 떨어져 있으며, 음성군에서 만들어 놓은 이정표에는 수리봉으로 표기되어 있다.

도요새의 의문점:

가막산 정상은 484.6m으로 표기 되어 있으며,  일부 산악회와 개인의 표시기가 달려 있다. 바로 옆 약 300~500m 거리에 있는 봉우리인 506봉과 503봉은 아무런 표시가 없는 무명봉으로 되어 있다.

산줄기이야기

한남금북갑산단맥

한남금북정맥이 속리산 천황봉에서 분기하여 흐르면서 칠보산 보광산을 지나 515번지방도로 보천고개에서 오른 도면상 삼각점이 있는 378.5봉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음성군과 괴산군의 경계를 따라 상노고개(330)-吾垈산(399.7)-오두산(370)을 지나 37번국도 구안리고개(230, 2.2)로 내려선다. 남산(330)-國師산(450)-갑산(△481.5, 4.3/6.5)-갑산고개 임도(370)-용고개(330)-△368.6봉-510번지방도로 각골고개(3.9/10.4)-△369.4봉-부챙이재(310)-안심고개(270)를 지나 정지고개 도로 (230, 4.6/15)로 내려선다. 갑골재 도로(190)-8번군도 다른고개(150, 3.2/18.2)를 지나 괴산군 불정리 장화마을 인근 신항천이 달천을 만나는 곳(90, 4.1/22.3)에서 끝이나는 약22.3km의 산줄기중 제일 높은 갑산의 이름을 빌어 한남금북정맥에서 분기하였으로 한남금북갑산단맥이라고 부르기로 한다(출처: 산경표따르기)

수정산은 여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