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도덕산, 미골봉, 새벌봉, 대민골봉, 오로산
1. 산행지: 도덕산(527.6m) 미골봉(461m) 새벌봉(500.1m) 대민골봉(509.7m) 오로산(520.5m)
2. 위치: 강원 영월군 서면 후탄리
9. 산행코스 : 배일재 - 374.2봉 - 442.9봉 - 도덕산 - 사정리 임도 - 화병교 - 화병마을 - 4번 도로 - 등산안내판 - 미골봉 - 새벌봉 - 봉수대 - 대민골봉 - 오로산(오로산 등산안내판으로 빽) - 등산안내판 - 4번 도로 - 화병마을
10. 특징:
오로산
영월군에서는 명함도 내밀지 못하는 산이었다. 영월에는 너무 유명하고 인기 있는 산들이 많기 때문이다. 매우 생소하게 느껴지는 오로산은 높이도 낮고, 산 남북으로 거대한 시멘트 공장이 자리하고 있어 산행대상지로 적합하지 않은 곳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대도시 주변 산들이 아파트단지들로 포위되어 있는 것에 비하면 시멘트공장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일단 정상에 올라 이 산을 휘감고 돌아나가는 아름다운 서강 풍경과 사방으로 막힘없이 펼쳐지는 파노라마는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무릎을 치게 되는 산이다. 조망은 높이에 비해 의외로 시원하게 터진다. 영월 방면인 동으로는 시루봉에서 소나기재로 이어지는 능선 뒤로 봉래산이 조망되고, 그 오른쪽으로 태화산이 보인다. 남쪽으로는 삼태산 뒤로 소백연봉이 하늘금을 이루고, 남서로는 가창산, 왕박산, 무등산과 그 뒤로 금수산도 시야에 와닿는다. 금수산 오른쪽으로는 제천시도 보인다. 서쪽으로는 송학산 뒤로 용두산, 석기암봉, 감악산이 보인다. 북서로는 서강이 조망되고 강 건너 멀리로 구룡산과 다래산이 치악산, 백덕산 등과 함께 펼쳐진다. 북으로는 서강 건너로 옹정리 선암 마을 위 도덕산, 배거리산, 삼방산 등이 보인다. 오른쪽 더 멀리로는 가리왕산이 가물거린다.
관란정
생육신 원호가 단종을 향해 문안드린 곳
영월군 서면 소재지인 신천리에서 후탄리 방면으로 U턴하며 흐르는 서강의 약 1km 구간은 충북 제천시 송학면과 경계를 이룬다. 이 충북과 강원도 경계를 이루는 서강 남쪽으로 병풍을 두른 듯한 수직절벽 꼭대기에 자리한 아담한 정자가 관란정이다. 충북기념물 제92호인 관란정은 조선조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집현전 직제학을 지낸 원호 선생이 단을 쌓고 지은 정자다. 원호 선생은 단종(1441~1457)이 유배된 청룡포를 향해 조석으로 눈물을 흘리며 문안을 드렸다. 북쪽 수십 길 절벽 아래로 흐르는 서강편에 선생이 직접 가꾼 채소와 광일을 단종께서 드시라고 빈 박통에 띄워 청룡포로 보내는 충성심을 보였다고 한다. 서강을 굽어보는 절벽 위에 세워져 주변 풍광이 뛰어나다. 관란정에서 동쪽으로 흘러가는 서강 방면 3km 거리로 마주보이는 산이 바로 오로산이다. 정자 현판 오른쪽에는 조선조 영,정조 때의 대학자 이계 홍양호(1724~1802)가 원호 선생을 극찬하기 위해 세운 유허비가 있다. 유허비에는 '간밤에 우던 여울 슬피 울어 지나가다, 이제와 생각하는, 님이 울어 보내도다. 저 물이 거슬러 흐르고져, 나도 울어 보내도다' 라는 싯귀가 있다. 홍양호는 삼각산 우이동에 관한 글을 지은 인물이기도 하다. 우이구곡을 설정하는 한편, 일본가는 통신사편으로 벚꽃 묘목을 들여와 우이동에 심어 꽃도 감상하고 활 재료로도 쓰게 했다.
신천리 한반도 지형
평창강과 주천강이 만나며 이룬 특이 형상
영월군 서면 소재지인 신천리 남동쪽 2km 거리인 한반도 지형은 백덕산(1,350.1m) 남릉이 약 25km 길이로 이어져 내린 능선 끝머리가 된다. 이 백덕산 남릉을 가운데 두고 동쪽에서 흐르는 물줄기가 평창강이고, 남릉 서쪽 무릉리쯤에서 남동으로 흐르는 물줄기가 주천강이다. 평창강 물이 한반도 지형에 이르면 북서쪽으로 유턴하며 약 1km 거리에서 주천강과 합류, 여기에서부터 서강을 이루며 영월쪽으로 흘러나간다. 이 한반도 지형 동쪽 평창강 건너편이 옹정리 선암 마을이다. 따라서 선암 마을에 한반도 지형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선암 마을에서는 강 건너인 신천리 한반도 지형을 조망하는 장소일 뿐이다. 선암 마을은 오로산 정상에서 북서쪽 직선으로 불과 약 2km 거리지만, 그 사이에 서강이 가로놓여 있어 직접 접근은 되지 않는다. 선암 마을로 가려면 일단 서면 소재지인 신천리에서 영월로 가는 88번 지방도를 따라 약 3km 지점인 책박물관 삼거리에서 남쪽 길로 들어간다. 삼거리에서 약 2km 올라가면 이동형 매점(소형트럭)이 있는 고갯마루에 닿는다. 도덕산(508.6m) 남서릉 상의 고개다. 서쪽 아래로 강변에 아늑한 분지를 이룬 선암 마을이 보인다. 고갯마루에서 능선길로 약 10분 가면 서쪽 아래로 한반도 지형이 조망되는 전망대가 있다. 한반도 지형은 동쪽은 절벽, 남쪽과 서쪽은 자갈밭과 모래사장으로 신기하게도 동고서저형으로 우리나라와 닮았다. 백덕산 방면(북쪽0은 만주, 몽고, 시베리아를, 북서쪽 연기를 뿜어내는 신천리 시멘트공장 방면은 경제대국으로 꿈틀거리는 중국대륙을 연상케 한다.
우리산줄기이야기
치악오로단맥
치악기맥 삼태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단양군 어상천면과 영춘면의 경계를 따라 초로봉(554.5)어깨(550, 4.4)에서 도경계를 만나 무덤재(1/5.4)에서 도경계선을 떠나 419.3봉어깨-519번지방도로(2.4/7.8)-38번국도-406.5봉-오로산(520.5, 4/11.8)을 지나 영월군 서면 후탄리 화병마을 평창강변(2.7/14.5) 다리 앞에서 끝나는 약14.5km의 산줄기를 말한다.
'강원도 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월 검각산 (0) | 2017.09.15 |
---|---|
홍천 뾰족봉, 새득이봉, 등골산, 평내등골산 (0) | 2017.09.15 |
영월 석봉산, 응봉산, 덕가산 (0) | 2017.08.28 |
영월 돼지봉 (0) | 2017.08.28 |
영월 망산, 설구산, 비산 (0) | 2017.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