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지도

광주시 성남시 문형산, 매지봉, 영장산

꼴통 도요새 2018. 1. 5. 15:31
반응형

광주시 성남시 문형산, 매지봉, 영장산

문형산 [文衡山]

경기도 광주시 오포면의 높이 498m의 산이다.

산의 유래는 옛날에 이 일대에 홍수가 나서 모두가 물에 잠겼으나 문형산의 정상만 잠기지 않았다고 전해지며, 산의 크기가 무명 한 필을 겨우 말릴 정도라 하여 무명산이라 부른다고도 한다. 문형이란 명칭은 조선시대 대제학의 별칭으로, 이곳에서 선비가 많이 배출되기를 비는 뜻에서 문형산이라고 지은 것이라 전한다. 서울에서 별로 멀지 않은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나즈막한 산으로 봉곡사 왼쪽의 사슴농장과 민가 사이에 있는 길을 따라 오르면 갈림길이 있는데, 왼쪽 등산로가 더 명확하고 도중에 약수가 있으므로, 이 길을 택하는 편이 좋다. 활엽수로 덮여있는 정상에는 깃대봉이 세워져 있다. 정상에서 동막골로 내려가는 일대는 낙엽송 숲이 우거져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마치 원시림 속에 있는 착각이 들 정도이다.

매지봉[梅址峰]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과 야탑동 사이에 있는 산봉우리.

높이 277m의 매지봉은 작은매지봉[높이 274.5m]과 함께 성남시 분당구와 광주시의 경계를 이루는 맹산(孟山)[412m]으로 이어지는 산지를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의 각종 고지도에서는 맹산과 매지봉을 묶어 영장산(靈長山)으로 표기하였다. 오늘날 분당 중앙공원의 뒷매산을 영장산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매지봉과 맹산의 산지가 뒷매산으로 이어지고 있어 옛 명칭을 뒷받침한다. 명칭유래는 매지봉의 명칭은 옛날에 이 산봉우리의 정상에서 매사냥을 한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하고, 천지가 개벽할 때 세상이 모두 물에 잠겼으나 이 산봉우리에 매 한 마리가 앉을 만한 공간이 남았다는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의 상탑마을, 이매동, 율동 등이 매지봉 자락에 자리하고 있으며 분당 신시가지의 주거지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어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되고 있다.

영장산[靈長山]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과 태평동 사이에 위치하는 산.

남한산성이 위치하는 청량산이 서남쪽으로 뻗어 내린 줄기에 위치하는 구릉성 산으로 높이는 193.6m이다. 1970년대 수도권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광주대단지가 건설될 당시 가장 먼저 개발된 지역 중 하나가 영장산 남쪽의 지금의 태평동 지역이었는데, 이것은 무허가 건물을 철거하여 이주시키는 것이 목적이었던 서울시가 성남시에 주택단지를 조성하면서 서울에서 보이지 않는 지역에 빈민촌을 조성하려 했고, 영장산이 그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영장산의 동쪽으로는 남한산성 도립공원이 위치하는 청량산으로 이어지고, 북쪽은 개발제한구역이어서 자연 생태계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반면 영장산의 서쪽과 남쪽의 사면으로는 성남의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영장산 중턱에는 망경암이 자리하고 있으며 서남쪽의 기슭에는 대한불교조계종의 말사인 봉국사가 위치하고 있다. 태평동 일원 153,489의 면적에 기존 영장산의 산림 지형을 이용하여 조성한 근린공원인 영장공원이 있어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영장산을 관통하여 태평동과 복정동을 연결하는 영장산터널 공사와 공원로 확장 공사가 완료되어 2015423일 개통식을 하였는데, 서울시로 진입하는 주요 간선도로가 될 전망이다.

 

산행 길잡이

산행은 문형리를 기점으로 U자 형태로 돌아내려오거나 서쪽의 동막골로 하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문형리 깊숙히 들어간 곳의 삼거리에서 우측길로 몇십 미터 들어가면 절이 나온다.

이 절 우측의 등산로로 들어간 후 능선길을 타고 정상에 오르면되고, 정상을 거쳐 계속 능선을 타고 U자 형태로 남릉으로 내려서면 된다.

산행 시간: 3시간 30

산행 코스: 농협창고 - 봉곡사 - 문형산 정상 - 동막골 - 광명 초등학교

교통 안내

성남 시외버스 터미널 및 경기도 광주에서 수시 운행하는 오포면 문형리행 버스를 타고 농협 창고 앞에서 하차한다.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남남한산성문형단맥

한남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석성산을 지나 용인에버랜드와 동백리 향린촌 그리고 88CC를 품고있는 용인시 구성면 모현면 포곡읍의 삼면지점인 향린동산(345) 서쪽 0.2km 둔덕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한 한남남한산성지맥이 흐르다가 불곡산을 지나 57번국지도 태현고개에서 올라간 강남300CC가 있는 성남시 분당구 율동, 광주시, 광주시 오포읍의 삼면지점인 일곱삼거리고개(310)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새나리고개(290, 0.4)-임도(330, 1/1.4)-도면상文衡(일출단, 496.7, 0.8/2.2)-등고선상510봉 실제 문형산(0.3/2.5)-330(1.6/4.1)-두리봉(277.3)어깨-봉골고개도로(130, 1.3/5.4)-190-43번국도 함바대고개도로(110, 0.8/6.2)-43번국도 가일고개(90, 0.5/6.7)-126-321번지방도로 마산고개(90, 1/7.7)-120-160(1/8.7)-120-16번군도 신안아파트(50, 1.1/9.8)를 지나 일산리 하마산마을 능원천이 경안천을 만나는 곳(50, 0.2/10)에서 끝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