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산돌배나무

꼴통 도요새 2018. 8. 6. 10:33

산돌배나무

시대: 현대 

분류: 장미과 배나무속 

원산지: 한국, 중국, 러시아 

서식지: 전국 

성격: 식물, 나무 

유형: 동식물 

크기: 지름 30∼60㎝, 높이 15∼20m 

학명: Pyrus ussuriensis Maxim. 

분야: 과학/식물 

개화기: 4∼5월 

분포지역 :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 함경남북도, 평안남북도 ~ 강원도 (일부 경상북도)의 백두대간에 분포.
형태: 낙엽 활엽 교목.

크기: 높이 10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상 원형으로, 원저이고, 길이는 5 ~ 10cm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침상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 길이는 2 ~ 5cm이고, 털이 없다.

꽃: 꽃은 지름이 3 ~ 3.5cm이고, 5월에 백색으로 피며, 5 ~ 7개씩 편평꽃차례에 달리고, 작은꽃대의 길이는 1 ~ 2cm로, 털이 없고 꽃부리는 지름이 3~3.5cm로 백색이며, 꽃받침조각은 삼각상 피침형이고 끝이 둥글며 옆으로퍼진다. 암술대 밑 부분에 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3 ~ 4cm이며, 노란색으로 8 ~ 10월에 성숙한다.

줄기: 높이가 10m에 달하며 줄기는 단립하여 통직하고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일년생가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나무껍질: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잘게 갈라지며 일년생가지는 갈색이며 털이 없다.

생육환경
• 부락 근처 또는 산지에서 자란다.
• 내한성이 강하고 음지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나 내건성이 약하며,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편이다.

번식방법: 번식은 가을에 채취한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용도

• 하얀꽃과 수형이 우아하여 도시의 공원에 적합하다.
• 열매는 생식하거나 술을 담근다.
• 실은 梨(이), 根(근)은 梨樹根(이수근), 나무껍질은 梨木皮(이목피), 枝(지)는 梨枝(이지), 葉(엽)은 梨葉(이엽), 果皮(과피)는 梨皮(이피), 灰(회)는 梨木灰(이목회)라 하며 약용한다.
⑴梨(이)
①8-9월에 과실이 익었을 때 따서 신선한 것을 사용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돌배나무의 과실에는 사과산, 구연산, 과당, 포도당, 蔗糖(자당)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재배종의 과실에는 자당, 과당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生津(생진), 潤燥(윤조), 淸熱(청열), 化痰(화담)의 효능이 있다. 熱病傷津(열병상진), 煩渴(번갈), 消渴(소갈), 熱咳(열해), 痰熱(담열)로 인한 驚狂(경광), 일격, 변비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생과실을 먹거나 과피와 핵을 제거하고 즙을 내어 마신다. 또는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여도 좋다. <외용> 짓찧어서 붙이거나 즙을 點眼(점안)한다.
⑵梨樹根(이수근)
①연중 수시로 채취한다.
②약효 : 헤르니아(脫腸(탈장))를 치료하고 止咳(지해)하는 효능이 있다.
③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梨木皮(이목피) - 傷寒(상한) 등의 유행성병의 熱(열)을 풀어 준다.
⑷梨枝(이지) - 곽란토혈을 치료하는데 삶아 즙을 복용한다.
⑸梨葉(이엽)
①성분 : 산돌배의 잎에는 arbutin과 tannin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成葉期(성엽기)에 질소, 인,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이후부터는 점점 감소한다. 칼슘, 마그네슘의 함유량은 이와는 반대로 된다.
②약효 : 버섯중독, 소아의 헤르니아(脫腸(탈장))를 치료하고 곽란토사, 下痢不止(하리부지)에는 삶은 즙을 복용한다.
③용법/용량 : 煎液(전액) 또는 생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내어 塗布(도포)한다.
⑹梨皮(이피)
①약효 : 淸心(청심), 潤肺(윤폐), 降火(강화), 生津(생진)의 효능이 있다. 暑熱煩渴(서열번갈), 咳嗽(해수), 吐血(토혈), 發背(발배-등에 생기는 腫瘡(종창)), 정창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⑺梨木灰(이목회) - 氣積鬱冒(기적울모), 結氣咳逆(결기해역)을 치료한다.


유사종

• 문배나무 : 꽃이 큰 것.
• 참배 : 열매의 지름이 5-6cm이고, 과피에 0.5mm정도의 껍질눈이 산재한 것.
• 털산돌배 : 잎 뒷면에 털이 있다.
• 금강산돌배 : 잎 뒷면 맥위에 면모가 있고 잎이 타원형, 넓은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 청실리 : 열매가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 남해배 : 일년생가지와 엽병 및 열매자루에 털이 있다.
• 취앙네 : 열매가 지름 4-5cm로서 햇볕에 닿은 곳이 붉은 빛이 돌고 톱니의 길이가 2-3mm이다.[출처: 다음백과]

[사진: 삼척 도항산 중턱]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취   (0) 2018.08.09
큰제비 고깔  (0) 2018.08.09
으름   (2) 2018.08.06
고추냉이  (0) 2018.07.19
개암나무  (0) 2018.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