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지도

청양 비봉산

꼴통 도요새 2019. 4. 2. 05:30
반응형

청양 비봉산

1. 산행지: 비봉산 (361m)

2. 위치: 충남 청양군 비봉면 사점리 

8. 산행코스: 오일뱅크주유소→포란사→전망데크→비봉산 정상→급경사 하산로→돌탑→임도 쉼터→오일뱅크 주유소

※참고사항: 산행들머리/ 포란사입구(오일뱅크주유소)에 있는 사점버스정류장

9. 특징:  

청양의역사  

삼한시대

마한에 속한 지역으로 부족연맹 사회가 이룩될 때 청양에는 지천 유역의 고리도평 (고리섬들)에 구로국이 무한천 유역의 용천들에는 사로국이 자리하였다 

백제시대

칠갑산 동쪽으로 정산면, 목면, 청남면, 장평면 지역에 열기현이 있었고, 칠갑산 서쪽으로 청양읍 대치면, 운곡면 그리고 남양면 일부 지역을 차지하는 고량 부리현이 있었으며, 비봉, 화성면과 홍성군 장곡면 일대가 속했던 사시량현이 있어서 지금의 청양군이 백제시대에는 3개현의 구역이 있었다  

신라시대

웅진 도독부에 속해서 웅주 29개현 가운데 열기현이 열성현으로 고량부리현이 청정현으로, 사시량현이 신량현으로 명칭이 바뀌어 백제시대와 같이 3개현의 구역이 있었다 

고려시대

청정현이 청양현으로 개칭되었고, 열성현은 정산현으로, 신량현은 려양현으로 개칭 되었으며, 성종때 행정구역을 1012510현으로 개편할 때 청양군은 하남도의 청양, 정산현으로 감무를 두었으며 려양현에도 감무를 두었다. 8대 현종 9(1018)에는 지방제도 개혁에 따라 청양현은 천안부에 속하였으며 그후 양광도에 속하기도 하였고 공민왕 5년에 양광도를 충청도로 부르게 되었다. 행인들의 왕래가 많아짐에 따라 전국에 22개의 간선 역로가 있었는데 그 중 청양에는 유양(정산)역과 금정(남양)역이 자리했었다.

조선시대

태종 13(1413)에 청양현, 정산현이 되었으며, 18대 현종 5(1664)에는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청양현이 정산현에 편입되어 청양현이 되었고, 고종 32(1895) 행정제도 개편에 따라 청양현과 정산현은 각각 군이되어 청양군과 정산군이 되었으며, 청양군은 동상, 동하, 서상, 서하, 남상, 남하, 북상, 북하, 읍내의 9개면을, 정산군은 대박, 백곡, 복동, 잉화달, 청소 장촌, 관현, 적곡의 8개면을 관할하였다 

1900년 이후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청양군과 정산군이 합치되어 청양군이 되었으며 홍주군의 화성, 여구향, 얼방, 상전 등 4개면과 공주군 성동면의 반곡리, 평동, 건천리 일부와 공주군 반탄면 진두리 그리고 부여군 도성면 구룡리와 공동면 금강리 일부 및 대흥군 이남면의 일부를 병합하여 읍내면, 운곡면, 대치면, 정산면, 목면, 청장면, 적곡면, 사양면, 화성면, 비봉면 등 10115개리로 개편 관할하였다. 1942년 청장면을 청남면으로 개칭하고 읍내면을 청양면으로 고쳐부르게 되었다. 

광복 이후

1973년 비봉면의 청수, 학당 2개리가 청양면에 편입되었다.

1979년 청양면이 청양읍으로 승격

19871월 적곡면이 장평면으로, 사양면이 남양면으로 면명이 개칭

19911231일 장평면의 적곡 2리가 도림리로 개칭

1992112일 청양읍의 읍내 5, 적누 2리 송방 3리로 분구

2009813일장평면 장평리 신설로 183개 행정리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뻗어 북서부와 남동부의 사면으로 나누어지며 북서부는 무한천(無限川), 남동부는 금강 유역에 속한다. 군 내에는 도립공원 칠갑산(七甲山:561m)을 비롯해 성태산(624m)·남산(367m)·우성산(牛城山:237m)·비봉산(飛鳳山) 등 구릉이 탁월하여 비교적 경지가 적으나 산간분지도 논으로 이용된다. 넓은 들로는 지천(之川) 유역의 고리섬들과 금강 유역의 장수평들, 무한천 유역의 가남평야(佳南平野) 등이 있다.

우리산줄기이야기

금북법산단맥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충청남도를 휘돌며 안흥진으로 가면서 예산 공주땅을 지나면서 극정봉 장학산 지나 청양땅으로 들어가 금자봉을 지나 文博산(△337.8) 정상0.3km전 등고선상310m 부근에서 청양군 비봉면과 운곡면의 경계를 따라 북쪽으로 분기하여 뜸티고개(250)-96번국지도 외덕고개(190, 1.7)-물리지고개 임도(290, 1.3/3)-法산(△459.1, 2.5/5.5)-白月산(410, 1.2/6.7)-△311.3봉(1.7/8.4)-604번지방도로 소고개(130, 1.3/9.7)로 내려선다 불모고개(150, 1.5/11.2)-△185.7봉-배아니고개(170)-고개골고개도로(1.2/11.9)-비지고개(130, 2.2/14.1)-朴봉(△233, 1.2/15.3)-비조재(130, 1/16.3)-616번지방도로 박산밑고개(70, 0.8/17.1)-예산군 신양면 무봉리 성곡고개(70, 0.8/17.9)를 지나 예산군 신양면 무봉리 석천마을 달천변(30, 1.1/19)에서 끝나는 약19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