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지도

순천 곡성의 오성산, 유치산, 닭봉, 희아산

꼴통 도요새 2019. 4. 11. 12:17
반응형

순천 곡성의 오성산, 유치산, 닭봉, 희아산

 

1. 산행지: 오성산(606m), 유치산(530m), 닭봉(752m), 희아산(764m)

 

8. 산행코스: 접치오성산고개안부유치산닭재고개배바위닭봉희아산 정상석이정표 삼거리희아산(왕복)이정표삼거리율지마을신원버스정류장 (도상거리: 12km)

9. 특징: 

전남도가 2017년 정유년(丁酉年) 닭띠 해를 앞두고 12만여개 전남 지명을 분석한 결과, 닭과 관련된 지명이 총 83개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고흥군 영남면에 위치한 팔영산이 대표적이다. '금닭이 울고 날이 밝아오면서 햇빛이 바다 위로 떠오르면 팔봉은 마치 창파에 떨어진 인쇄판 같은 모습이어서 영자(影子)가 붙여졌다'고 전해 내려온다. 구례 계족산, 순천 유치산, 계관산 등 8개 산이 닭과 연관돼 있다. 섬 가운데도 닭의 볏, 머리 등 닭의 주요 생김새와 모습을 닮은 지명이 있다. 진도 조도면 계도, 여수 화정면 하계도와 상계도, 신안 안좌면 닭섬 등 16개 섬에 닭 관련 지명이 붙여져 있다. 어둠을 젖히고 새벽을 알리는 닭의 울음소리와 관련한 지명도 있다. 완도 신지면 독계령에는 이 고개가 위치한 숲 속에서 신비한 닭 울음소리가 났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전국의 닭 관련 지명은 293개이며 전남 다음으로 충남(45), 전북(41), 경남(31), 경북(26) 순이다. 박종석 전남도 토지관리과장은 "옛날부터 우리의 삶 속에 함께 한 닭은 다양한 유래와 전설로 국토 속 지명에 반영돼 있다"고 설명했다.[출처/ 무안 뉴스1]

유치산(酉峙山)

순천시 승주읍 유치마을과 주암면 그리고 곡성군 목사동면의 죽정리의 경계에 있으며, '암닭이 알을 품고있는 형국의 산'이라고 하여 '유치산'이라고 한다.

닭재

'닭재'를 한문으로 풀어서 쓰면, ()’ 고개()’ 라 하여서 '유치고개'를 이르는 말인데 유치고개의 오른쪽에는 순천시 승주읍의 유치마을이 있고, 왼쪽에는 곡성군 목사동면의 유치 마을이 있으니 아무래도 이곳은 닭과의 무슨 깊은 인연이 있을 듯

희아산

전라남도 순천시의 월등면 신월리와 곡성군 목사동면 사이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763.8m이다. 산 북쪽에는 원통굴재, 남쪽으로는 닭봉이 있다. 월등면의 진산이라고 한다. 현대지형도에는 '하아산'으로 되어 있으나, 정상부 표지석에는 '희아산'으로 명명되어 있다. 또한, 한국지명총람에는 산에 있는 배앳골을 설명하면서 "히아산(백아산) 밑이 됨"이라고 하여 히아산, 혹은 백아산으로도 불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이 높아서 눈이 많이 쌓이므로 희고[], 골짜기가 깊어 햇볕이 들지 않아 어둡게[] 보여 희아(백아, 白鴉) 지명이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희아산 정상에 큰 배바위, 작은 배바위가 있는데 옛날 배를 메었던 흔적이 있었다는 설화가 전한다.

우리산줄기이야기

호남봉두(희아)단맥

호남정맥 조계산 유치산을 지나 곡성군 목사동면, 순천시 월등면, 승주읍의 삼경봉인 닭봉(744)에서 북북동쪽으로 분기하여 戱娥(774, 0.5)-율지재(750, 0.3/0.8)-매봉갈림길(750, 0.5/1.3)-월등재(630, 0.5/1.8)-도면상 원통봉(690, 0.2/2)-원통굴재(630, 0.5/2.5)-곡성군 목사동면, 죽곡면, 순천시 월등면의 삼면봉인 삼산 갈림길 실제 원통봉(690, 0.5/3) 북쪽으로 삼산여맥을 떨구고 동진하여 숫개봉(542.8, 1.3/4.3)-아래숫개봉(310, 1.1/5.4)-840번지방도로 원달재(290, 0.6/6)-삼밭봉(373, 0.8/6.8)-강청봉(403, 0.8/7.6)-송소리봉(470, 1.1/8.7)-외사리재(410, 1.8/9.5)-능곡(괴목) 갈림길 삼면지점(670, 1.7/11.2)-鳳頭(752.5, 0.4/11.6)-봉성마을 갈림길(670, 0.6/12.2)-봉두산 북봉(710, 0.2/12.4)-433(1.5/13.9)-상한고개 임도 십자안부(370, 0.1/14)-임도 십자안부(370, 0.8/14.8)-(571, 1.5/16.3)-570.8(0.2/16.5)-고치리 갈림길(550, 0.1/16.6)-순산(330, 1.9/18.5)-271.8지점(0.3/18.8)을 지나 도로로 내려가 과수원을 가로질러 경전전철로를 지나 보성강이 섬진강을 만나는 17번국도 반월교(압록교, 50, 1/19.8)에서 끝나는 약19.6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