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백봉, 갈미봉
1. 산행지: 백봉(柏峯, 590m), 갈미봉(386.5m)
2.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3. 일시: 2019년 10월 3일(목)
4. 날씨: 맑고 후덥지근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3시간 10분[이동거리/ 8.4km]
7. 들머리/ 날머리: 묘적사[출발/ 도착]
8. 산행코스: 묘적사앞 주차장→묘적사 우측 옆길 진입→410.2봉→창현청구아파트 갈림길→백봉 정상(정자)→평내호평역 갈림길(안부, 쉼터)→395.9봉→갈미봉 정상 20m 전 갈림길→갈미봉 왕복→장수건강 사유지→묘적사
9. 특징:
남양주시(南楊州市, Namyangju-si)
지형은 동북방의 산지와 서남방의 분지로 구분되는데, 동북지역에는 수리봉(537m), 주금산(813.6m), 서리산(825m), 축령산(879m), 천마산(812.4m), 운길산 (610.2m)과 서쪽으로는 서울특별시의 도봉산과 수락산(637m), 불암산(508m)이 솟아 있으며, 중앙에는 천마산(812m), 백봉(590m) 등이 있고, 남부지역에는 예봉산(683m), 문안산(536m)이 솟아 있다. 중심부에 넓은 분지를 이루고 있다.(두산백과)
백봉[백봉산, 잣봉산, 묘적산, 팔곡산]
백봉산(柏峯山)은 백봉의 마치고개(마치굴)를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연결되어있는 산으로 수도권 등산객들에게 가까운 산행지로 각광받는 곳이다. 남양주시민들에게는 더없이 찾기 쉬운 산행지이다. 이 산에서 대표적인 코스는 북쪽 마치고개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백봉을 거쳐 서쪽으로 능선을 타고 485봉을 지나 남양주시청으로 내려서는 것으로 3시간이면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 코스는 능선을 위주로 한 산행이기 때문에 계곡이 없다는 점이 흠이다. 백봉은 높이는 낮으나 산세가 아름답고, 동쪽으로 한강을 끼고 있어 전망이 뛰어 나고 교통편이 좋은 산이다. 정상남쪽 산자락에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무술도량으로 창건하였다는 묘적사가 자리 잡고 있다. 이 사찰은 조선 세종대왕 때 학열대사가 불사를 새로 지었으며, 그 후 남북 군영을 세워 무과시험을 보다가 임진왜란 때 사명대사가 승병을 훈련시켰던 곳으로 소실되었다가 재 증축 하였다고 한다. 지형도에는 백봉의 이름은 흰 '백' 자를 쓴 백봉(白峰)으로 되어 있으나 이 이름은 잘못된 것 같다. 남양주 시지에 의하면 백봉산 백봉이라 불리는 이 산은 평내동과 화도읍 쪽에서 '잣봉산' 이라 부르며 와부읍에서는 묘적산이라 부르기도 한다고 밝히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경기지 대동여지도 대동지지 등에서는 묘적산이라 되어 있다고 한다. 옛날에 묘적사가 있어서 묘적산이라 하기도 했고 그 모습이 노적가리처럼 생겨서 노적봉이라 부르기도 했으며 백봉의 사방에 많은 골짜기가 있어서 팔곡산이라 하기도 했을 것이다. 옛날에는 잣나무가 많아서 잣봉산이라 한 것을 한자화해서 백봉(柏峰)이라 했는데 근래에 지도를 만들면서 잣 백(柏)자가 흰 백(白)자로 잘못 쓴 것임에 틀림없다. 주변에는 천마산스키장과 세조·정희왕후의 능인 광릉(光陵)에 꾸민 광릉수목원(국립수목원) 등이 있으며, 강변을 따라 유원지가 조성되어 있다.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북천마문재단맥
한북정맥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며 운악산 지나 수원산을 채고 오르기 전 서파사거리에서 주금산 천마산 백봉 예봉산으로 뻗은 수려한 산줄기인 한북천마지맥이 흐르고 있다. 이 한북천마지맥 백봉에서 천마지맥은 동남진 하고 다른 한줄기가 분기하여 동진을 하며 남양주시와 와부읍의 경계를 따라 485봉 아르네미고개에서 금곡동과 평내동을 가르며 돌팍고개 168봉 어룡굴에서 남양주시와 진건면의 면계를 따라 쑥고개 지난 다음 진건면내로 들어가 꽃냄이고개 문재산 144봉 뱀굴도로 97봉 110봉 해방촌철길 97봉 조운동도로 82봉 미움나루 왕숙천과 한강이 만나는 곳에서 한강이 되는 약17.7km의 산줄기[출처/ 다음카페 우리산줄기이야기]
'서울,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주 황학산 (0) | 2019.10.28 |
---|---|
안성 청량산, 상삼봉, 지치봉, 칠장산, 칠현산, 갈미봉, 관해봉, 도덕산, 부흥산 (0) | 2019.10.08 |
광주 용인 굴바위산, 까치봉, 몸포댕이산, 금박산, 오봉산, 금백산, 태봉산, 고래실산, 노적산, 뒷동산 (0) | 2019.09.27 |
여주 풀목산, 소달산 (0) | 2019.09.24 |
관악산, 삼성산의 이모저모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