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지도

천안 공주의 원덕산, 무학산, 태봉산, 봉황산

꼴통 도요새 2019. 12. 20. 13:29
반응형

천안 공주의 원덕산, 무학산, 태봉산, 봉황산

 

1. 산행지: 원덕산(元德山276m).무학산(舞鶴山401m).태봉산(太峰山469m)봉황산(鳳凰山243m)

2. 위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원덕리, 신덕리 및 무학리의 경계에 있는 산


8. 산행코스: 원덕2원덕산(276.3)원덕1리 버스정류소23번도로-입구차령교아래통과은헤사우측임도안부250270무학산(401)차령터널위벌목지대급경사오름길태봉산(472.9)삼거리봉 (우향)258봉황산(243.3)신흥1(버스정류소)마을표지석옆 공터[천안공원묘원 입구로 나와 시내버스 이용하여 광덕면으로 돌아감]

특징:

무학산(舞鶴山)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원덕리, 신덕리 및 무학리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무학산(無鶴山)은 산의 명칭에 대한 특별한 유래를 찾을 수 없다. 다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 합포구에도 무학산이 존재하는데, 천안시의 무학산과 동일한 한자를 쓰고 있는 점에 주목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창원시의 무학산은 산세가 학이 날개를 펼치고 날아가는 모습을 이르는 표현이라 한다. 또한 경기도 이천시의 설봉산은 북악산(北嶽山부학산(浮鶴山부아악(負兒嶽무학산(舞鶴山) 등으로도 불리며, ‘부학무학은 산의 모양새가 학이 날개를 편 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이를 통해 천안시의 무학산도 유사한 명칭의 유래를 가졌을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천안시 행정경계의 남쪽을 구성하는 산지와 이어져 있으며, 무학천과 사현천의 분수계이다. 풍서천은 광덕면 무학리 일대에서 발원하고, 사현천은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사현리에서 발원한다. 무학산은 천안과 공주의 행정 경계를 이루는 산지를 구성하는 산이며, 무학천이 속해 있는 풍서천 유역과 사현천이 속해 있는 유구천 합류점 유역의 경계를 구성하는 산이기도 하다. 무학산 서쪽 약 430m 지점에 천안 논산 고속 도로가 남북 방향으로 지나고, 남동쪽으로 약 1.3지점에 지방도 23호선이 역시 남북 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따라서 무학산의 일대는 천안으로 들어오는 남쪽 관문이라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무학산 남서쪽 약 1.7지점인 공주시 정안면 원덕리에 프린세스 골프 클럽이 자리 잡고 있고, 북동쪽 500m 지점에는 천안 공원 묘역 무학 지구가 대규모로 존재하고 있다. 이는 주거 밀도가 매우 낮은 산간 지역이라는 점과 일대에 고속도로와 국도가 지나고 있어 교통을 이용한 접근에는 매우 수월하다는 장점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무학산 일대의 토지 이용은 수지상(樹枝狀)으로 발달한 곡저가 농경지로 활용되는 양상이 일반적이지만, 곡저의 크기가 좁아 규모 있는 농업 생산이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태봉산(太峰山)은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무학리에 소재한 산으로 무학산과 능선상으로 연결된다. 수종임금의 태가 묻힌 태봉산과는 다른 근처에서 가장 높은 ()봉이란 의미를 갖는 산이다.

원덕산(元德山)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원덕리에 소재한 산이다. 원덕마을 뒷산이기에 원덕산이란 이름을 얻은 듯하다

봉황산(鳳凰山) 충남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신흥리에 소재한 산이다. 국립지리원 지도에는 무명봉이나 삼각점이 있어 봉황산이란 이름을 얻은 듯하다.

우리산줄기이야기

금북무학단맥

금북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차령고개에서 공주시 정안면과 천안시 광덕면의 경계를 따라 장고개로 가면서 남쪽으로 꺽어 장고개로 내려서기 약0.7km전 등고선상390봉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太峰(430)전위봉(450, 1.2)-논산천안간 고속도로(270, 2.3/3.5)-舞鶴(401, 1/4.5)-623번지방도로 재저울고개(130, 3/7.5)-천안공원묘지 도로-소골고개(190, 2.5/10)-250.5(0.5/10.5)을 지나 천안시 광덕면, 풍세면, 연기군 소정면의 삼면지점(190, 1.2/11.7)-여물고개(90, 1.3/13)-논산천안간 고속도로(70)-19번군도(70, 1.2/14.2)-69.5-큰골산(70, 1.2/15.4)을 지나 도로로 내려서 이후 논두렁을 진행해 경부고속철도를 넘어 풍세면 보성리 풍서천이 곡교천을 만나는 곳(30, 2/17.4)에서 끝나는 약17.4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