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거창 비계산

꼴통 도요새 2020. 5. 10. 16:51

거창 비계산


1. 산행지: 비계산[飛鷄山 1,130m]

2. 위치: 경남 거창군 가조면과 합천군 가야면

3. 일시: 2020년 5월 9일(토)

4. 날씨: 비 그리고 강한 바람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및 이동거리: 3시간 35분/ 5.81km

7. 들머리/ 날머리: 거창휴게소[출발/ 도착]

8. 산행코스: 거창휴게소(88고속도로)이정표(좌측/비계산 3.7km)→일락사앞 갈림길→능선삼거리 좌측/휴게소 2.6km, 우측/비계산 1.6km)삼거리갈림길(좌측/의상봉, 우측 비계산 1.1km)비계산정상(거창군)→비계산 정상석(합천군)갈림길(좌측/산제치: 우측/도리재)→일락사거창휴게소

9. 특징:

원래 우두산(牛頭山)이라 불렀다고 한다. 산세가 마치 닭이 날개 를 벌리고 날아가는 것처럼 보여 비계산이라 고 부른다. 돌, 굴, 바람, 너덜지역이 많은 산으로 유명하다. 정상 부근에 암봉과 암벽이 많고, 정상 의 남서쪽 아래에 바람굴[風穴]이라고 부르 는 큰 동굴이 있다. 10여 명이 들어설 정도의 크기로, 전장이 200m 정도 된다. 지층이 변화 할 때 암반이 겹쳐져 생긴 것으로 보인다. 능선에 바위가 많으므로 로프를 준비하여야 한다. 산행은 거창휴게소나 도리에서 각각 시작할 수 있다. 정상에서는 사방으로 암릉이 시원하게 뻗어 있고, 남쪽 아래로 88올림픽고속도로 가 보인다. 건너편으로 두무산(1,058m)과 오도산(1,046m)이 선연하게 보인다. 하산은 북서 쪽 능선길로 들어선다. 절벽을 우회하여 완 만한 내리막길로 가면 안부에 이른다. 이곳에서 조금 올라가다가 갈림길이 나오면 북쪽 능 선을 따라 내려가 뒷들재에 닿는다. 여기서 서쪽의 계곡길을 따라 내려가면 수월리 마을에 도착하고, 다시 차도를 따라가면 가조면에 다다른다.

우리산줄기이야기

가야기맥

여기서 거리는 맵자로 잰 도상거리이므로 실제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높이는 5만분의1 지형도에 표기되어 있는 높이로 소숫점 이하는 절사를 하였고 높이가 표기되지 않은 곳은 등고선의 평균을 취했으므로 실제와는 차이가 있음

(높이m, 거리km/누계km)를 나타냄

거창삼도봉(초점산 1250m)-877봉(3.7km)-국사봉어깨(875, 3.5/7.2km)-한기마을(470, 1/8.2)-백학동마을(490, 1.5/9.7)-901봉(2.5/12.2)-우두령재(570, 1.1/13.3)-1230봉(4/17.3)-수도산(1316, 1.5/18.8)-수도리뒷능선(1050, 1.5/20.3)-단지봉(1326. 3.2/23.5)-1257봉(2/25.5)-1124봉(2/27.5)-999봉(1/28.5)-분계령(990, 3.1/31.6)-두리봉(1133, 0.7/32.3)-남산 깃대봉(1112, 3.5/35.8)-918봉(1.8/37.6)-마령(1006, 5/42.6)-큰재(930, 0.3/42.9)-의상봉(1046, 3.6/46.5)-마장재(810, 1.7/48.2)-비계산(1125, 2.7/50.9)-산제치(616, 2.5/53.4)-산제터널(530, 0.5/53.9)-두무산(1038, 1.8/55.7)-두산지음재(550, 1.5/57.2)-오도산(1133, 1.5/58.7)-547봉(4.5/63.2)-싸리터재(310, 0.6/63.8)-564봉(1.5/65.3)-상두재(550, 1/66.3)-512봉(4/70.3)-마령재(328, 0.8/71.1)-매화재(550, 4.5/75.6)-만대산(688, 0.8/76.4)-노태산(490, 2.1/78.5)-지릿재(230, 3.7/82.2)-시리봉(406, 1.5/83.7)-장등재(210, 1.2/84.9)-기미재(150, 3.7/88.6)-솜등산(273,1.8/90.4)-176봉(1.6/92)-부수봉(330,5.5/97.5)-필봉(210, 0.7/98.2)-235봉(1.8/100)-성산(205, 1.7/101.7)-말정(40, 2/103.7)-삼학리 낙동강변(30, 1.7/105.4)[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