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대구 삼마산, 거저산, 응해산, 응봉, 왕산

꼴통 도요새 2023. 3. 9. 10:10
반응형

대구 삼마산, 거저산, 응해산, 응봉, 왕산

 

1. 산행지: 삼마산(347.6m), 거저산(511m), 응해산(509m), 응봉(450m), 왕산(247m)

2. 위치: 대구 동구 미대동

3. 일시: 2023년

4. 날씨:

5. 누구랑:

6.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 12.2km/ 4시간 15분

7. 들머리/ 날머리: 신숭겸장군유적지/ 미대마을/ 오행철학교 하차

8. 산행코스: 신숭겸장군 유적지→미대교회→성재서당→삼마산→부남고개→하늘마루→거저산→임도→열재→응해산→응봉→심숭겸유적지

9. 특징:

신숭겸 장군 유적[申崇謙 將軍 遺蹟]

1982년 3월 4일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표충재 평산신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고려 태조 때 개국공신 장절공(壯節公) 신숭겸이 순절한 곳이다. 신숭겸은 태봉의 기장(騎將)으로 있으면서 배현경(裵玄慶) 등과 함께 궁예를 내몰았다. 동시에 왕건을 받들어 고려를 개국한 뒤 대장군이 되었다. 927년(태조 10)에 신라를 위기에서 구하려고 태조 왕건과 함께 후백제군을 상대로 대구 공산(公山)에서 싸웠으나 크게 졌다. 이 싸움에서 왕건의 목숨이 위기에 처하자 왕으로 변장하여 김락(金樂)과 같이 싸우다 왕건을 대신해서 전사하였다. 이를 틈타 왕건은 장졸로 변장하여 적의 포위망을 뚫고 단신으로 탈출하였다. 왕건은 신숭겸의 죽음을 애통하게 여겨 그의 시신을 거두어 광해주(光海州:지금의 춘천)에 예를 갖추어 묻어주었다. 전사한 자리인 이곳에는 지묘사(智妙寺), 미리사(美理寺)를 세워 명복을 빌게 하는 한편, 일품전지(一品田地) 삼백무(三百畝)를 하사하여 이를 수호하게 하였다. 그뒤 지묘사는 고려가 멸망하면서 함께 폐사되었다. 1607년(선조 40)에 경상도 관찰사 유영순(柳永詢)이 폐사된 지묘사 자리에 표충사(表忠祠), 표충단, 충렬비를 세워서 신숭겸의 혼을 위로하고 충절을 추모하였다. 그뒤 조정에서는 1672년(현종 13)에 이 서원에 사액(賜額)을 내려 관리하도록 하였다. 1871년(고종 8)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표충사가 없어진 뒤부터는 후손들이 재사(齋舍)를 새로 지어 지켜오고 있다. 지금도 표충사 앞쪽 동화사와 파계사로 갈라지는 고개를 왕건의 정예군이 크게 패하였던 고개라 하여 파군재라 부른다. 파군재 남쪽 산기슭의 봉무정 앞에 있는 큼직한 바위는 왕건이 탈출하여 잠시 앉았다고 해서 독좌암이라 부르며, 표충사의 뒷산은 왕산(王山)이라 부른다. 이밖에도 대구에는 이 싸움에서 유래된 안심, 해안, 반야월 등의 많은 지명이 남아 있어 당시 격전지였음을 알 수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우리산줄기이야기

팔공응해단맥

팔공기맥이 낙동정맥 가사령 북측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대체적으로 서진하며 흐르다가 팔공산 비로봉 정상을 지나 把溪(990)을 지나 파계재(790)로 내려가다가 등고선상930m 지점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787(0.9)-659.3m지점(0.7/1.6)-들미재도로고개(450, 1.7/3.3)-거저산(520, 0.3/3.6)-341(1.2/4.8)-285지점-열재(270, 1.2/6)-鷹蟹(507, 0.6/6.6)-282(2.5/9.1)-왕산(248.6, 0.6/9.7)-동변마을을 지나 대구시 동구 지묘동 보성타운아파트 건너편 파계봉이 발원지인 지묘천이 팔공산 비로봉이 발원지인 동화천을 만나는 곳(70, 0.8/10.5)에서 끝나는 약10.5km의 산줄기를 말한다.[출처/ 우리산줄기이야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