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줄기명도 많고, 봉우리 이름도 많은 곳
[땀봉, 형제봉, 한오봉, 붉은봉, 재치산, 고마루봉, 마두봉, 수리봉]
참고 사항: 이 코스는 동강민물고기생태관에서 땀봉~형제봉~고마루봉까지만 연계하여
원점회귀 산행지로 권하고 싶고
나머지 재치산, 붉은봉, 한오봉 등은 등산로가 없는 산 길이어서
일반인들에게는 권하고 싶지 않은 코스이다.
1. 산행지: 땀봉(452m), 형제봉(520m), 한오봉, 붉은봉, 재치산(741m), 고마루봉, 마두봉(476m), 수리봉(395m)
2. 위치: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과 영월군 영월읍
3. 일시: 2016년 7월 10일
4. 날씨: 맑고 덥고 후덥지근한 날씨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6시간
7. 난이도: 상급
8. 들머리/ 날머리: 동강민물고기생태관 주차장(원점회귀)
9. 산행 코스: 산행코스 : 주차장 - 신선바위 - 땀봉-달운재 사거리 -형제봉(제봉, 형봉)-삼거리- 고마루사거리-고마루봉 - 제치산 - 고마루-고마루사거리-뒷골재사거리-마하본동-동강 민물고기생태관 주차장
10. 특징:
재치산 [財峙山]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과 영월군 영월읍에 걸쳐 있는 산으로서, 동쪽에 백운산(白雲山), 서쪽에 삼방산(三芳山), 남쪽에 완택산(完澤山), 북쪽에 청옥산(靑玉山) 등의 고봉이 있다. 철석이 있는 산이므로 재치산이라 하고, 옛날에는 이 산에 박달나무가 많아서 박달산으로 불렸다 한다. 서쪽 삼방산과의 사이에는 미탄면 율치리(栗峙里)와 영월군 북면(北面) 마차리(磨磋里)를 잇는 지방도가 밤재[栗峙]를 통하여 평창∼영월 방면의 국도 및 평창∼정선 방면의 국도와 연결된다. 또한, 산의 서쪽 박달재에는 1217년(고종 4) 김취려(金就礪)·최원세(崔元世)가 제천에서 거란군을 격파한 뒤 이곳까지 추격, 크게 격멸시켰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산줄기이야기
이 산줄기는 인터넷을 찾아 본 결과
같은 산줄기이면서 주왕지맥, 계방지맥, 한강영월지맥 3가지의 이름으로 되어 있다
주왕지맥(住王枝脈)한강기맥의 계방산(1577m)의 동쪽 2.3km(1462m 삼각점에서 동쪽 210m 지점으로 표고 약 1430m)에서 남쪽으로 가지를 쳐 내려가며, 백적산(1141.2m), 잠두산(1243.2m), 백석산(1364.6m), 주왕산(住王山. 2003년 이전엔 中旺山.1376.1m), 청옥산(1255.7m),삿갓봉(1055.4m), 접산(835.3m), 발산(675.0m)을 일구고 영월읍 하송리에서 남한강에 발을 담그며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약 83.1km 되는 산줄기다. 이산줄기 동쪽으로 흐르는물은 오대천이 되어 조양강에 합수하여 동강물이 되고, 서쪽으로 흐른물은 속사천이 되어 흥정천과 만나서는 평창강이 되고 주천강을 만나서는 서강이란 애칭을 얻고, 동강(한강)과 서강(평창강) 두강은 영월읍 하송리에서 만나 남한강이 되어 충주호로 흘러간다. 주왕지맥(住王枝脈)은 이산줄기의 제일 높은산인 주왕산(1376.1m)의 이름을 따서 주왕산이라 부르는데 전엔 中旺山이라 부른던것을 2003년에 中旺山의 지명이住王山으로 변경 고시 되었다. 주왕지맥(住王枝脈)은 계방산에서 분기하고 높이로나 유명세로도 쉽게 알 수있어 계방지맥(桂芳枝脈)으로도 부른다.
재치산은 이 산줄기에서 약간 비껴 앉아 있다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봉산 중에 가장 높은 평창 오봉산, 표때봉 (0) | 2016.08.07 |
---|---|
세 번만에 들머리 찾은 금물산, 성지봉 (0) | 2016.07.26 |
평창 대화면의 잠두산과 백석산 우중산행 (0) | 2016.06.13 |
강원도 정선의 상월산, 갈비봉, 수병산, 괘병산 (0) | 2016.06.12 |
강원도 양양 오지의 조봉 (0) | 2016.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