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지도

화순, 곡성 백아산, 차일봉, 성덕산, 이장산, 검장산, 적산

꼴통 도요새 2018. 3. 30. 05:55
반응형

화순, 곡성 백아산, 차일봉, 성덕산, 이장산, 검장산, 적산

 

1. 산행지: 백아산(白鵝山,817.6m), 차일봉(668.5m), 성덕산(646.7m), 이장산(447.1m), 검장산(448m), 적산(588.1m)

2. 위치: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에 있는 산.

 

7. 들머리/ 날머리: 원리(원리교: 원점회귀)

8. 산행코스: 원리(원리교) →606.4(삼각점) →마당바위백아산전망대 갈림길→686.8모후지맥송치흙재통명지맥(모후지맥 분기점)→차일봉성덕산모후지맥 이탈이장산하늘재검장산작산서산교회원리교

9. 특징:

백아산

화순군 북동부의 북면에 소재하고 전남 곡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화순군 서쪽에 있는 무등산과 멀리 동쪽의 지리산 천왕봉까지 조망될 만큼 시야가 트여 있는 산이다. 석회석으로 된 산봉우리가 마치 흰 거위들이 모여 앉아 있는 것처럼 보여 백아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여지도서』에는백아산(白鵝山)은 현의 북쪽 3리에 있다. 담양부 옥천산(玉泉山)에서 현서현(縣瑞峴)과 발은령(勃隱嶺)을 거쳐서 온다고 기록되어 있다. 산의 암석은 호남에서는 드물게 석회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 고려 시멘트에서 이곳의 석회석을 채취하여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하기도 했다. 산지는 기암괴석과 마당 바위라는 거대한 암체가 장관을 이루고 있다. 백아산은 무등산과 지리산을 잇는 지리적 요충지로 6·25 전쟁 중 조선 인민 유격대가 진지를 세우고 병기 공장을 지어 은거했던 곳이다. 유격대가 천연 초소로 이용했던 마당 바위 등 백아산 일대의 모습은 조정래의 소설 『태백산맥』에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화순군 동부의 경계를 이루는 산지로 고생대 석회암층으로 이루어진 산이다. 고생대의 석회암은 조선계 누층군으로 과거 얕고 따뜻한 바다였던 곳에 산호 등이 퇴적되어 이루어진 암석이다. 하부에 석회암층이 있고 층의 상부에 석탄층이 형성되어 있어 화순군은 전라남도에서 석탄과 석회암이 생산되는 유일한 지역이다. 석회암으로 돌출된 바위는 색깔이 희고 토양이 붉은 편이다. 작은 돌리네(Doline)[원형 또는 타원형의 움푹 파인 곳으로 석회암이 물에 용해되면서 생기는 땅]와 같은 용식 지형과 용식 동굴인 아천 자연 동굴이 있다. 백아산 남쪽 기슭에는 전남에서 유일한 석회 동굴인 영제굴[화순: 백아산 자연동굴]이 있다. 한국 동굴 학회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약 2억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굴의 규모는 작지만 종유석·동굴 폭포·호수 등이 발달되어 있고 학술적 가치가 인정되어 전남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 동복천의 지류인 수리천과 내복천이 발원하고 있고 고개로는 광주광역시 석곡동으로 넘어 다니는 노치가 있다. 등반 코스로는 화순군 북면 이천리 아산 목장~마당 바위~매봉~샘터~원리 정류소로 이어지는 4시간 코스가 있고, 북면 원리~상여 바위~절터 바위~마당 바위~용천 마을~금성 마을로 이어지는 2시간 40분짜리 코스 등이 있다. 큰 규모의 산은 아니나 울창한 숲과 맑은 물의 경관을 살려 자연 휴양림과 휴양지가 조성되어 있다. 산릉이 흰 바위로 이루어져 있고 험준한 칼날 능선이 아름다워 소나무 숲길과 산죽나무 길을 따라 등산하면 볼거리가 많다. 마당 바위 부근과 남쪽 능선의 암릉, 철쭉 군락지가 대표적인 볼거리이다. 가까운 거리에 화순 온천·썰매장 등이 있어 광주광역시의 배후 휴양지로 이용된다. 산자락에는 친환경 농업으로 재배한 토산품인 불미나리·인진쑥의 생산지가 있다.[출처:향토문화전자대전]

 

우리산줄기이갸기

모후지맥

모후지맥은 연산에서 곡성군 죽곡면 태평1구로 이어지는 통명지맥이 차일봉(전라남도 고성군 삼기면 의암리와 수산리, 화순군 남면 북교리로 이어지는 도상거리 약32k의 산줄기 이며, 차일봉,매봉,밤실산,운월산,모후산,중봉,집게봉 등을 만날 수가 있고, 이 산줄기의 서쪽에는 동국천,내북천 등이 주함호로 흐르며 이 산줄기의 동쪽에는 온수천,비룡천에는 온슈천, 비룡천 둥아 보성강으로 흘러가는 36.9km

통명지맥

호남정맥 연산(505.4m)에서 동쪽으로 분기하여 꾀꼬리봉.기우산.성덕산을 지나 차일봉에서

남쪽으로 모후지맥을 떨구고 계속 동진하며 대명산.통명산을 일구고 곡성군 오곡면 압록리 보성강/섬진강 합수점에서 그 맥을 다히는 도상거리 38.7km의 산줄기로 보성강의 북쪽 울타리가 되는 46.1k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