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및 전설

문헌서원(文獻書院)

꼴통 도요새 2023. 4. 23. 20:03
반응형

문헌서원(文獻書院)

1. 위치: 충남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172번길 49-1/ T.041-935-5895

2. 일시: 2023년 4월 22일(토)

3. 날씨: 맑고 따스하고 옅은 박무

4. 누구랑: 나 홀로

5. 특징: [기린봉 탐방 시 촬영]

6. 문헌서원(文獻書院)

이 지역을 본관지로 하는 한산이씨 명조 선현 8위를 제향하는 서원으로 기산면 영모리에 있다. 기록상 창건은 1594년(선조 27)으로 전해지며 처음 이름은 ‘효정사(孝靖祠)’이다. 1611년(광해군 3)에 『문헌(文獻)』이라 사액 받았으며, 제향인물은 이곡(李穀), 이색(李穡), 이종덕(李種德), 이종학(李種學), 이종선(李種善), 이맹균(李孟畇), 이개(李塏), 이자(李북을 돋울 자)이다. 문헌서원의 최초 창건연대는 정확한 기록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단지 이성중(李誠中)이 재임하던 1580년대 초반이라고 보여지나, 기록상 창건연대는 1594년(선조 27)으로 전해진다. 이 효정사는 그 후 정유왜란으로 소진되어 겨우 사우만이 남아 있었는데 1610년(광해군 2)에 관찰사 정엽(鄭曄)과 정언 이경탁(李慶倬: 명곡 이산보의 아들)등이 이를 애석하게 여기고 이건을 계획하여 이듬해에 동재, 다음해에 강당을 건립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 같은 서원의 재건과 때를 같이하여 1611년(광해군 3)에는 ‘문헌(文獻)’으로 사액을 받게 되는데 이경함(李慶涵), 이덕형(李德馨), 이경준, 이경전, 이현영(李顯英), 이경탁, 이임 등등의 협조와 지원이 컸었고 이때에 이종학(李種學)과 이자(李북을 돋울 자) 2위를 추배하여 모두 4위를 제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서원재건은 목은 이색(牧隱 李穡)의 문묘배향 논의와도 때를 같이하고 있었으며 특히 이 과정에서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은 이색의 행적에 대한 전면적인 재평가를 역설하면서 이 서원의 운명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진다. 문헌서원지에 의하면 창건 후 원장으로 송준길, 윤증(尹拯), 남구만(南九萬), 권변(기뻐할변)등이 기록되고 있으며 우암 송시열은 ‘문헌서원’이라는 액호를, 진수당(강당), 존양재(동재), 석척재(서재) 글씨는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이 썼다고 한다. 1713년(숙종 39)에는 백옥헌 이개(白玉軒 李塏)를 추가로 추배하여 모두 5현이 제향되게 된다. 문헌서원은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되었고, 1891년 옛 터에 단을 설치하고 제향하였다. 서원구지(書院舊誌)에 의하면 이 설단 당시 한산 향현사에 제향되던 ‘한산 6군자(현암 이종덕, 어성 신담, 남강 이임, 과묵당 홍미, 복천 강학련, 지족당 권양)’을 함께 제향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100여년이 지난 1967~1968년에 종족들에 의하여 중건이 발론되고 후손들의 합력으로 영모리 동쪽의 현재위치로 1969년에 이건하게 된다. 이 해에 현암 이종덕(玄巖 李種德)을 추배하여 모두 6현을 제향하게 되었다.문헌서원은 1969년 현재 위치로 이건 된 이후, 정부와 서천군의 전통역사마을 조성사업계획에 따라 2007년부터 기산면 영모리 문헌서원 일대 1만9847㎡부지에 5년여간의 재정비 절차를 거쳐 2013년에 기와 색감이 아름답고 곡선이 부드러워 볼수록 아름다운 전통한옥으로 새롭게 단장되었으며, 2013년 4월 이맹균(李孟畇), 이종선(李種善) 2위를 추가로 배향하여 현재의 제향인물은 가정 이곡(稼亭 李穀), 목은 이색(牧隱 李穡), 현암 이종덕(玄岩 李種德), 인재 이종학(麟齋 李種學), 양경공 이종선(李種善), 문혜공 이맹균(李孟畇), 백옥헌 이개(白玉軒 李塏), 음애 이자(陰崖 李북을 돋울 자) 등 8현이다.

문헌서원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5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서원에서 보유중인 문화재로는 『가정목은선생문집판(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77호, 1978.3.31.지정)』, 『목은이색영정(보물 제1215호, 1995.3.10.지정)』, 『목은선생신도비(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7호, 1984.5.17.지정)』가 있으며, 『이색선생묘일원』도 충청남도 지정기념물 제84호로 등재되어 있다.

가정 이곡(稼亭 李穀, 1298~1351)

고려 말엽의 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 한산출생. 한산이씨 시조인 윤경(允卿)의 6대손으로, 찬성사 자성(自成)의 아들이며, 색(穡)의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擧子科)에 합격하여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이 되었고, 1320년(충숙왕 7) 문과에 급제하였다. 1332년(충숙왕 복위 1) 정동성(征東省)향시에 수석으로 합격, 이듬해 전시(殿試)에 차석으로 급제하였는데, 이때 지은 대책(對策)을 독권관(讀卷官)이 보고 감탄하였다. 한림국사원검열관(翰林國史院檢閱官)이 되어 원나라에서 벼슬하며 그곳 문사들과 교유하였다. 1334(충숙 복위3)년 37세에 본국으로부터 학교를 진흥시키라는 조서를 받고 귀국하여 가선대부 시전의부령직보문각(嘉善大夫 試典儀副令直寶文閣)을 제수받았다.

본국에서 판전교사사, 예문관제학 동지춘추관사 상호군, 밀직부사·지밀직사사를 거쳐 정당문학(政堂文學)·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가 되고 뒤에 한산군(韓山君)에 봉해졌다. 이제현(李齊賢) 등과 함께 민지(閔漬)가 편찬한 《편년강목 編年綱目》을 증수하고 충렬·충선·충숙왕 3조(三朝)의 실록편찬에 참여하였다. 다시 원나라에 가서 중서성감창(中書省監倉)으로 있다가 귀국하였으나, 충정왕이 즉위하자 공민왕의 옹립을 주장하였으므로 신변에 불안을 느껴 관동지방으로 주유(周遊)하였다. 1350년(충정왕 2) 원나라로부터 봉의대부 정동행중서성좌우사낭중(征東行中書省左右司郎中)을 제수받았고, 그 이듬해 죽었다. 그는 일찍이 원나라에서 문명을 떨쳤고 원나라의 조정에 고려로부터 동녀를 징발하지 말 것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몽고 침입이후 고려는 처녀를 받쳐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곡이 상소를 하여 이를 폐지하게된 것이다. 그는 중소지주 출신의 신흥사대부로, 원나라의 과거에 급제하여 실력을 인정받음으로써 고려에서의 관직생활도 순탄하였다. 그는 유학의 이념으로써 현실문제에 적극적으로 대결하였으나, 쇠망의 양상을 보인 고려 귀족정권에서 그의 이상은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그의 여러 편의 시에 잘 반영되어 있다.

《동문선》에는 100여편에 가까운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는데, 〈죽부인전 竹夫人傳〉은 가전체문학으로 대나무를 의인화하였다. 그밖에 많은 시편들은 고려 말기 중국과의 문화교류의 구체적인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저서로는 《가정집》 4책 20권이 전한다. 시호는 문효(文孝)이다.

차마설(車馬說) -「가정집(稼亭集)」-

『내가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으므로 혹 빌려서 타는데, 여의고 둔하여 걸음이 느린 말이면 비록 급한 일이 있어도 감히 채찍질을 가하지 못하고 조심조심하여 곧 넘어질 것같이 여기다가, 개울이나 구렁을 만나면 곧 내려 걸어가므로 후회하는 일이 적었다. 발이 높고 귀가 날카로운 준마로서 잘 달리는 말에 올라타면 의기양양하게 마음대로 채찍질하여 고삐를 놓으면 언덕과 골짜기가 평지처럼 보이니 심히 장쾌하였다. 그러나 어떤 때에는 위태로워서 떨어지는 근심을 면치 못하였다.

아! 사람의 마음이 옮겨지고 바뀌는 것이 이와 같을까? 남의 물건을 빌려서 하루 아침 소용에 대비하는 것도 이와 같거든, 하물며 참으로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이랴.

그러나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이 어느 것이나 빌리지 아니한 것이 없다. 임금은 백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높고 부귀한 자리를 가졌고, 신하는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빌려 은총과 귀함을 누리며, 아들은 아비로부터 지어미는 지아비로부터, 비복(婢僕)은 상전으로부터 힘과 권세를 빌려서 가지고 있다. 그 빌린 바가 또한 깊고 많아서 대개는 자기 소유로 하고 끝내 반성할 줄 모르고 있으니, 어찌 미혹(迷惑)한 일이 아니겠는가?

그러다가도 혹 잠깐 사이에 그 빌린 것이 도로 돌아가게 되면, 만방(萬邦)의 임금도 외톨이가 되고, 백승(百乘)을 가졌던 집도 외로운 신하가 되니, 하물며 그보다 더 미약한 자야 말할 것이 있겠는가?

맹자가 일컫기를 "남의 것을 오랫동안 빌려 쓰고 있으면서도 돌려주지 아니하면 어찌 그것이 자기의 소유가 아닌 줄 알겠는가?" 하였다.』[출처/ 문헌서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