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도

용인, 안성의 빈양산, 뒷동산, 갈미봉, 묘봉, 장자봉

꼴통 도요새 2024. 6. 7. 06:23

용인, 안성의 빈양산, 뒷동산, 갈미봉, 묘봉, 장자봉

1. 산행지: 빈양산(142.5m), 뒷동산(161m), 갈미봉(332.2m), 묘봉(228m), 장자봉(162m)

2. 위치: 경기도 안성시와 용인시의 경계에 있는 산

3. 일시: 2024년 6월 6일(현충일)

4. 날씨: 맑고 덥고 옅은 박무

5. 누구랑: 강일형님과

6. 산행거리및 소요시간: 9.96km/ 5시간 50분(쉬엄쉬엄 쉬며가며)

7. 들머리/ 날머리: 어비2리(장율마을)/ 출발, 도착

8. 산행코스: 어비2리(장율마을)→도자기 체험, 무인카페→일양약품 창업주 묘소→빈양산→부러진 폐 전봇대→철탑→이레자원→묘봉1리(중리마을)→무명묘2기→뒷동산(움막)→벌목지→갈미봉→무명묘1기→묘봉→철탑→장자봉(철탑)→용인시경계둘레길안내판→어비2리(장율마을)

9. 특징:

용인시의 자연지명은 다음과 같다.

산은 구봉산, 굴암산, 대덕산, 부아산, 석성산, 선장산, 수정산, 쌍령산, 정배산, 정수산, 갈미봉, 국사봉, 독조봉, 문수봉

천은 가창천, 금어천, 금학천, 남곡천, 능원천, 대대천, 목신천, 백봉천, 성복천, 송전천, 신갈천, 신원천, 신현천, 양지천, 영문천, 오산천, 용천천, 유운천, 주북천

송전천(松田川)

경기도 용인시의 남쪽에 있는 갈미봉과 시궁산 사이 이동면 송전리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석성천에 합류하는 하천이다. 하천이 발원하는 송전리(松田里) 이름에서 지명이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송전리는 예전에 소나무 밭이었으므로 솔밭 · 송전, 또는 갈모처럼 생긴 산이 있어 갈미 · 갈산으로도 불렸다고 한다.

갈미봉

용인에는 갈미봉이 두 곳 있다. 이동읍 묘봉리 갈미봉(332.1m)과 거대한 백색 공 모양의 기상레이더센터가 있는 양지면 남곡리 갈미봉(423.3m)이다. 남곡리 갈미봉이 더 높지만 묘봉리 갈미봉은 오지 산 느낌이 강하다. 공통점은 김대건 신부 관련이 있다. 양지면 남곡리 갈미봉 아래에는 김대건 신부 성장지인 골배마실 성지가 있으며 이동읍 묘봉리 갈미봉은 김대건 신부 유체를 모신 미리내 성지를 안성 쌍령산(502m)과 함께 좌우로 나뉘어 지키고 있다. 한자 표기가 없다는 공통점도 있다. 용인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지면지, 이동면지 모두 살펴보아도 갈미봉 한자 표기나 유래 설명이 없다. 남곡리 갈미봉을 깊은 골짝 산(뫼 미)을 뜻하는 골뫼(谷山)가 갈미로 변하고 봉(峰)을 붙여 갈미봉(谷山峰)이 되었다고 한다.[출처/ 네이버]

우리산줄기이야기

한남쌍령시궁단맥

한남정맥이 안성 칠장산에서 분기하여 흐르다가 용인시 호동마을 문수봉(404.8) 서남측 등고선상 390m 부근 용인시 이동면, 원삼면, 용인시 처인구 삼지방의 경계지점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하여 쌍령산으로 가는 한남쌍령지맥으로 잠시 내려간 바사리고개 임도에서 올라간 용인시 이동면, 원삼면, 양성면의 삼면봉인 또 다른 문수봉(등고선상 390)에서 한남쌍령지맥은 동남쪽으로 가고 한줄기를 서쪽으로 분기하여 이동면과 양성면의 경계를 따라간다. 미리내고개(애덕고개)임도(270, 1.2)-등고선상430 낮은둔덕(1/2.2)에서 한줄기는 남쪽으로 분기하여 이동면과 양성면의 경계를 따라 갈미봉(338), 묘봉(228.6)으로 가는 여맥산줄기로 흘러가고, 북서북진하여 時宮(514.9, 1.2/3.4)-三峰1(413)-삼봉산2(390)-삼봉산3(410)-굴암고개(190, 3.3/6.7)-능골산(190, 1.6/8.3)-삼배울 도로(90, 0.8/9.1)-45번국도-45번국도(70, 0.6/9.7)를 지나 논두렁으로 진행해 용인시 이동면 신창마을 진위천변(70, 0.3)에서 끝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산행후기

오래 전 아래 코스를 탐방하였는데,

강일형님께서 전화를 주셔서 오늘은 아래 코스를 제외한 나머지 미답지 산들을 탐방하게 되었다.

1. 산행지: 굴암산(성륜산 428m), 재주봉 (344m), 바래기산 (370.5m), 상원봉 (407.9m), 망덕산 (420m), 쌍령산 (502m), 시궁산 (514.9m), 삼봉산(413m)

2. 위치: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묵리

3. 일시: 2016년 4월 13일(국회의원 선거 날)

4. 날씨: 비 온 후, 짙은 안개 후, 흐림

5. 누구랑: 나 홀로

6. 소요시간: 8시간

오늘 산행지 코스 상태는 어비2리(장율마을)에서 산행을 시작하였는데, 도자기체험 무인카페에서 일양약품 창업주 묘소까지는 시멘트도로이었고, 일양약품 창업주 묘소에서 빈양산을 거쳐 이레자원까지는 그런대로 선명한 산길이었다. 이레자원에서 중리마을까지는 도로를 이용하였으며, 묘봉1리(중리마을)에서 뒷동산까지는 일단 진입만하면 선명한 등산로가 있었으며, 뒷동산을 거쳐 갈미봉까지 갈미봉에서 묘봉, 장자봉까지 선명한 등산로와 용인시에서 만들어 놓은 이정목이 중간중간 세워져 있어 편히 탐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