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및 전설 188

전왕온묘[傳王溫墓]

전왕온묘[傳王溫墓]위치: 전남 진도군 의신면 침계리 산 45내용: 첨찰산 탐방 후전남 진도군 의신면에 있는 고려시대 왕온의 무덤으로 전해지는 무덤. 묘. 시도기념물.내용1988년 전남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진도읍에서 의신면의 운림산방에 이르는 중간 고갯길을 ‘왕무덤재’라 이르는데 이 고개 동쪽 산 기슭에 속칭 ‘왕온묘’가 있다. 이 고개는 제주도로 가는 금갑포(의신면)로 통하는 고갯길이기도 하다. 고려시대 중기에 진도에 입거한 삼별초군이 용장성에서 쫓겨 이 고개에 이르러 추격군과 격전을 벌였던 곳이다. 이같은 연유로 ‘빗기내’(핏기내 또는 피내[血川]의 전와)라고 하여 한자로 ‘斜川’으로 표기한다. 『고려사절요』 권19 원종 12년 5월조에 승화후 온(承化候 溫)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진도지방에서 구전..

유적및 전설 2025.03.12

낙산사(洛山寺)

낙산사(洛山寺)강원도 양양군 오봉산(五峯山)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사찰.관세음보살이 머무른다는 낙산(오봉산)에 있는 사찰로, 671년(신라 문무왕 11)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858년(헌안왕 2) 범일(梵日)이 중건(重建)한 이후 몇 차례 다시 세웠으나 6·25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전쟁으로 소실된 건물들은 1953년에 다시 지었다. 3대 관음기도도량 가운데 하나이며,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유명하다. 경내에는 조선 세조(世祖) 때 다시 세운 7층석탑을 비롯하여 원통보전(圓通寶殿)과 그것을 에워싸고 있는 담장 및 홍예문(虹霓門) 등이 남아 있다. 그러나 2005년 4월 6일에 일어난 큰 산불로 대부분의 전각은 소실되었다. 원통보전 내부에는 관세음보살상이 안치되어 있다. 6·25전쟁으로 폐허가 된..

유적및 전설 2025.03.09

최영장군 &사당성삼문 선생 유허지

최영장군 사당 &성삼문 선생 유허지 최영장군 사당(崔瑩將軍祠堂): ※  위치: 충남 홍성군 홍북읍 대인리/ 최영장군길 57성삼문 선생 유허지(成三問 先生 遺墟址) ※  위치: 충남 홍성군 홍북읍 노은리 114-3탐방일시: 2025년 2월 15일(토)날씨: 흐리고 따스함누구랑: 나 홀로최영장군(崔瑩將軍)고려후기,도형벽상1등공신(圖形壁上一等功臣),진충분의좌명1등공신(盡忠奮義佐命一等功臣), 안사공신(安社功臣) 등에 책록된 관리. 무신.본관은 철원(鐵原). 평장사(平章事) 최유청(崔惟淸)의 5세손이며, 아버지는 사헌규정(司憲糾正) 최원직(崔元直)이다. 풍채가 괴걸하고 힘이 뛰어났다. 처음에 양광도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공을 세워 우달치[于達赤:사문인(司門人)]가 되었다. 13..

유적및 전설 2025.02.16

강릉대도호부 관아(江陵大都護府 官衙) & 강릉 중앙시장

강릉대도호부 관아(江陵大都護府 官衙) & 강릉 중앙시장1.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용강동에 위치2. 탐방일시: 2025년 2월11일(토)※ 왕제산, 칠봉산 산행 후 잠시 시간이 있어 강릉대도호부와 부근에 위치한 강릉 중앙시장을 찾았다.3. 날씨: 맑고 강한 찬바람4. 누구랑: 나 홀로5. 특징: 강릉대도호부 관아(江陵大都護府 官衙)강릉 대도호부 관아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고려 태조 19년(936)에 세워져 83칸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객사문(국보)만 남아 있다. 객사문은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 되는 건물 가운데 하나로, 공민왕이 쓴 ‘임영관’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1993년에 강릉 시..

유적및 전설 2025.02.14

고려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묘.

고려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묘.고양 공양왕릉[高陽 恭讓王陵]위치: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65-1번지탐방일시: 2024년 12월 7일(토)경기도 고양시 원당(元堂)에 있는 1394년(태조 3) 축조된 고려 공양왕과 순비(順妃) 노씨의 능. 1970년 2월 28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고려 공양왕릉(高麗 恭讓王陵)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고려 후기 제34대 공양왕과 순비 노씨의 능이다. 공양왕은 이성계 등에 의해 추대되었으나 조선 건국 직전에 폐위되어 강원도로 추방되었다가 1394년 삼척에서 살해되었다. 공양왕릉은 쌍릉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복원 정비를 하면서 왕릉의 상설 제도와 어긋나게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발굴을 통해 능역과 석실의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복원할 필요가 있다.건립경위공양왕은..

유적및 전설 2024.12.09

삼봉기념관[三峰紀念館]

삼봉기념관[三峰紀念館]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은산리에 있는 조선의 개국공신 정도전을 기리는 기념관이다.오늘 산행은 경기도 평택의 미답지인 부락산과 태봉산이다.일반적으로 부락산은 덕암산과 고성산으로 하여 만세고개에서 마무리 하지만필자는 2020년 1월 12일 아래 코스[운수암 주차장⟶쉼터⟶고성산⟶만세고개⟶백련봉⟶경부고속도로(안성휴게소) 및 통과⟶부엉바위 갈림길⟶부엉바위 왕복⟶덕암산 갈림길⟶덕암산 왕복⟶팔룡저수지⟶안성시 원곡면 통과⟶경부고속 안성 분기점⟶독점저수지⟶쉼터⟶운수암 주차장]로 탐방하였기에 이번 코스로 탐방을 결정하면서 마지막 삼봉 기념관 탐방하기로 하였다.산행을 마치고 삼봉기념관 탐방하려고 하는 순간어떤 분께서 뭐라고 하시 길래 네! 라고 하였더니 가까이 오시더니 정도전 선생에 대한 설명을 약 1시..

유적및 전설 2024.11.07

영월 청령포(淸泠浦)

영월 청령포(淸泠浦)탐방일시: 2024년 8월 2일누구랑: 포항 처남&처남댁, 경주 처제&아랫동서, 집사람위치: 강원도 영월군 남면 광천리의 남한강 상류에 있는 명승지. 남쪽은 기암절벽으로 막혀 있고 동, 북, 서쪽은 남한강 상류의 지류인 서강(西江)이 곡류하고 있어 배로 강을 건너지 않으면 밖으로 나갈 수 없는 특수한 지형이다. 또한 이곳은 1457년(세조 3) 세조(世祖)에 의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봉된 단종의 유배지로, 그 해 여름 홍수로 서강이 범람하여 처소를 영월 객사인 관풍헌(觀風軒)으로 옮기기 전까지 단종이 머물던 곳이다.명칭 유래청령포라는 지명은 1763년(영조 39년)에 세워진 단종유지비에 영조가 직접 ‘단묘재본부시유지(端廟在本府時遺址)’라는 글씨를 써서 내렸고, 이것을 화강석 비좌 위..

유적및 전설 2024.08.12

영월 장릉

영월 장릉탐방일시: 2024년 8월 2일누구랑:  포항 처남&처남댁, 경주 처제&아랫동서, 집사람 장릉1. 고려왕릉가) 고려 인종이 안장된 장릉(長陵)고려 17대 왕인 인종이 안장되어 있는 왕릉이다. 경기도 개풍군 청교면 장릉리에 위치하고 있다. 부장품인 황통 6년'(皇統六年. 1146)이라는 제작 연대가 적혀 있는 책과 청자 참외모양 병은 일제 강점기 때 도굴로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2. 조선왕릉가) 조선 단종이 안장된 장릉(莊陵)조선 6대 왕인 단종이 안장되어 있는 왕릉이다.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 나) 조선 추존왕 원종과 인헌왕후가 안장된 장릉(章陵)조선 16대 왕인 인조의 양친인 조선왕조의 추존 임금인 원종과 부인 인헌왕후 구씨가 안장된 왕릉.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다) 조선 인조와 인열왕후가 안..

유적및 전설 2024.08.12

여주 신륵사, 관광단지

여주 신륵사, 관광단지1. 위치: 경기 여주시 신륵사길2. 일시: 2024년 7월 10일(토)3. 누구랑: 나 홀로4. 왜: 싸리산, 봉미산 탐방하면서 잠시 들렀다 옴5. 특징:신륵사는 봉미산 기슭에 위치한 여주의 대표적인 사찰이다. 오랜 역사와 웅장한 규모,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의 말사이자 경기도 전통사찰로 지정되었다. 일반적으로 사찰은 산속에 짓는 경우가 많은데 보기 드물게 남한강이 바라보이는 강변에 세워졌다. 신라 진평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고려 말기 나옹선사가 머물렀던 곳으로 유명하며 200여 칸에 달하는 대사찰이었다고 한다. 조선 성종 3년(1472)에는 세종대왕릉인 영릉의 원찰로 삼아 보은사(報恩寺)라고 불렀다가 원..

유적및 전설 2024.07.21

서희테마파크

서희테마파크1. 위치: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무촌로18번길 1302. 일시: 2024년 6월 15일(토)3. 날씨: 흐리고 후덥지근4. 누구랑: 나 홀로5. 특징:서희테마파크경기도 이천시 부발읍에 있는 고려 시대 서희를 주제로 한 테마공원이다. 청소년들이 할 수 있는 역사 체험과 전시관, 체험관, 영상관, 추모관으로 구성한 복합문화의 공간이다. 서희 역사 산책로에는 국내 유명 조각가들이 인연의 시작, 서희의 성장, 여요전쟁, 영웅의 활약 4단계의 이야기로 나누어 제작하여 설치한 조형 작품이 있어 산책로를 거닐며 감상할 수 있다.서희(徐熙)우리 역사상 가장 유능했던 외교관916년 나라를 세운 뒤 938년 ‘요(遼)’로 이름을 바꾼 거란은 당시 최전성기를 맞고 있었다. 중원 전체를 장악할 야망을 가지고 있었..

유적및 전설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