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 단군성전 태백 단군성전 위치: 태백 단군성전은 태백시 소도동 당골계곡으로 향하는 초입에 있다 단군 성전은 국조단 봉사회가 1982년에 건립 하였고 매년 개천절에는 이곳에서 단군제를 올린다. 화려한 문양이나 단청이 없이 자연 그대로 기품이 있다. 유적및 전설 2016.11.23
구문소(求門沼) 구문소(求門沼) 위치: 강원도 태백시 동점동 구문소는 낙동강 상류 황지천의 강물이 이곳에 이르러 큰 산을 뚫고 지나면서 석문(石門)을 만들고 깊은 소(沼)를 이루었는데 이곳을 구문소라 한다. 강물이 산을 뚫고 흐른다 하여 뚜루내라고 부르기도 하며 주위의 낙락장송과 어우러진 자연 .. 유적및 전설 2016.11.23
황지연못 황지연못 유로연장 510.36㎞인 낙동강의 발원지이다. 《동국여지승람》《척주지(陟州誌))》《대동지지》 등의 옛 문헌에서 낙동강의 근원지라고 밝힌 곳이다. 처음에는 '하늘못'이라는 의미로 '천황(天潢)' 또는 '황지(潢池)'라고도 했다. 낙동강의 발원지에 대해서는 황지연못 외에 함백산.. 유적및 전설 2016.11.22
공자동 공자동 한자孔子洞戰鬪영어음역Gongja-dong Jeontu영어의미역Gongja-dong Battle분야역사/전통 시대유형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지역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대성리시대조선/조선 후기촬영: 2016년 11월 13일(일) 공자동 전투 임진왜란 당시 공자동에서 일어난 김천의 대표적 전투. 왜장 모리 데.. 유적및 전설 2016.11.14
모성암 모성암 촬영: 2016년 11월 13일 (일)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효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호원(浩遠), 호는 초당(草堂). 증조할아버지는 이구령이다. 이장원(李長源)[1560~1649]은 지금의 김천시 구성면에서 태어났다. 7~8세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묘 옆의 여막(廬幕)에서 기거하는 3년간 흰죽만.. 유적및 전설 2016.11.14
무주 사선암 무주 사선암 촬영: 2016년 11월 12일(토) 백제와 인접 국경 요충지…웅장한 암벽 절경·장관 오지중의 오지로 알려진 무풍면 사선암은 신라시대 화랑들이 호연지기를 연마하던 설화가 깃든 곳. 이 가을, 여유롭게 쉬기를 원한다면 무주에 가보자! 깨끗하고 아름다운 산을 배경으로 신선놀음.. 유적및 전설 2016.11.14
이천 노승산 원경사(老僧山 圓鏡寺) 이천 노승산 원경사(老僧山 圓鏡寺) 구한말 아들을 갈망하는 노승산 산동지역 한 여인이 매일같이 노승산에 올라 지극정성으로 산신기도를 드리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여느때처럼 기도를 마치고 노승산을 내려오다가 그 당시 아무것도 없던 현재의 원경사 부근의 터에서 조그만 불상.. 유적및 전설 2016.11.08
예산 향교 예산 향교 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에 있는 향교. 1413년(태종 1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785년(정조 9)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등이 있으며, 여기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 유적및 전설 2016.10.14
선읍리 입산석불 선읍리 입상석불 위치 : 이천시 장호원읍 선읍리 산110 죽곡 부락 앞 시냇가에 묻혀 있던 것을 신흥사 주지가 현위치에 옮겨 놓은 것이라 한다. 원래는 대좌와 동체 두상 보개등 4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위를 1석으로 조성해 연결시켜 안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재는 목 위 두상 부.. 유적및 전설 2016.10.11
경순왕 영전에 참배하다 경순왕 영전에 참배하다 2016년 9월 4일(일) 미륵산 산행을 황룡사에서 새터고개로 그리다보니 인터넷에서 검색하였던 경순왕 영전 모신 곳이 궁금하여 경천묘를 찾았다 몇 컷의 셔트를 누르고 살며시 안을 들여다보니 관리인께서 큰소리로 글 읽는 소리에 나의 발자욱 소리를 듣지 못하시.. 유적및 전설 2016.09.04